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아동문학 형성기의 특성
 한국 아동문학 100주년을 맞으면서 ‘전북 아동문학 특성’을 살피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한국 아동문학의 문학적 특성은 지역 아동문학과 통합되어 해석될 때 더욱 풍성해지고 온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북 아동문학에 관한 연구와 조명은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1996년 <한국일보>(4월24) 한국의 예맥(藝脈) 한국 아동문학의 계보와 2013년 한국아동문화연구센터의 한국동화동시 선집, 2022년 《시와 동화》 『한국 아동문학가 100인 작가 작품론』 단행본 3권(강정규 엮음)을 참고해보면 전북의 아동문학가로는 김경중, 김여울, 김자연, 김향이, 목일신, 박상재, 윤이현, 이준관, 이준섭, 이준연, 진복희, 최균희, 최명표, 한상순, 한윤이, 허호석 등이 거론되었다. 아동문학은 독자 수용 측면에서 아동과 성인을 수용하는 장르로 동요, 동시, 동화(아동⸱청소년소설 포함), 평론, 동극을 총칭한다. 전북의 아동문학 시기 구분은 크게 형성기(1920-1970), 성장기(1971-2000), 발전기(2001년 이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는 전북 아동문학 형성기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북 아동문학 형성은 한국 아동문학 형성과정처럼 1920년대 다양한 계몽적 문화 운동과 사회 예술 활동이 그 시발점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식민지 통치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우리 문화를 경시하는 경향이 짙었다. 위기감을 느낀 민족해방 운동가들은 민족공동체 의식을 부여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소년 계몽 운동에 앞장섰다. 전북에서도 소년 운동회의 지도자들이 참여하게 되었다. 곽복산과 고용준. 목일신 등이 <김제 소년회>, <김제 소년연맹>, <김제 독서회> 등을 통해 아동문학의 효용적 측면을 부각하고 《어린이》 잡지와 <동아일보> 등 신문 매체에 시와 동요, 동화, 평론 등을 발표하였다. 전북 아동문학의 선구적 역할을 한 사람은 김완동(동화)과 목일신(동시)을 들 수 있다. 1930년 김완동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구원의 나팔 소리」,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약자의 승리」를 당선시키는 쾌거를 이룬다. 그의 「구원의 나팔 소리」는 식민지 주민의 고통을 우회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유고 동시집으로 1965년 『반딧불』을 남겼지만, 문학적 활동이 아주 짧아 아쉬움을 던져 준다. 목일신은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시골」을 당선시키면서 전북 아동 문단에 동시⸱ 동요의 싹을 피우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는 우리에게 잘 알려진 동요 「누가 누가 잠자나」를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불안한 조국의 현실에서 적극적으로 작품을 생산해 내지는 못했다. 1940년대 일제 강점기 전북의 아동문학은 주로 동시를 중심으로 교육적 측면에서 아동문화 운동으로 이어진다. 1946년에 김목량, 김수사, 김영만, 백양촌 등이 <아동문화연구회>를 조직하고 《파랑새》라는 아동 잡지를 창간하였다. 여기에 발표된 작품은 동요와 동시가 주를 이루었는데 내용은 교육성이 강했다. 이후 《파랑새》는 4호로 폐간되었다. 뒤를 이어 1948년 강영호, 강정희, 김성덕, 김화삼, 백양촌, 주영택 등이 <전북 봉선화 동요회>를 조성하여 동요 창작을 선도하였다. 1950년대 전북 아동문학은 침체 상태로 접어든다. 1953년 김완동을 주축으로 <전북 어린이 신문>이 창간되면서 그동안 간헐적인 잡지 운행과 동인지 발간에만 머물렀던 전북 아동문학의 맥을 잇는다. 해방 후에는 김해강, 신석정 등이 전북 아동문학가의 문단 활동을 지원하기도 했다. 196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화 「인형이 가져온 편지」를 당선시킨 이준연의 등장은 그동안 동시와 동요로만 맥을 이어 오던 전북 아동문학에 동화 창작의 시발점이 되고 동인지 발간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거꾸로 나라 임금님」, 「종이 위에 지은 집」, 「밤에 온 눈사람」,「춤추는 허수아비」, 「새로 쓴 우리 꽃 이야기」 등 토속적인 소재로 우리가 지켜야 할 뿌리를 찾는 동화를 썼다. /김자연 전북작가회의 회장·아동문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