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 news
레슈마는 셀카의 표정에 집착하는 현대인의 놀이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 작품은 셀카의 매력을 빼앗고 그 대신에 셀카에 실존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시도이다. 종이 위에 물을 흠뻑 적셔서 그리고, 번지는 효과를 통해 풍부한 회화성을 끌어내고 있다. 사실적인 재현보다는 내면을 응시하는 기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인간의 필요에 따라 급격하게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이에 따르는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생태 균형의 파괴에 이의를 제기하는 미술가이다. 그는 전시와 더불어 간명하고 힘 있는 퍼포먼스를 했다. 게르(몽골의 이동식 가옥)에서 온몸에 진흙을 처절하게 범벅인 행위를 통해 관객의 눈길을 사로잡았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베트남 사람들의 삶과 전쟁에 대한 이미지들을 한 설치물에 결합한 작품. 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건물의 모양과 구조가 바뀌고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변한다. 미술가는 이 작품을 통해 예술이라는 언어로 전쟁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밭은 젖가슴을 괴고 있는 거친 손마디와 힘줄의 사실적인 표현이 스산한 삶의 무게를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다. 고단한 우리의 삶은 어머니의 메타포에서 구원받을 수도 있을 것 같다.△조각가 강관욱은 이중섭미술상 수상기념전, 한국현대조각특별전, 한국석조각의 흐름전, 국제화랑미술제, 부산비엔날레 조각 프로젝트 등에 참여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일상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이 사각 틀에 갇혀 있는 구름 위를 걷고 있다. 꿈을 현실처럼 생생하게 꾸었나 보다. 양감과 여백의 조화를 통해 회화적인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김광진 조각가는 3회 개인전과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성옥문화대상을 받았고, 진주교육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사각 틀에 갇혀 있는 구름 아래 정장을 입은 중년 남자가 서 있다. 발아래에는 물에 비친 이미지를 표현했다. 양감과 여백의 조화를 통해 회화적인 감성이 짙게 묻어난다.△김광진 조각가는 3회 개인전과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성옥문화대상을 받았고, 진주교육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일상의 권태와 삶의 무게를 담고 있다. 육중한 덩어리의 무게를 덜어낸 조각으로 드로잉에 약간의 살을 붙여 놓은 듯하다. 유려한 선의 흐름과 감성이 돋보인다.△조각가 박정애는 공평갤러리, 아티누스 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했으며, 1980년대 인간전 이후 오늘의 동향전, 이야기가 있는 조각전 등에 출품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드로잉에 약간의 살을 붙여 놓은 듯하다. 육중한 덩어리의 무게를 덜어낸 조각. 유려한 선의 흐름과 감성이 돋보인다.△조각가 박정애는 공평갤러리, 아티누스 갤러리 등에서 개인전을 했으며, 1980년대 인간전 이후 오늘의 동향전, 이야기가 있는 조각전 등에 출품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녹음이 짙은 연방죽 풍경을 단숨에 그렸다. 물감을 짓이기면서 거침없이 흐르는 붓의 흐름이 인상적이다.△윤재우 화백은 1944년에 오사카미술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 미술과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작렬한 태양 빛을 담고 있는 지리산의 여름날. 물감을 짓이기면서 단숨에 그려낸 작품. 거침없이 흐르는 붓의 흐름이 인상적이다.△윤재우 화백은 1944년에 오사카미술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 미술과 교수,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장,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새댁처럼 보이는 상복 입은 임산부. 먼 산을 바라보면서 누군가를 떠나보내는 슬픔을 삭히고 있다. 새로운 생명의 탄생과 버거운 삶의 무게가 교차한다.△김광진 조각가는 3회 개인전과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성옥문화대상을 받았고, 진주교육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흙을 빚어 형상을 만든 소조. 신구의 갈등이랄까, 꼿꼿한 자세로 두루마기를 입고 뭔가 못마땅한 표정의 아버지와 당당한 모습으로 청바지에 가벼운 셔츠를 입고 있는 딸의 시선이 엇나가고 있다.△김광진 조각가는 3회 개인전과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성옥문화대상을 받았고, 진주교육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동양의 사유체계를 서양회화의 조형원리로 구성한 추상회화. 원과 사각의 상징성을 통해 절대미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는 행위를 최소화하면서 매체의 물성을 강조하고 있다.△이춘기 화백은 전주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파리 비엔날레 초대출품,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역임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동양의 사유체계를 서양회화의 조형원리로 구성한 추상회화. 원과 사각의 상징성을 통해 절대미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는 행위를 최소화하면서 매체의 물성을 강조하고 있다.△이춘기 화백은 전주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파리 비엔날레 초대출품, 대한민국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역임했다.작품 안내=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수채화의 물맛을 담뿍 담은 추상적인 풍경화. 누렇게 단풍이 무르익은 습기가 많은 축축한 땅이 생기를 머금고 있는 듯하다. △추광신(전북 진안 출생) 화백은 남성중·고등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 1957년, 익산에서 수채화 개인전을 비롯하여 15회의 개인전을 하였고, 익산예총과 전북예총 회장을 역임하였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불에 탄 흔적을 묘사한 작품. 불에 타서 구멍이 뚫린 듯하지만, 그려진 이미지가 주는 환영이다. 현대미술의 실험 정신으로 개념을 전복시키는 시도다.△황소연 화백은 서울, 브리지워터, 동경, 전주에서 5회 개인전. 상촌회전, 오늘의 한국미술전 등에 출품했으며, 전주대학교 예체능대학 초대학장을 역임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불에 탄 흔적을 묘사한 작품. 불에 타서 구멍이 뚫린 듯하지만, 그려진 이미지가 주는 환영이다. 현대미술의 실험 정신으로 개념을 전복시키는 시도다.△황소연 화백은 서울, 브리지워터, 동경, 전주에서 5회 개인전. 상촌회전, 오늘의 한국미술전 등에 출품했으며, 전주대학교 예체능대학 초대학장을 역임했다.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평면의 한계를 공간을 통해 극복하고자 시도한 작품으로 자연의 광대한 크기를 암시하고 있다. 산의 이미지를 화백의 주관적인 색채 해석과 형태의 단순화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송계일 화백은 서울, 뉴욕, 나고야, 전주에서 개인전. 전라북도 문화상, 국전 국무총리상, 목정문화상을 받았고,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학장을 역임했다. 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어두운 선반 위에 일회용 컵들을 진열했다. 석고의 파편으로 재조립한 플라스틱 컵의 이미지는 소비자본주의의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빈곤의 양면을 드러내고 있다.△문주호 미술가는 스위스, 일본, 서울에서 개인전 12회와 뉴욕 햄튼 아트페어, L.A 국제 아트페어 등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작품 안내 = 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작은 화병에 풍성하게 핀 장미를 주제로 한 정물화. 거침없는 붓질이 일탈을 통해 자유의 길을 여는 화백의 심상과 닮았다.△전병하 화백은 대한민국 원로작가 초대전, 한·불 수채화전 등에 출품했으며, 전라북도 미술대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을 역임했다.작품 안내=이문수(전북도립미술관 학예연구팀장)
'작지만 강한' 전북도립미술관의 반란
[TV 하이라이트] '현장르포 동행' 고시원에 보금자리 튼 4남매
[자연과 생명] '지렁이 박사' 전북대 홍용 연구원
[TV 하이라이트] '한번만 떴으면' 늦깎이 가수 안동춘을 아시나요
[떡] 찌기-떼기-떠기-떡으로 변화…'찐 것'
순도 높은 감정의 덩어리들…서은애 개인전 ‘상처의 지층’
전북평생교육장학진흥원 지역정착 장학생 선발 공모
전주세계소리축제 이왕준 조직위원장 "연임 않겠다"…후임 선정 본격화
전라북도평생교육장학진흥원, 꿈키움장학금 전달식 첫 개최
김학권 전북평생교육장학진흥원장 “전북의 미래인 인재 육성 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