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재의 세상보기] ‘전북발전 대전환’시대정신, 성과 못 내면 심판론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전북 출신 인사 등용에 온기가 느껴진다. 대통령실과 내각, 더불어민주당 주요 위치에 전북 출신 또는 전북 연고 인물들이 대거 포진했다. 전북발전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대통령실의 하준경 경제성장수석(전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익산 남성고)과 내각의 외교·국방·통일부 장관에 각각 조현(김제·전주고) 안규백(고창·동대문 갑) 정동영(순창·전주고) 의원이 내정됐다. 법무부 장관에 지명된 정성호(경기 동두천, 연천군 갑) 의원은 자신의 뿌리가 익산이라고 밝힌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회 정치력도 보강됐다. 4선의 이춘석(익산 갑), 3선의 한병도(익산 을) 의원은 각각 국회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으로 선출됐다. 법사위원장은 전북 국회의원으론 처음이고, 예결위원장은 2006년 이강래 의원 이후 19년만의 일이라고 한다. 이춘석 의원은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장도 맡고 있다. 3선의 안호영(완주·진안·무주) 의원은 환경노동위원장이다 . 전주 출신의 한준호(고양시 을) 최고위원, 김윤덕(전주 갑) 사무총장, 전주 출신의 진성준(서울 강서 을) 정책위의장, 익산 출신인 한민수(서울 강북 을) 대변인 등 당내 위상도 높다, 전북 정치가 ‘변방’에서 ‘주류’로 변환됐다. 그렇긴 해도 전북 현안 추동과 관련해선 ‘영양가’가 없다는 비판도 있다. 이를테면 국토교통, 농축산식품, 산업통상, 과학기술, 문화관광 등 지역정책에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는 전북출신이 끼지 못했다. 문제는 우호적인 인적 포진이라 할지라도 저절로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사실이다. 과거 DJ의 ‘국민의 정부’ 시절엔 역차별 받았고, 최근엔 전북 출신 국무총리를 두명이나 배출했지만 별무 소득이었다. 오히려 인구는 줄고 기업유치와 일자리, 교육, 소득 등에서 낙후가 심화됐다. 왜 그런가. 정치권과 행정의 공조, 촘촘한 전술 전략, 일당 백의 추진력 등 리더십 부재 때문이다. 지금도 다르지 않다. 2036하계올림픽 유치를 놓고도 정치권은 ‘경우의 수’를 계산중이다. 완주통합과 새만금특별자치단체 구성에 대해선 철학도, 소신도 없어 보인다. 정치권은 이미 시험대에 올라 있다. 전북의 현안과 대선 공약들이 과연 100대 국정과제 500개 세부 사업에 얼마나 반영될지가 첫 관문이다. 또 2036하계올림픽 전북유치의 국가 의제 설정, 남원 공공의대 설립, 대광법 시행에 따른 교통SOC 확충도 추동시켜야 한다, 하반기엔 제2중앙경찰학교 남원유치 문제가 전북 정치권의 역량을 시험할 것이다. 남원과 경쟁하고 있는 충남 아산은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의 지역구다. 3선의 강훈식 비서실장은 내년 지방선거 충남도지사 후보로 거명되고 있다. 전북발전, 도민이익이 걸린 현안에 전북 정치권이 어떻게 대응할지 주시되는 대목이다. 이재명 정부는 분명 전북에게 기회일 수 있다. 도지사와 국회의원이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전북은 이제 여당지역이 됐다. 여당은 인사와 예산, 정책 등 여러 면에서 우월적 지위를 갖는다. ‘물 들어올 때 배 띄워라’는 격언처럼 강력한 추진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전북발전의 대전환’을 이뤄내야 한다. 이 명제가 전북 정치의 시대정신이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은 법. ‘막강 화력’의 인적 구성을 갖췄다고는 하지만 성과로 이어지지 않으면 물극필반(物極必反)으로 결과될 것이다. 사안이 극에 이르면 반전된다는 뜻이다. 정치 전성기에 상응하는 결과물을 내놓지 못한다면 다음 선거에서 심판론이 제기될 수 있다. 세월은 화살처럼 빠르고 심판은 얼음장처럼 냉엄한 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