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9 09:59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그래픽 뉴스

'베이비부머 농촌으로'…귀농 역대 최고

도시에서 살다가 지난해 농촌으로 이사한 인구가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이나 공직 등에서 은퇴한 베이비부머(베이비붐 세대)의 귀농이 급증한 때문으로 분석된다.11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도별 귀농인구를 예비집계한 결과를 보면 작년 귀농 가구 수는 6천5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2010년 4천67가구보다 무려 60% 증가한 규모다.귀농인구는 2002년 769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증가세를 보여 2004년 1천명을 넘어서고서 2007년 2천명, 2009년 4천명을 각각 돌파했다.2010년에는 전년보다 13명 줄어들어 증가세가 주춤했다. 그러나 1955~1963년 출생한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한 작년에 다시 급증세로 돌아섰다.귀농인구의 직업은 직장 은퇴자가 가장 많고 그다음은 자영업자와 제대군인 순이었다.지역별로는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 등 땅값이 싸고 농업이 발달한 지역에 많이 정착했다. 수도권, 충청도를 꺼린 것은 비싼 땅값 때문으로 분석된다.2010년 통계를 보면 경상전라도로 귀농한 가구가 전체 74.1%를 차지했다.경북이 1천112가구(27.0%)로 가장 많았고, 전남 768가구(18.9%), 전북 611가구(15.0%), 경남 535가구(13.2%)로 그 뒤를 이었다.연령별로는 은퇴연령 전후인 50~59세가 1천457가구로 전체 35.8%를 차지했다.

  • 오피니언
  • 연합
  • 2012.01.12 23:02

'핵가족 가속'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 60%

핵가족화가 가속화한 탓에 홀로 사는 노인이 늘고 있다.농촌 지역에선 65세 이상 고령자 4명 중 1명은 독거노인이다. 독거노인을 포함해 자녀와 같이 살지 않은 고령자도 증가하고 있다. 혼자 살거나 배우자, 친척 등과 사는 이들이 5명에 3명꼴이나 됐다.9일 한국인구학회가 통계청의 의뢰로 작성한 '2010 인구주택총조사 전수결과 심층분석을 위한 연구'를 보면 2000년만 하더라도 65세 이상 고령자가 기혼 자녀와 함께 사는 이들이 많았지만 10년 후엔 부부끼리 사는 이들이 대세였다. 결혼한 자녀가 분가한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2000년엔 고령자는 주로 기혼자녀와 사는 경우(35.7%)가 많았다. 부부끼리만 살거나 혼자 사는 비율은 각각 29.2%, 16.8%였다.10년 후엔 상황이 달라졌다. 부부끼리 사는 이들이 35.9%로 기혼자녀와 함께 사는 비율(23.5%)을 크게 넘어섰다.혼자 사는 비율까지 포함하면 고령자 가운데 자녀 없이 사는 비율은 2000년 50.9%에서 2010년 61.8%로 10.9%포인트나 증가했다.미혼자녀와 사는 고령자의 비율이 10년 사이 9.1%에서 8.0%로 큰 변동이 없는 점을 고려하면 미혼자녀들을 데리고 사는 경향은 여전하지만, 자녀가 결혼하면 따로사는 추세가 강해졌음을 알 수 있다.

  • 오피니언
  • 연합
  • 2012.01.10 23:02

교단 '女超' 심화…여교사 비율 10년째 증가

지난 10년간 초중고등학교에서 여교사의 비율이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초등학교 교사 중 여교사는 76%, 중학교는 67%에 달하고 고교도 50%에 육박할 정도로 여교사 비율이 늘어 '여초 현상'이 고착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이에대해 학교폭력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성장기 남학생이 남자 교사를 통해 인성사회성 함양 교육을 받도록 남교사 충원 방안을 진지하게 고려해야할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8일 교육과학기술부가 최근 파악한 '2002-2011년 초중고시도별 여교사 비율' 자료에 따르면 초중고 모두 이 기간 한 해도 빠짐없이 여교사 비율이 상승했다.여교사 비율은 2002년(이하 4월1일 기준) △초 68.2% △중 59.7% △고 35.2%던 것이 2011년 △초 75.8% △중 66.8% △고 46.2%로 증가했다.초등학교 18만623명, 중학교 11만658명, 고교 13만1083명 등 전체 교사 42만2364명 중 여교사는 27만1천287명으로 64.2%다.2011년의 경우 초등학교는 서울의 여교사 비율이 무려 85.0%, 대전은 84.4%였고 부산(80.4%)대구(81.0%), 광주(78.8%)도 80% 안팎에 달하는 등 대도시 지역의 여교사 비율이 매우 높았다.중학교는 경기(74.9%)인천(73.8%)부산(72.4%)울산(71.8%)서울(68.7%) 순으로 여교사 비율이 높았다.

  • 오피니언
  • 연합
  • 2012.01.09 23:02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