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0 17:43 (Mo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정부·청와대
일반기사

靑, 인사검증 기준 대폭 강화 예고

고위 공직자에 대한 인사 검증 기준이 더욱 까다로와질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조금 더엄격한 인사검증 기준을 만들라. 엄격한 기준을 만들어 그 기준에 따라 정밀하게 평가한 뒤 추천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홍상표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지난해 청와대는 '스폰서 의혹'으로 천성관 검찰총장 내정자가 인사청문회 하루만에 낙마한 뒤 '자기 검증진술서' 항목을 대폭 늘리는 등 인사 검증시스템을 강화했었다.

 

그러나 그동안 청와대에서는 사전 스크린에 흠이 발견돼도 일정 부분 용인하는분위기가 있었다.

 

부동산 투기를 위한 위장전입은 안 돼도 자녀 교육을 위한 목적이라면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식이다.

 

또 집값이 크게 올랐더라도 거주를 위한 목적의 주택 매매나 노후 대책을 위한토지 거래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했던 게 사실이다.

 

여기에는 50대 이상의 인사 대상자 대다수에서 이러한 문제가 발견될 뿐더러 지역과 학벌, 능력까지 들어맞는 완전무결한 공직자를 찾기 어려운 현실적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이날 언급으로 앞으로는 그동안 넘어갔던 이런 문제들도 발견될 경우 걸러낼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인사검증 기준이 약했던 것은 아니지만 법적으로 큰 하자가 없으면 여러 요소를 고려해 추천된 경우도 있었다"면서 "그러나 앞으로는 적용을 더 엄격하게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현재 8.8 개각을 통해 인사청문회에 오른 내정자들에 대한 갖가지 의혹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어서 주목된다.

 

일부 내정자의 경우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난 7.28 국회의원 재보선의 승리로 모처럼 회복한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의 주도권을 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현실이다.

 

그러나 현재 국회 인사청문회를 받는 내정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라는 게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비록 지난해 인사검증 기준은 까다롭게 개선했으나 이번 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위장전입이나 부동산 거래 등이 국민의 도덕적 정서에 못 미치는 점을 보완해야한다는 지적이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