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수 유출이 의심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2일 보도했다.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은 전날 오염수 저장탱크들을 연결하는 배관 한곳에서 오염수 유출이 새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추가로 확인된 곳은 지난달 19일 약 300t의 오염수 유출이 생긴 지상 저장탱크가 위치한 H4 구역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H5 구역이다. 연합뉴스
통일부는 2일 세계보건기구(WHO)의 대북 인도적 사업에 630만 달러(약 69억5000만원)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북한 내 진료시설 개·보수, 의료인력 교육, 필수의약품 공급 등으로 이뤄진 WHO의 '북한 영유아 지원사업'은 총 1260만 달러 규모로, 정부는 우선 절반을 먼저 지원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신흥국 경제위기 등 대외악재에도 우리나라 수출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8월 수출액이 463억6천500만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달보다 7.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발표했다.일평균 수출증가율은 작년보다 10.0% 증가한 19억7천만달러에 달했다. 8월 수입액은 작년 8월보다 0.8% 증가한 414억4천9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49억1천6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 지난해 2월부터 19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수출입 실적은 8월 31일까지의 통관실적 잠정치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품목별·지역별 실적은 8월 20일까지의 잠정치다.올해 월별 수출 증감률은 1월 10.9% 증가로 출발했으나 2월엔 8.6% 감소로 곤두박질쳤다. 이어 3월엔 0.0%, 4월 0.2%로 정체되다 5월 3.1%로 약간 회복했으나 6월엔 다시 1.0% 감소했다가 7월 2.6% 증가로 호전됐다.8월 수출 실적 중엔 IT제품·자동차의 선전과 미국·아세안(ASEAN)·중국으로의수출 호조가 눈에 띄었다.연합뉴스
지난해 국가장학금이 신설됨에 따라 대학생 1명에게 돌아간 장학금 규모가 전년보다 대폭 늘어났다. 대출 여건이 개선된 영향으로 학자금 대출 이용자 수도 증가했다.교육부는 4년제 대학 172개교의 주요 공시정보 46개 항목을 29일 대학정보 사이트인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 공개했다.지난해 172개 4년제 일반대학 재학생의 1인당 장학금은 평균 212만4천원으로 전년보다 66만8천원(45.9%) 늘었다. 이는 1조7천500억원 규모의 국가장학금이 신설됐기 때문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특히 비(非)수도권 대학의 장학금이 50.3%나 늘어 수도권 대학(38.8%)보다 증가율이 11.5% 포인트 높았다. 연합뉴스
광주 공군 부대 인근 농지에서 공군 훈련기가 추락해 조종사 2명이 순직했다.28일 오후 2시 8분 광주 서구 세하동 부근 논에 공군 훈련기 T-50이 추락했다. 이 사고로 공군 1전투비행단 소속 노세권(34·공사 50기) 소령과 정진규(35·공사 51기) 대위(소령.진급예정)이 숨졌다.1명은 낙하산을 타고 탈출하다가 논으로 떨어져 숨졌으며 다른 1명은 기체에서 숨진 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순직자들은 모두 경력 10년 이상의 베테랑 교관조종사들로 오후 2시께 이륙해 단독 비행훈련에 나섰다.훈련기는 비행단 상공에서 비행훈련 중 활주로 동쪽 1.6㎞ 지점에서 추락해 두 동강 났다. 기체는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울 만큼 불에 탔다.훈련기는 극락강 둔치를 1차 충격한 뒤 300여m 떨어진 풀밭에 추락했다.공군은 활주로를 이륙한 후 8분여만에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 현장은 광산구 신촌동, 서구 세하동·벽진동 등 경계 극락강 천변으로 훈련기는 논과 논 사이 풀밭에 추락해 민가 등 추가 피해는 없었다.고등 훈련기인 T-50이 추락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연합뉴스
법적 혼인관계가 아닌 남녀 사이에 태어난 아기가 지난해 1만명을 넘었다.이에 따라 미혼모 관련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임신중절도 많아 2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혼외 관계에서 태어난 아이는 전년보다 1.9%(185명) 늘어난 1만144명이었다.이는 해당 통계를 낸 1981년(9천741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혼외 출생아는 저출산의 여파로 1997년 4천196명까지 급락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연간 5천명을 계속 웃돌았다. 2003년(6천82명), 2007년(7천774명), 2011년(9천959명)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과거 혼외 출산을 굉장히 나쁘게 보던 인식이 조금씩 약해지면서 혼외 출생아 수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신생아 중 혼외 출생아의 비율은 2.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에서는 가장 낮았다.동거 출산이 보편화한 유럽연합(EU)에서는 27개국의 혼외 출생자 비율이 1990년17.4%에서 2011년에는 39.5%로 상승했다. 연합뉴스
아이 낳기를 꺼리는 사회분위기 속에 악화일로를 달리던 출산율이 3년째 증가했다.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최고치를 경신했고, 노산이 늘면서 미숙아와 다태아(쌍둥이 이상) 출생이 증가했다.2001년 수준 회복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12년 출생통계 결과(확정치)'를 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48만4천550명으로 전년의 47만1천265명에 견줘 2.8%(1만3천285명) 증가했다.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1.297명으로 2001년(1.297명) 이후 최고치인데다, 2010년부터 3년 연속 증가세다.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는 9.6명으로 전년(9.4명)보다 0.2명 늘었다. 하루 평균출생아 수는 1천324명으로 33명 늘었다. 통계청은 인구 규모가 큰 베이비부머 에코세대(1979~1983년 출생)가 출산 핵심연령이 되면서 출산율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이재원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출산율이 올랐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그렇게 높은 수준은 아니다"며 "2011년 OECD 평균 합계출산율은 1.70명이며,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헝가리뿐이다. 한국은 합계출산율 1.3명 이하인 초(超)저출산국가의 경계선에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근 3년간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학교폭력 가해학생이 두 배로 늘었다.특히 지난해 학교폭력 문제를 일으킨 초등학생은 3년 전보다 3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전국 시·도 교육청에서 받아 25일 공개한 '최근 3년간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 현황'을 보면 지난 2010년에서 2012년(매년 3월 1일∼이듬해 2월 28일 기준) 학교폭력 가해학생은 92.8% 증가했다.연도별로 보면 전체 가해학생은 2010년 1만9천949명에서 2011년 2만6천925명, 2012년 3만8천466명으로 계속 늘었다.학년별로는 특히 초등학교에서 가파른 오름세를 보였다.초등학교 가해학생은 지난해 2천390명을 기록했다. 2010년 657명의 3.6배로 증가한 것이다.같은 기간 중학생은 1만4천179명에서 2만6천622명, 고등학생은 5천113명에서 9천453명으로 각각 1.8배로 늘었다.가장 흔한 학교폭력 유형은 '폭행'이었다. 연합뉴스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했지만 위험성은 오히려급등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22일 '가계부채 위험의 급등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경기침체 장기화 및 부동산시장 침체, 비은행 대출 비중 증가 등 때문에 가계부채 위험이 커졌다"며 "올해에는 2009년 금융위기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빠르게 증가하던 가계부채는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에 힘입어 지난해 이후 증가세가 둔화했다. 지난해 말 가계신용 기준 963조8천억원, 자금순환표상 기준 1천158조1천억원을 기록한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에 각각 2조2천억원, 1조7천억원 감소했다. 하지만 그 이면을 살펴보면 상황은 정반대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압박 부담', '상환 능력'으로 가계부채 위험 수준을 평가했다.각각의 변수를 표준화 데이터로 전환해 이를 가중 평균한 수치를 따져본 결과, 올해 가계부채 위험도는 148.7로 추산됐다. 연합뉴스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지난해 한국기업의 반덤핑 피소 건수가 두 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21일 금융투자업계와 세계은행(WB), 삼성경제연구소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업의 반덤핑 피소 건수는 21건으로 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았다.1위는 중국(56건)이었으며 대만이 한국과 같은 21건이었다. 그 외 태국(10건), 인도(9건), 베트남(8건), 미국(7건), 일본(6건), 인도네시아(6건) 등이 뒤를 이었다.전체 피소 건수 중 신흥시장은 168건으로 전체의 85.7%를 차지했다. 선진국 피소 건수는 14.3%(28건)로 훨씬 낮았다.신흥국 중에서도 한국이 집중적인 견제를 받았다.한국의 반덤핑 피소 건수는 전년 11건에서 21건으로 급증했다. 한국의 주요 수출 경쟁국인 일본은 5건에서 6건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전체 피소 건수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세다.한국의 비중은 전년 7.75%에서 작년 10.71%로 상승했다. 2009년 3.29%였으나 2010년 5.16%로 오르더니 10%선을 넘어섰다.연합뉴스
지난해 외국에 10억원 이상의 금융계좌를 보유한 개인과 법인은 678명이며, 이들은 6천718개의 계좌에 22조8천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국세청은 지난해 중 하루라도 해외 금융회사에 개설·보유한 은행·증권 계좌의현금 및 상장 주식 잔액의 합이 10억원이 넘는 개인과 법인에 대해 지난달 1일까지 자진신고를 받은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0일 발표했다. 국세청은 10억원 이상의 해외금융계좌를 보유했음에도 이번에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의심되는 47명에 대해 기획 점검에 착수했으며, 미신고 사실이 확인되면 과태료 부과는 물론 세무조사도 착수하기로 했다. 국세청에 따르면 해외금융계좌를 신고한 개인은 310명으로 총 1천124개의 계좌에 2조5천억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신고 금액은 80억원으로 전년도 신고액(69억원)보다 16% 증가했다.법인의 경우 368곳이 5천594개의 계좌에 총 20조3천억원의 계좌를 보유한 것으로 신고했다. 법인 평균 신고액은 552억원으로 지난해(471억원)보다 17% 늘었다. 연합뉴스
올해 들어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저신용층이 가파른 속도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에 고신용층의 신용상태는 개선되는 등신용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는 모습이다.19일 NICE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5월말 현재 신용등급 10등급(최하위)의 불량률은 40.98%로 나타났다. 작년 11월 말 10등급의 불량률은 35.47%였다. 반년 새무려 5%포인트나 확대한 것이다.불량률이란 측정 시점 전 1년 동안 90일 이상 연체해 채무 불이행자가 된 비율을 의미한다. 즉 10등급 중 40%가량이 빚을 제대로 못 갚았단 얘기다.전체 평균(2.33%)과 비교하면 17배에 해당한다. 최상위인 1등급(0.07%)에 비교하면 무려 585배나 된다. 같은 기간 1등급이나 2등급은 물론 4~7등급 등 중·하위계층은 오히려 불량률이 모두 하락했다.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신용등급이란 것은 개인의 채무를 갚을 능력 등을 고려한 것"이라며 "등급이 밑으로 내려갈수록 신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실제 채무불이행자 수도 크게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12월말 현재 10등급 계층은 44만7천명이다. 여기에 한 달 전 불량률(35.47%)을 곱하면 채무불이행자는 15만8천명 정도로 예상된다.연합뉴스
국채와 특수채 발행잔액이 사상 처음으로 800조원을 돌파했다.국채와 특수채는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보증하는 채권으로 결국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 할 부담이다.올해 국채 발행액이 특히 많이 증가했는데 이는 그만큼 정부가 쓸 돈은 많지만 거둬들이는 돈은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18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채·특수채 발행잔액 합계가 이달 13일 800조1천921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800조원선을 넘었다. 이중 국채가 456조4천978억원, 특수채가 343조6천943억원이었다.국채·특수채 발행잔액 합계는 14일 801조4천421억원, 16일 800조3천421억원으로 계속 800조원을 웃돌고 있다.발행잔액 합계는 2007년 말 395조원에서 2008년 말 427조원, 2009년 말 529조원, 2010년 말 598조원, 2011년 말 657조원, 작년 말 731조원으로 늘어난 데 이어 이번달 마침내 800조원을 돌파했다. 연합뉴스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등록 고객수가 처음 3천만명을 돌파하고 이들의 하루 이용건수도 2천만건을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분기 국내 인터넷뱅킹 서비스 이용현황'을 보면 6월 말 현재 모바일뱅킹 등록 고객(실인원이 아닌 등록인원 단순 합산)은 4천432만명으로, 3개월 전보다 319만명(7.8%) 증가했다.스마트폰 기반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이 3천131만명으로, 324만명(11.5%)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모바일뱅킹 중 IC칩 방식(436만명)과 VM 방식(866만명)의 일반 휴대전화 모바일뱅킹 등록고객은 각각 0.3%, 0.4% 감소했다.2분기 중 모바일뱅킹 이용건수는 하루 평균 2천56만건(스마트폰 기반 2천32만건)으로, 전분기보다 163만건(8.6%) 늘었다. 단순 조회가 전체 이용건수의 90.4%를 차지했고 나머지 9.6%는 자금 이체였다. 모바일뱅킹의 하루 평균 이용액(자금이체)은 1조3천934억원(스마트폰 기반 1조3천523억원)으로, 1천294억원(10.2%) 증가했다. 연합뉴스
내년도 4인 가구 기준 최저생계비가 올해보다 5.5% 많은 163만820원으로 결정됐다.보건복지부는 14일 열린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내년 1월 1일부터 기초생활보장 대상자 선정이나 급여 수준 결정에 사용할 새로운 최저생계비 기준을 이 같은 내용으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1인, 2인, 3인 가구의 최저생계비는 각각 60만3천403원, 102만7천417원, 132만9천118원으로 인상됐다. 5인과 6인 가구의 경우 각각 193만2천522원, 223만4천223원으로 올랐다.인상률 5.5%는 지난해 3.4%를 1.2%포인트(p) 웃돌 뿐 아니라 2000년 이후 2005년(7.7%), 2011년(5.6%)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의료비·교육비·TV수신료·전화 기본요금 등 현물로 지원되는 부분을 빼고 순수하게 현금으로만 지급되는 내년도 최저생계비는 4인 가구 기준 131만9천89원으로,올해보다 4.2% 늘었다.소득이 전혀 없는 기초생활보장 대상 4인 가구에 내년에 최대한 지급될 수 있는급여(생계·주거) 수준이 약 132만원 정도라는 얘기다.연합뉴스
노령연금 수급자였던 유모씨는 이미 오래전 실종됐지만, 유족들은 이 사실을 숨기고 8년 동안 무려 4천600만원의 국민연금을 받았다. 국민연금공단이 뒤늦게 환수 조치에 나섰지만, 유족은 "재산이 없다"며 약 4천200만원을 아직 돌려주지 않고 있다. 유족연금을 받아 온 김모씨는 재혼과 함께 유족연금 자격을 잃었으나, 10년 동안 유족연금 3천300만원을 계속 받아왔다. 김씨로부터 환수한 연금액은 지금까지 고작 100만원뿐이다.이처럼 사망·실종 등 여러 이유로 국민연금 수급 자격·종류 등이 바뀌었는데도 이를 제대로 신고하지 않은 가입자·가족의 도덕적 해이와 연금공단의 허술한 관리가 겹쳐 지난 5년 동안 570억원 이상의 국민연금 재정이 엉뚱한 곳에 줄줄 새어 나갔다. 13일 국민연금공단이 국회 보건복지위 신의진 의원(새누리당)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최근 5년(2009~2012년 6월) 동안 국민연금이 잘못 지급돼 환수가 결정된 경우는 모두 8만3천180건, 금액으로는 572억9천300만원에 이르렀다. 연합뉴스
경제활동인구 고령화가 심해져 50세 이상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최근 10년 새 이 수치는 12%포인트나 상승했다.소위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포진한 이유도 있지만 그만큼 경제적 여유 부족으로 장·노년층의 경제활동이 활발한 것을 보여준다.12일 통계청과 금융투자협회,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제활동인구 2천629만1천명 중 50세 이상이 936만3천명으로 전체의 35.6%를 차지했다.이 비중은 지난 4월(35.2%) 처음으로 35%선을 넘었고 5월 35.5%에 이어 6월 35.6%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10년 전인 2003년 6월 이 비중은 불과 24.0%였다. 최근 10년 새 경제활동인구 중 50세 이상 비중이 11.6%포인트 오른 셈이다.이 수치는 2010년 3월 30.5%로 30%선을 돌파한 데 이어 상승세를 이어가 작년 12월 33.6%였고 올해 들어 더욱 높아졌다. 경제활동인구 중 60세 이상 비중도 올해 6월 13.6%로 사상 최고였다. 이 수치는 10년 전인 2003년 6월 9.8%에 그쳤다. 연합뉴스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65세 이상 노인 의료비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이에 따라 급증하는 노인 진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루빨리 의료공급 체계를 효율화하는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1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책분석팀 박영택 부연구위원의 '노인진료비 최신 동향' 연구보고서를 보면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박 연구위원은 2012년을 기준으로 지난 5년간 65세 이상 인구의 진료실적을 연간 단위로 산출해살펴봤다.그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총 진료비는 2008년 12조5천170억원, 2009년 14조1천500억원, 2010년 15조8천720억원, 2011년 17조1천530억원, 2012년 18조3천410억원등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진료비 중에서 노인 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008 31.2%, 2009년 31.7%, 2010 32.6%, 2011년 33.3%, 2012년 34.3% 등으로 늘었다.2012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1인당 연간 진료비는 311만4천원으로 국민 1인당 연간 진료비 106만8천원에 견줘 2.9배 가량 많았다. 연합뉴스
10세 미만 어린이들이 하루 평균 2시간 정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등 인터넷 의존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8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만 6세 이상 전국 인터넷 이용자 5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작성한 '2012년 정보문화실태조사'에 따르면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에 다니는 연령인 6~9세의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2시간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조사 대상 전체의 평균 인터넷 이용 시간인 2.6시간에 근접한 수준이다.다른 연령대와 비교해보면 50대(1.3시간)보다는 많고 10대(2.3시간) 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20대(3.4시간), 30대(3.2시간), 40대(2.7시간)에는 못미치는 수준이지만 이 연령대가 인터넷을 업무 등의 용도로 활발하게 사용하는 나이대임을 고려하면 6~9세 어린이의 인터넷 의존이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분석된다.인터넷 사용이 높은 것에 맞물려 어린이들의 인터넷 활용도도 성인 못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9세 어린이 응답자의 절반(46.7%) 정도가 이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3분의 1(37.7%)은 카카오톡과 같은 실시간 메시지 서비스도 이용하고 있었다.또 4분의 1 가량(24.6%)은 온라인 카페나 커뮤니티 이용하고 있으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해봤다고 답한 비율도 21.6%나 됐다. 연합뉴스
부모와 함께 살지 않는 대학생은 한 달 평균 소비의 약 3분의 1을 주거비로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월세를 내고 자취하는 대학생의 월평균 주거비 지출 비중은 40%에 육박해 학생의 주거비 부담을 줄이려면 기숙사 수용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김지경 부연구위원은 7일 '부모 비동거 대학재학생의 주거유형 및 주거비 부담 현황' 보고서에서 "지난해 전국 4년제 대학과 2·3년제 전문대재학생 중 부모와 따로 사는 학생 833명을 실태 조사한 결과 평균 주거비는 전체 소비지출 60만3천원의 30.5%인 21만4천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20·30대 가구주 가구의 소비지출 대비 주거비·수도광열비 지출 비중이 10.6%인 것과 비교하면, 부모 비동거 대학생은 청년 가구의 세배가 넘는 주거비 부담을 지는 셈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8만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광역시는 24만6천원, 중소도시는 20만4천원, 읍·면은 18만3천원이었다. 부모와 따로 사는 대학생들은 주된 주거형태는 기숙사나 월세 자취다. 연합뉴스
[사설]미래 핵심 에너지기술 ‘인공태양’ 철저한 준비를
[사설] 위기의 농촌학교 활력 찾기, ‘자율중’ 주목
[전북칼럼]피지컬AI와 에너지 대전환과 협업이 우리의 미래다
성과로 판단해야(오목대)
[열린광장]지방의회, 왜 필요한가에 대한 시민과의 약속
[기고]식물과 미생물의 은밀한 대화를 쫓는 사람들
[새 아침을 여는 시] 마음의 문-이근풍
[오목대] 활동적 노년(액티브 시니어)
[사설] 자치단체 장애인 의무고용 시범 보여라
[사설] 진안고원산림치유원, 콘텐츠 차별화 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