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카터센터 방문때 학생들과 간담회 계기
전북대가 8일 이남호 총장 기자회견을 통해 ‘지미카터 스쿨’을 설치키로 전격 발표했다. ‘뜬금없다’는 반응이 나올 법하다. 지방 국립대에서 미국의 전직 대통령 관련 학부 설치가 대학발전에 어떤 효과를 낼 수 있을지 의아할 수도 있다. 지미 카터센터에서는 다른 국가의 대학에서 희망했을 때 거절했던 카터 이름을 딴 학과 설립을 왜 전북대에 허용했을까도 궁금하다.
전북대는 대학 교육여건과 연구수준 등에서 전국적으로 상위권에 있지만, 국제적 인지도가 낮은 점을 카터스쿨 설치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미국 제39대 대통령(1977~1981)을 지낸 카터 전 대통령은 재임 중 인권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북핵 위기 당시 남북 정상회담을 중재하면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다. 퇴임 후 해비타트운동과 중동 평화활동을 통해 ‘인권과 평화’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은 비정부기구인 카터센터와 손을 잡을 경우 대학의 국제적 평판을 업그레이드 시킬 것으로 기대한 것이다.
전북대가 카터스쿨을 설치할 수 있었던 직접적 계기는 올 연초 전북대 국제개발협력 창의인재 양성사업단이 카터센터를 방문한 것이 계기가 됐다. 당시 카터 전 대통령은 사업단 학생 전원(50명)과 가진 간담회에서 남북분단 상황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평소 관심을 표명했고, 전북대는 세계적 수준의 관련 전문 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요청해 협조를 약속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5월 양문식 부총장 등이 카터센터를 방문해 카터 전 대통령을 만나 국제학부 설치와 명예박사 학위 수여·국제평화 및 국제개발 관련 컨퍼런스 기조강연 등에 관해 합의했다.
대학 관계자는 지미카터 학부신설 발표까지 보안유지에도 신경을 썼다고 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재임 중 한국 민주주의와 인권에 우려를 표명하는 등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과 대척점에 섰으며, 그 연장선에서 교육부의 학과 승인이 여의치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