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우리춤의 숨결' 전통문화센터 한벽극장

 

흰 수건이 한점 흐트러짐 없이 고운 선을 그린다. 길게 풀어내는 흰 수건 끝에 한국인의 한과 시름도 털어져나간다.

 

깊이 가라앉은 호흡의 춤사위와 엇가락을 타는 멋이 일품인 호남살풀이춤이 '우리 춤의 숨결' 열여섯번째 무대에 오른다. 6일과 7일 오후 7시 30분 전통문화센터 한벽극장에서 열리는 '기나긴 수건 한 자락에 삶을 실어'.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보유자 최선씨(67)와 이수자 김미선(37)·김안윤(30)·최지원(28) 그리고 고상윤씨(27)가 출연한다.

 

민간신앙 굿의 절차에 포함돼 보존된 춤 '신의 계시(대감놀이)'독무를 선보이는 최선씨는 전통의 의미를 부합시켜 격렬한 움직임으로 표현한다. 절대자에게 지배받는 인간의 삶과 숙명을 무당들의 춤에 담아 재연한다.

 

김미선씨는 조선 백자에 비유되는 '한영숙류 태평무'를 춘다. 15박의 느린 푸살장단으로 시작, 자진모리로 끝을 맺는 고도의 절제미와 여백미가 돋보이는 작품.

 

한·흥·멋·태를 고루 갖추고 섬세한 몸놀림이 애절한 '김수악류 진주 교방굿거리 춤(경남무형문화재 제21호)'은 고상윤씨가, 장고를 메고 요염한 자태의 흥과 멋을 풍기는 '장고춤'은 최지원씨가 독무로 표현한다.

 

그 밖에도 성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연가', 정·중·동의 미학을 간직한 '호남살품이춤'이 공연된다. 최선씨의 농익은 몸짓과 고운 자태가 젊은 춤꾼들과 어우러지는 무대다.

 

도휘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

정치일반李대통령, 외교 ‘강행군’ 여파 속 일정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