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들 고통 외면한 보여주기식 행정" / 시민단체, 근본적 처방 요구 비판여론 확산
익산시가 고질적인 악취 민원을 뿌리 뽑기 위해 들고 나온 악취관리구역 추진에 전북도가 제동을 걸면서 지역민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역 시민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시민토론회를 통해 지역의 악취근절에 대한 전라북도의 소극적 행태를 비판할 준비에 나서는 등 파장이 확산되는 추세다.
익산지역의 악취민원은 그간 도심지역을 중심으로 시골 지역까지 폭넓게 퍼져 있었다. 도심지역은 영등동과 부송동, 동산동과 모현동, 송학동까지 시내 전역이 악취에 시달리고 형편.
하지만 이들 지역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대한 원인은 제각각으로 분석됐다. 먼저 익산시와 전문가들이 나서 파악한 영등동과 부송동 지역의 악취는 인근 공단지역이 원인지로 분석됐다. 인근에 익산 1공단과 2공단이 위치해 있고, 이곳에는 화학공장과 섬유공장, 도장공장 등이 산재되어 있으면서 악취를 유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부송동 소각장 부근에 쌓인 압축쓰레기에서도 악취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곳 주민들은 야간 시간대나 새벽 시간에 악취가 심각하고, 여름철에는 악취농도가 더욱 강해 창문을 열고 잠에 들어다간 새벽녘에 역겨운 악취에 눈을 뜨는 고통을 하소연한다. 특히 창문을 열고 식사를 하는 것도 어려울 지경이고, 여름철 창문을 열고 생활하는게 어려워지면서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동산동 지역은 인근의 폐수처리장과 하수처리장 같은 환경시설에서 악취가 뿜어져 나온 것으로 분석됐고, 모현동과 송학동은 인근의 대규모 축산시설이 악취의 원인이었다.
이외에도 시골지역에서도 악취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됐고, 대부분 축산시설이나 퇴비공장 등이 악취유발의 원인이었다. 이처럼 익산시의 악취민원은 공단지역의 생산시설, 환경시설, 축산시설 등 3가지가 원인으로 분석되면서 익산시는 대대적인 지도·점검과 특별관리대상 악취사업장 40곳을 선정해 관리에 들어갔다. 또한 환경시설에 대한 예산투입을 통한 악취근절에 나서는 한편, 축산시설의 악취도 수시로 점검하는 등 악취근절 의지를 보여 왔다. 하지만 여름철에 집중되던 악취민원은 가을과 겨울철에도 나타나면서 익산시의 악취근절 대책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악취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2010년 익산시청 게시판에 올라온 악취민원이 357건에 달했고, 시가 본격적인 악취관리에 돌입한 2011년 173건, 지난해에는 129건으로 감소했지만, 근본적인 악취근절은 되지 않은 셈이다.
이에 따라 파악된 악취근원지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단속과 지도점검을 위해 익산시는 악취관리구역 지정에 나섰다.
시는 우선 익산1공단과 2공단, 왕궁지역을 대상으로 악취관리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시는 악취관리구역 지정권한을 가진 전북도에 신청서를 접수했지만, 도는 미온적이였다. 악취관리구역이 포괄적으로 지정될 경우 청정지역 전북의 이미지 실추와 기업유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한 것이다.
도는 결국 포괄적인 악취관리구역 지정 대신, 사업장 별로 악취관리대상을 선정하는 사업장 선별방식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렇게 추진한 악취관리대상 사업장은 익산시 왕궁면의 한 퇴비공장에 그치면서 형식적인 보여주기식 행정이라는 비판적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악취근절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익산의 한 시민단체는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행정을 펼친 전라북도를 비판하며 조만간 시민토론회를 준비하는 등 비판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