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9 18:21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그래픽 뉴스

암환자 생존율 고소득층이 14%p 높아

똑같이 암에 걸려도 고소득층의 생존율이 저소득층에 비해 뚜렷하게 더 높고, 학력 격차에 따라 사망률이 8배이상 차이나는 등 우리사회의 계층간 건강불평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더구나 이 같은 불평등 양상이 대물림되는 경향까지 나타나 정부의 보다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1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우리나라 건강형평성 현황 및 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암환자 4만3천여명의 소득계층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소득 5분위(상위20%) 남성 환자의 5년 생존율은 37.84%로 소득1분위(하위20%)의 24.04%보다 13.80%포인트(p)나 높았다.이 조사는 지난해 윤태호 부산대 교수 등이 국가암등록자료 및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진행한 것이다. 3년과 1년 생존율 차이도 각각 14.32%p(43.42-29.10), 14.69%p(61.94-47.25)에 달했다. 여성 암환자 역시 최고소득층과 최저소득층의 5년, 3년, 1년 생존율 격차가 각각 8.46%p(60.81-52.35), 8.58%p(65.72-57.14), 6.35%p(77.37-71.02)로 확인됐다. 특히 소득에 따른 불평등은 치료 과정에서부터 나타나는데 남녀 가릴 것없이 고소득 암환자일수록 이른바 4대 메이저 상급종합병원 이용률이 높은 반면, 저소득층은 종합병원과 병의원에 몰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 오피니언
  • 연합
  • 2013.06.19 23:02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