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5 02:33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교육 chevron_right NIE

[동물복지] 닭·돼지도 살아있는 동안은 행복해야

■ 주제 다가서기6학년 실과 시간에 〈생활 속의 동식물 이용〉에서 아이들이 교과서(동아출판사)에서 보는 돼지는 행복해 보인다. 그리고 요즘 요리 방송의 인기는 대단하다. 그런데 우리가 먹는 축산물은 과연 어떨까? 안전할까? 동물들은 사는 동안 행복할까? 사실 우리나라에서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돼지 농가는 3곳에 불과하다.이에 동물들을 이용하기 전에 동물들이 자라는 축산 환경을 돌아봄으로써 우리 사회에 동물복지에 대해 공감하는 시간을 가져 보고자 한다.■ 신문 읽기(자료 기사)〈읽기 자료1〉넓은 공간서 동물 고통 최소화동물복지라는 개념은 아직 우리에게 좀 생소하지만, 이미 오래전 1964년 영국에서 시작됐다. 루스 해리슨은 동물 기계(Animal machines)란 책에서 가축들이 좁은 공간에서 밀집 사육되는 비참한 현실을 알렸다.동물복지 마크는 닭돼지 등 가축들이 본래 습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사육시설을 갖춘 농장에 농림축산식품부가 주는 인증마크다.인간의 필요에 따른 동물 이용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동물이 살아있는 동안 불필요한 고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우리나라에도 이 취지에 맞춰 지난 2012년부터 인도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농장을 국가에서 인증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현재까지 전국적으로 산란계 농장 66곳, 돼지농장 3곳, 육계농장 1곳이 동물복지 인증을 받았다.동물복지 농장의 핵심은 넓은 공간이다. 일반적인 돼지농장에서 어미 돼지는 폭 60㎝, 길이 2m 정도의 철제 우리에 갇혀 지낸다. 어미 돼지들은 그 안에 3~4년씩 갇혀 1년에 두 번 이상 새끼를 낳다가 도태된다. 반면 동물복지 인증 농장에서는 풀밭에서 자유롭게 뛰어놀며 코로 땅을 파거나 흙탕물에서 뒹구는 등 자유롭게 활동한다.동물복지는 폐쇄형 우리 사육 방식을 금지한다. 동물복지 돼지농장의 경우 철제 우리 사용이나 새끼돼지의 꼬리 자르기, 항생제성장 촉진제 사용 등을 할 수 없다.닭 농장도 마찬가지다.일반 양계 농장은 폐쇄형 우리에서 닭을 사육한다. 닭은 A4용지 3분의 2 크기의 공간에 갇혀 날갯짓은 물론 본능적 행동인 모래 목욕도 못 한 채 자란다. 이렇게 좁은 공간에서 자란 닭들은 스트레스를 받아 다른 닭들의 깃털을 쪼는데, 이를 막기 위해 병아리 때 부리를 자르기도 한다.〈출처 : 전북일보 2015-12-14 16면〉〈읽기 자료2〉행복하게 자란 돼지, 더 건강한 먹을거리고 보답한다는데김연주(33)씨는 요즘 마트에서 달걀을 살 때 포장지를 살핀다. 등급을 따지거나 무항생제유기농 표시를 찾는 것은 아니다. 초록색 동물복지(Animal Welfare) 마크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동물복지 마크는 닭돼지 등 가축들이 본래 습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사육시설을 갖춘 농장에 농림축산식품부가 주는 인증마크다. 김씨는 더 맛있고 건강한 먹거리라고 생각해 가격이 비싸도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달걀을 산다고 했다.동물복지는 인간의 필요에 따른 동물 이용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동물이 살아 있는 동안 불필요한 고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취지에 맞춰 2012년부터 인도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농장을 국가에서 인증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산란계 농장 66곳, 돼지농장 3곳, 육계농장 1곳이 동물복지 인증을 받았다.지난 1일 경기도 이천 성지농장에서 돼지들이 풀을 뜯고 있다. 일반 돼지 농장에서 어미 돼지들은 몸을 돌릴 수조차 없는 폭 60㎝짜리 철제 우리에 갇혀 평생을 보낸다. 동물복지 돼지 농장은 철제 우리 대신 개방형 축사와 풀밭을 갖추고 있다.지난 1일 경기도 이천 성지농장에서 돼지들이 풀을 뜯고 있다. 일반 돼지 농장에서 어미 돼지들은 몸을 돌릴 수조차 없는 폭 60㎝짜리 철제 우리에 갇혀 평생을 보낸다. 동물복지 돼지 농장은 철제 우리 대신 개방형 축사와 풀밭을 갖추고 있다.고기나 달걀을 얻기 위해 사육하는 가축을 인도적으로 기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지난 1일 경기도 이천시 성지농장을 찾아가 봤다. 이 농장은 3만㎡에 돼지 2,200여 마리를 키우는 농장으로, 지난 6월 동물복지 인증을 받았다. 농장에 들어서면 150㎡ 크기 풀밭이 먼저 눈에 띈다. 이곳에 돼지 15마리가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있었다. 풀을 뜯어 먹기도 하고 흙탕물에서 뒹굴기도 했다. 풀밭 양쪽에 있는 축사는 칸막이 없는 개방형이고 바닥에는 톱밥이 깔렸다. 이범호 성지농장 대표는 돼지들은 코로 땅을 파헤치는 습성이 있는데, 톱밥은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동물복지 농장의 핵심은 넓은 공간이다. 일반적인 돼지농장에서 어미 돼지는 폭 60㎝, 길이 2m 정도의 철제 우리에 갇혀 지낸다. 어미 돼지들은 그 안에 3~4년씩 갇혀 1년에 두 번 이상 새끼를 낳다가 도태된다.닭 농장도 마찬가지다. 일반 양계 농장은 폐쇄형 우리에서 닭을 사육한다. 닭은 A4용지 3분의 2크기의 공간에 갇혀 날갯짓은 물론 본능적 행동 중 하나인 모래 목욕도 못한 채 자란다. 이렇게 좁은 공간에서 자란 닭들은 스트레스를 받아 다른 닭들의 깃털을 쪼는데, 이를 막기 위해 병아리 때 부리를 자르기도 한다. 돼지농장에서도 스트레스로 다른 돼지들의 꼬리를 물어뜯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새끼돼지의 꼬리를 자르는 게 일반화돼 있다.동물복지는 폐쇄형 우리 사육 방식을 금지한다. 동물복지 돼지농장의 경우 철제 우리 사용이나 새끼돼지의 꼬리 자르기, 항생제성장 촉진제 사용 등을 할 수 없다. 닭농장의 경우 1㎡당 큰 닭 9마리 이하를 길러야 하며 닭이 올라앉을 수 있는 홰와 깔짚을 제공해야 한다. 부리 다듬기, 강제 털갈이 등도 금지돼 있다. 닭은 털갈이 후 더 자주 알을 낳는다. 이 때문에 일반 양계농장들은 더 많은 알을 낳게 하려고 닭을 굶기거나 물을 주지 않는 등의 방법으로 강제 털갈이를 유도한다.닭들이 깔 짚 위에서 자유롭게 거닐고 있다. A4 용지 면적보다 작은 우리에 갇혀 지내는 일반농장 닭들과 달리 동물복지 양계농장의 닭들은 충분히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동물복지 개념은 1964년 영국에서 시작됐다. 루스 해리슨은 동물 기계(Animal machines)란 책에서 가축들이 좁은 공간에서 밀집 사육되는 비참한 현실을 알렸다. 현재 영국의 경우 달걀의 49%, 돼지고기의 28.2%, 닭고기의 5.2%가 동물복지 축산물이다. 스웨덴 닭고기의 90%, 네덜란드 달걀의 95%, 덴마크 쇠고기의 30% 역시 동물복지 농장에서 나온 생산품이다.동물복지 인증제품은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이기도 하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일반 축산물과 비교할 때 방사해서 키운 닭의 지방함량은 50% 낮고 달걀의 비타민E 함량은 100%, 베타카로틴은 280% 정도 높게 나타났다. 오메가 3 함량도 일반 축산물 대비 달걀은 178%, 돼지고기는 290%, 닭고기는 565% 이상 높았다. 동물복지 달걀은 일반 달걀보다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코르티솔이 적게 검출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종호 농림축산검역검사본부 사무관은 가축이 밀집 사육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적어져 면역력이 향상되는 등 건강상태가 좋아진다. 이는 질병 및 항생제 사용 감소로 이어진다고 했다.문제는 비용이다. 김계웅 공주대 동물자원학과 교수는 동물복지의 취지는 좋지만, 대규모 축산사업에서는 사실상 불가능한 방식이라고 했다. 가축이 살아가는 데 넓은 면적을 제공하려면 비용이 증가한다. 소비자 가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동물 복지 인증 달걀 가격은 400~500원 선으로 일반 달걀의 두 배 수준이다. 돼지고기 역시 20~40%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2012년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답변자의 58%가 가격 부담이 있더라도 동물복지 축산농장에서 생산된 축산물을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현재 생산되는 동물복지 축산물이 모두 소비되지 못하고 있다. 〈출처 : 조선일보 2015-09-05 b06면〉■ 생각 열기△〈읽기 자료1,2〉를 읽고, 모르는 단어에 O를 표시해 보아요. 전체 글과 앞뒤 문장을 고려하여 추측해 봅시다. 친구들(가족들)과 협력하여 뜻을 찾아보아요.△질문하고 싶은 것을 적어 보세요.( 질문하는 힘을 키워 봐요!)예) 우리나라에 동물복지 인증을 받은 곳이 이렇게 적은 이유는 뭘까?어미 돼지와 닭은 좁은 공간에서 고통을 받는데 어떻게 그러한 곳에서 기를까?△A4를 2/3 크기로 접어보고 그 안에 타원형(닭이 좁은 공간에서 웅크리고 있는 장면을 간단히 표현한 것)을 그려 봅시다. 그런 다음 닭의 입장이 되어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나눠 봅시다.△ 동물복지란 무엇인지 친구(가족)에게 설명해 보아요.■ 주제 관련 신문기사 더 보기△200kg이 폭 60cm 철장서 살찌는 기계로 / 경향신문 2012-09-28 2면△악취 없애니 폐사율 줄고 고기 육질 뛰어나 / 전남일보 2015-10-07 7면△공장식 축산 다룬 다큐영화 '잡식 가족의 딜레마' / 경향신문 2015-05-04 22면△열악한 공장식 축산 환경, 해마다 악몽 되풀이된다 / 대전일보 2016-01-18 3면△EU 5가지 자유 보장산책 안 시켜도 법적제재 / 머니투데이 2015-08-18 7면■ 생각 키우기△동물 복지는 왜 필요할까요? ?토론해 봅시다.?△ 어떻게 하면 우리 식탁에 행복한 돼지와 닭이 올라올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자기 생각을 써 봅시다.■ 용어 풀이△스톨(stall) : (마구간외양간 등의 한 마리용의) 칸막이, 한 칸; (stalls) 마구간, 외양간, 가축 우리〈출처 : 다음 사전〉■ 토론의 현장 속으로- 말 못하는 동물이지만 행복할 권리 있다우리 사람들은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먹을 때 행복한 표정을 짓습니다. 하지만 돼지와 닭은 전혀 행복하지 않은 채로 우리의 식탁에 올라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우리 식탁에 행복한 돼지와 닭이 올라올 수 있을까요?그것은 바로 동물 복지에 관심을 두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동물 복지를 하면 좋은 점은 무엇보다 동물들도 살아가는 동안 행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동물들에게 5가지 자유를 보장하면 좋겠습니다. EU(유럽연합)가 보장하는 5가지 자유에는 ① 기아갈증으로부터의 자유 ② 불편함으로부터의 자유 ③ 고통상처질병으로부터의 자유 ④ 정상적인 활동을 할 자유 ⑤ 공포스트레스로부터의 자유 등이 있습니다.특히, 경제 동물인 돼지와 닭을 위해서는 폐쇄형 우리 사육 방식을 금지하고 좀 더 넓은 우리를 제공하면 좋겠습니다. 꼬리 자르기, 부리 다듬기, 항생제와 성장촉진제 등을 금지한다면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한 돼지와 닭이 우리 식탁에 올라올 수 있을 것입니다. 심지원(전주양지초 6학년)- 죄 없는 사형수, 돼지를 아시나요?일반적인 돼지 농장에서 어미 돼지는 폭 60cm, 길이 2m 정도의 철제 우리에 갇혀 새끼를 낳다가 도태됩니다. 이런 돼지가 과연 행복할까요? 꼬리가 잘린 뒤 철제 우리에 평생 갇혀 자유롭지 못한 채 몸만 커집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쓸쓸하게 버려지지요. 그런데 이 돼지는 무엇을 잘못했기에 이렇게 살아야만 할까요?우리가 먹는 경제 동물은 과연 행복할까요? 저는 수업 시간에 닭의 처지가 되어 인터뷰해 보았습니다. 닭의 처지에서 A4의 2/3밖에 안 되는 곳에서 날마다 고통을 당하는 닭의 처지를 대변해 보았습니다. 정말, 닭이 불쌍하였습니다. 돼지는 어떤가요? 동화 속 돼지처럼 항상 웃고 있을까요?동물도 생명입니다. 존중받아야 할 가치와 권리가 있는 소중한 생명입니다. 토론하면서 저는 우리가 먹는 동물이지만 동물을 좁은 곳에 가두어 두며 꼬리를 자르고 부리를 자르고 알을 낳게 하려고 굶기는 등의 행동은 학대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제는 사람들의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시는 죄 없는 사형수가 생기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박수예(전주양지초 6학년)- 정부에겐 과연 동물 복지 정책이 있는지공장식 축산은 적은 땅에서 많은 동물을 키우느라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아 건강이 나빠지지만, 동물 복지 축산은 동물이 스트레스를 적게 받도록 넓고 자연 상태에 가까운 형태로 기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들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학대에 가까운 짓(?)을 하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그것도 정부가 앞장서서 2009년에서 2015년까지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에 투입된 예산이 1조 원이 넘고 그중의 대부분이 동물 학대를 통한 생산성 높이기 위해 지원한다니.공장식 축산보다 동물 복지 축산을 위해서는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선, 정부가 동물 복지 정책을 마련하여 지원하고 동물 복지 정책의 효과와 실천을 위한 방안을 자세히 알려야 합니다. 그리고 농장 주인들도 공장식 축산이 아니라 동물 복지 축산을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소비자인 우리도 동물 복지 정책을 통해 기른 축산물을 먹는(소비하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임효정(전주효문초 6학년)

  • 초중등
  • 기고
  • 2016.06.17 23:02

[6·10 만세운동과 6월 민주항쟁]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잇다

■ 주제 다가서기1926년 6월 10일은 조선 마지막 임금인 순종의 장례일이자 610 만세운동이 일어난 날이다. 또한, 1987년 6월 민주항쟁이 시작되었던 날이다. 31 운동이 고종의 장례식에 맞추어 일어난 것이라면, 610 만세운동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의 장례식에 맞추어 전개되었다.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6월 10일에 예정대로 서울 거리로 뛰쳐나왔다. 61년이라는 역사가 흘러 1987년 6월 10일 정부의 무자비한 독재와 탄압을 참지 못한 학생과 시민들은 거리로 나왔다. 이것이 바로 6월 민주항쟁이다. 그래서 6월 10일은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을 잇는 뜻 깊은 날이다. 1926년과 1987년의 6월 10일 그날의 사건을 재조명하여 소중한 우리의 역사를 알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그 의미를 새겨봤으면 한다.■ 주제 관련 신문기사[읽기자료 1] 뉴시스, 2012년 6월 10일, 영원히 계승해야 할 민주정신, 군사독재 몰아낸 610민주항쟁[읽기자료 2] 대경일보, 2016년 5월 24일, 제2의 31만세운동 610만세운동(90주년)[읽기자료 2] 뉴시스, 2009년 6월 10일, 6월10일은 韓 근현대사에서 어떤 의미?■ 신문읽기[읽기자료 1]영원히 계승해야 할 민주정신610 민주항쟁은 한국 현대사의 큰 분수령이었다. 국민의 힘으로 서슬 퍼런 군사독재를 몰아내고 민주화의 서막을 알리는 커다란 전환점이었다.전국적으로 연인원 500만 명 이상이 20여 일 동안 자발적으로 거리로 몰려나와 독재정권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다. 역사적으로 군사독재를 종식시키고 국민 스스로 주인임을 자각했다는 점에서 반독재 민주화 투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1979년 1212사태(전두환노태우 등이 이끌던 군부 내 사조직인 하나회 중심의 신군부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사건)로 정권을 잡은 제5공화국 전두환 대통령은 1985년 간선제로 선출됐다. 전 대통령의 군부 정권은 도덕성 결여와 비민주성이라는 약점을 갖고 있었다. 이는 야권과 재야세력의 직선제 개헌 공세 대상이 됐다.1986년 개헌 서명운동에 1000만 명이 동참하는 것은 물론 여야가 헌법 개정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 대통령은 1987년 4월13일 개헌 논의를 중단시킨 이른바 413 호헌(護憲) 조치를 통해 독재군부정권 유지 뜻을 천명한다.이 와중에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서울대 학생 박종철 씨는 서울 남영동 치안본부(현 경찰청) 대공분실에 끌려가 물고문을 당하던 중 1월14일 숨졌다.당시 경찰은 조사관이 주먹으로 책상을 탁치며 혐의사실을 추궁하자 억하며 쓰러졌다고 발표하며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축소 발표했다.하지만 이 같은 사실이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에 의해 만천하에 드러났고, 이 소식을 접한 국민들의 시위가 전국 곳곳에서 일어났다.6월9일 연세대 2학년이던 이한열은 학교 앞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쓰러진 뒤 사경을 헤매다 7월5일 끝내 숨졌다.분노한 학생과 시민들은 길거리로 나섰고, 꽃다운 두 젊은이의 희생은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됐다.5월 27일 꾸려진 민주헌법 쟁취 국민운동본부(국본)는 6월 10일 전국 곳곳에서 대규모 시위를 개최했다. 박 군의 고문치사 사건 조작은폐를 규탄하고 호헌 철폐를 요구하는 국민대회였다.주요 도시 곳곳에서는 학생들과 시민들로 거리가 메워졌다. 주요 도로 곳곳의 교통이 마비됐지만 시민들은 시위대를 지지하며 손수건과 자동차 경적으로 호응했다.호헌철폐, 독재타도 구호는 전국에서 울려퍼졌다. 이날만 22개 지역에서 24만여 명이 참가한 것으로 주최 측은 추산했다. 경찰에 연행된 시위대도 수천 명에 달했다. 구속된 이들은 국본 간부를 포함한 220여명이다.대항쟁은 멈추지 않았다. 5일여 동안 명동성당에서 집회가 이어졌고 낮에는 넥타이부대와 일반시민들이 지원시위가 끊이지 않았다.6월15일 다시 전국적으로 되살아난 시위 불씨는 26일 전국 30여개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민주헌법쟁취 국민평화대행진까지 계속됐다. 이 때까지 시위에 참여한 인원은 500여만 명으로 추산된다.결국 전 대통령은 이에 굴복, 민주정의당(민정당) 노태우 당시 대표가 대통령 직선제 개헌 등을 골자로 한 629민주화선언을 발표하기에 이른다.이는 민중의 힘으로 전두환 군부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직선제 개헌을 쟁취한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동시에 이승만 대통령을 하야시킨 1960년 419혁명과 같이, 전두환 군부독재 정권에 저항한 1980년 518광주민중항쟁과 같이 민중 역사의 한 획이 그어지는 순간이기도 했다.우리 사회에 민주주의 이념과 제도가 뿌리내리는 결정적 계기가 된 6월 항쟁은 그해 12월 16년 만에 직선제로 치러진 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시 민정당 노태우 후보가 당선되면서 미완의 역사로 마무리됐다.6월 항쟁 25주년 행사 국민추진위원회 서우영 조직팀장은 6월 항쟁은 민주화를 간절히 열망했던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거리로 나와 경찰의 최루탄 가스와 폭력에 맞서며 거세게 저항한 투쟁의 역사라며 전두환 군부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직선제 개헌을 쟁취하며 이뤄낸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이어 우리 사회에 민주주의와 제도가 뿌리내릴 수 있는 계기가 됐다며 6월 항쟁의 민주정신은 단순하게 기록된 역사 정도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함께 영원히 계승해야 할 살아있는 민주주의 역사라고 덧붙였다. 〈뉴시스, 2012년 6월 10일, 박성환 기자〉[읽기자료 2]제2의 31만세운동, 610만세운동610만세운동은 1926년 6월 10일 융희황제(순종) 인산일, 곧 장례일을 기해 일어난 제2의 만세운동이다. 4월 25일 융희황제가 서거하자 610만세운동이 추진됐다. 이를 이끌어 낸 인물이 바로 경북 안동의 권오설(權五卨, 1879~1930,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과 김천 출신의 김단야(金丹冶, 1900~1938, 본명 김태연, 2005년 건국훈장 독립장)이다. 원래 이들은 5월 1일 서울에서 메이데이 시위를 기획하고 있었는데 순종이 승하했다는 소식을 듣고, 장례일에 대중적 시위를 일으키는 쪽으로 운동 방향을 바꿔 4월 말부터 610만세운동을 기획하기 시작했다.권오설은 1926년 5월 1일 상주 차림으로 변장하고서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건너갔다. 안동(지금의 단동)에서 김단야를 만나 활동 방향을 논의했는데, 만세시위 곧 제2의 31운동을 일으키자는 것이 그 핵심이었다. 국내로 돌아온 권오설은 조선공산당의 동의를 얻고, 610투쟁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만세 준비에 나섰다.만세운동을 펼칠 조건은 31운동 때보다 훨씬 나빴다. 31운동을 경험한 일제는 순종의 장례에 있을 저항을 미리 막고자 군대와 경찰을 모두 동원해 물샐틈 없는 통제를 하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장례일에 맞춰 시위를 일으킨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러나 권오설은 여기에 굴하지 않고 전 민족이 참여한 독립만세를 이끌어 내기 위해 통일전선체 조직에 나섰다. 권오설은 610투쟁 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이를 31운동 때와 같이 전 민족적인 운동으로 발전시키고자 사회주의민족주의종교계청년계학생계를 망라한 통일전선 조직을 구상했다. 그 결과 국외에서는 조선공산당 임시상해부와 상해의 임시정부 및 그 외곽단체인 병인의용대, 국내에서는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천도교조선노농총동맹, 그리고 일본유학생과 국내 조선학생과학연구회를 비롯한 학생 등 다양한 주체들이 정치적 이념을 초월해 연대를 이뤘으며, 그 지도기관으로 대한독립당도 만들었다. 상해에 있던 김단야는 민중들에게 알리는 격문을 직접 썼다. 그리고 5천매를 인쇄해 국내로 들여보냈다.그런데 만세운동이 일어나기 3일 전인 6월 7일 격고문이 발각돼 권오설은 체포되고 말았다. 이어 이튿날인 6월 8일, 일제는 거의 전 지역에서 철야 경계에 돌입했다. 장례에 참여코자 서울로 오는 사람들을 미리 막아, 만세운동이 지방으로 확산될 여지를 막기 위함이었다. 끝내 200여 명이 체포되고, 610만세 추진위원회가 구상했던 지방으로의 연락 계획도 좌절되고 말았다.더 이상 만세운동이 일어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런데 6월 10일 기습적인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났다. 권오설과 함께 만세를 준비했던 학생들이 비밀리에 만세운동을 추진한 것이다. 여기에 큰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경북 안동 예안면 부포마을 출신의 이선호(李先鎬, 1904.7.12.~?,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다.장례 행렬이 종로 3가 단성사 앞을 지나자 중앙고보생이었던 이선호가 길 가운데로 뛰어나오며 만세를 부르기 시작했다. 이것은 610만세운동의 신호탄이 됐다. 이선호의 뒤를 이어 중앙고보생들이 만세를 외치고 태극기와 격문을 뿌렸으며, 만세소리가 거리 곳곳으로 퍼져 나가기 시작했다. 관수교觀水橋경성사범학교 앞훈련원동대문청량리에 이르는 연도에서도 많은 민중이 호응했다. 이 과정에서 안동 출신의 권오설, 권오상(權五尙), 권오운(權五雲), 권태성(權泰晟), 류면희(柳冕熙), 이선호(李先鎬), 이수원(李壽元)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철저한 경계를 늦추지 않았던 일제 당국은 기습적인 독립만세운동이 있자, 7천여 명의 보병기병포병을 각 요소에 배치했다. 그리고 더 이상 사태가 커지지 못하도록 무차별 검거에 나섰다. 검거된 중앙고보 학생 가운데 하나는 매를 맞아 머리에 선혈이 흐르기도 했다. 만세 현장에서만 100여 명이 체포되고, 이들 가운데 이선호를 비롯한 대표자 11명이 기소됐다.이선호의 법정투쟁은 610만세운동의 정신이 무엇이었는지 잘 보여 주고 있다. 동아일보(1926.11.4)에 따르면 이선호는 법정에서 자유를 부르짖으면 반드시 자유가 온다는 굳은 신념 아래 자유를 얻기 위하여 한 것이다라고 명쾌하게 답변했다. 또 이듬해 3월, 복심법원 공판에서도 나는 자유의 나라를 동경하고 있다. 신학기를 맞아 공부하고 싶어서 양심에 없는 답변이라도 하고 싶으나, 지금도 역시 마음은 변하지 않았노라고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 이선호는 국권과 자유를 회복키 위해 일어난 610만세운동의 취지와 뜻을 끝내 꺾지 않았던 것이다. 그는 징역 1년형을 받았으나, 실제로 그가 풀려난 때는 1927년 9월 20일이다. 1년 3개월도 넘는 동안 감옥에서 고생한 것이다. 옥고를 치르고 나온 이선호는 얼마 지나지 않아 일본으로 건너가 1930년대까지 항일투쟁을 이어 갔다.이날의 만세투쟁은 비록 31독립만세운동처럼 크게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31운동을 경험했던 일제의 삼엄한 경계 아래 전개됐다는 점. 그 자체로 중요한 의미를 갖지만, 그 밖에도 독립운동사에서 값진 열매를 맺었다. 첫째, 사회주의운동의 추진 주체들이 민족혁명에 깊은 관심을 보이면서 민족주의자들과 연대를 이뤄 민족통일전선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점 둘째, 민족통일전선을 이뤄 신간회 설립의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 셋째, 학생운동에 영향을 줘 1928년 광주학생운동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학생운동이 발전해 갈 수 있었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출처 : 대경일보, 2016년 5월 24일, 안상수 기자〉[읽기자료 3]6월10일은 韓 근현대사에서 어떤 의미?6월10일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적지 않은 상징성을 지닌다.1926년 6월10일 일어난 610만세운동은 조선의 마지막 국왕인 융희(隆熙) 순종 황제의 출상일을 기해 일어난 독립운동을 일컫는다. 병인(丙寅) 만세운동이라고도 한다31운동 이후 노골화된 일제의 조선인 학생 차별이 이 운동의 도화선이 됐다.연희전문의 이병립박하균, YMCA 영어과의 박두종 등이 주도해 서울 종로3가 단성사에서 격문을 뿌리며 조선독립을 외쳤다. 이후 만세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됐다. 당시 전국적으로 1000여 명 이상이 경찰에 체포투옥됐다.1987년 6월10일 일어난 610민주항쟁은 전두환 군사정권의 413호헌조치에 반발해 재야와 통일민주당 등이 연대해 만든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가 이끌어냈다.국민운동본부는 이날 박종철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범국민대회를 개최해 군사정권에 대한 저항의지를 다졌다.같은 날 민주정의당 노태우 대표위이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전두환 정권의 간선제 호헌에 대한 국민의 저항이 급격히 확산됐다.이후 500여 만 명이 넘는 기록적인 시위인파가 413호헌조치 철폐, 직선제개헌 쟁취, 독재정권 타도 등을 외치며 민주화를 요구했다.민주정의당 노태우 대통령 후보는 이같은 국민적 요구에 따라 직선제개헌과 평화적 정권이양, 대통령선거법 개정, 김대중 사면복권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629선언을 발표했다.610민주항쟁은 전두환정권의 권위주의적 권력유지를 민주세력과 시민의 역량으로 저지시켰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민주당과 시민단체 등이 10일 오후 7시 서울광장에서 개최하는 610 민주회복 범국민대회는 610민주항쟁 22주년을 기념한 것이다.〈출처 : 뉴시스, 2009년 6월 10일, 변휘기자〉■ 생각열기(1) [읽기자료 1]을 읽고 6월 민주 항쟁이 일어나기 전, 우리나라에서는 대통령을 어떻게 뽑았는지, 전두환 대통령은 왜 헌법을 고치지 않으려고 했는지 친구들과 토의해보자.(2) [읽기자료 1]과 [읽기자료 2]를 읽고 6월 민주 항쟁과 6월 10일 만세운동이 일어난 배경과 전개과정, 그 결과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3) [읽기자료 3]를 읽고 6월 민주항쟁과 만세운동이 한국 근 현대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 친구들과 토의해보자.■ 생각 키우기(1) [읽기자료 1]과 [읽기자료 2]를 읽고 6월 항쟁이 일어났던 1987년 당시 사회의 모습과 6월 10일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1926년 당시 사회의 모습을 비교해보자(2) 일본에 강제로 합병당한 후 우리는 굴하지 않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 계속 독립운동을 해 나갔으며 민주주의 국가에서 독재 정치를 통해 권력을 잡으려는 정부 앞에 우리 국민은 계속해서 민주화 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3.1 운동, 6.10 만세운동, 광주 학생 항일 운동, 419 혁명, 6월 항쟁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일본과 독재에 빼앗긴 자유를 찾으려는 꿈이 이어져 왔다는 공통점이 있다.다음 자료는 6월 항쟁 당시 널리 불렸던 대표적인 민중가요이다. 이 노래가 불렸던 이유를 생각해보고 느낀 점을 친구들과 이야기해보자.그날이 오면 한 밤의 꿈은 아니리/오랜 고통 다한 후에/내 형제 빛나는 두 눈에/뜨거운 눈물들//한줄기 강물로 흘러/고된 땀방울 함께 흘러/드 넓은 평화의 바다에/정의의 물결 넘치는 꿈//그날이 오면/그날이 오면//내 형제 그리운 얼굴들/그 아픈 추억도/아 짧았던 내 젊음도/헛된 꿈이 아니었으리//(중략)/아 피맺힌 그 기다림도/헛된 꿈이 아니었으리//그날이 오면 (출처 : 경향신문, 2007년 6월7일)(3) 다른 나라의 독립 민주화 운동의 사례를 조사해보자. 예를 들어, 영국의 시민혁명, 프랑스의 시민혁명, 미국의 독립혁명, 프랑스의 7월 혁명과 2월 혁명, 영국의 차티스트 운동, 러시아의 브나로드 운동 등이 있다.■ 학생의 글- 6월 10일, 그날의 의미를 되새기며1987년 6월 10일은 민주주의를 향해 가까이 내딛게 했던 6월 항쟁이 일어났던 날이다. 서로서로 희생하면서까지 우리 모두를 위해 운동을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깐 내 나라를 사랑하고 모두의 자유를 위해서라는 대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 운동들 덕분에 지금 우리가 많은 자유를 얻게 되었고, 지금의 민주주의 국가인 대한민국이 있었던 것 같다.1926년 6월 10일에는 우리나라의 자유를 위해서 독립의 소망을 품고 손을 잡고 한목소리로 대한 독립 만세를 외쳤던 사람들이 있었다. 6월 10일 만세운동은 민족 대표가 주도했던 3.1운동과는 달리 학생들끼리 계획하고, 추진한 운동이라고 한다.과거 많은 사람이 그리고 학생들조차도 우리나라를 위해 이런 일을 했다면, 나는 우리나라를 위해 무엇을 노력해야 할까? 우선 어른들은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아직 어리다. 어리기 때문에 가만히 있어야 하는 걸까?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을 계속해보게 된다.먼저 우리나라의 기념일들을 찾아보며 감사하는 마음을 기르고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역사를 열심히 공부해서 널리 알리고 싶다. 그리고 우리가 지금 이렇게 편하게 사는 것도 전부 옛날 분들의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에 항상 그것을 머릿속에 새기며 감사해야겠다.달력을 보면 우리나라 중요한 역사가 있었던 날은 빨간색으로 공휴일 표시를 해둔다. 그런데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날에 놀러 가기에만 급급하기만 하고 그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 것 같다. 특히, 6월 10일은 공휴일도 아닌데, 사람들은 기억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그날의 의미도 모른 채 흘려보내는 경우가 많아서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나 또한 이 글을 쓰면서 6월 10일 그날의 의미를 생각해보게 되었던 것 같다.마지막으로 선생님이 NIE 시간에 우리에게 던지셨던 우린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마음에 남기며 우리나라를 사랑하고 가꿔 나가야겠다. 최수현(토기장이학교 6학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6.10 23:02

[호국보훈의 달] 우리가 재조명해야 할 역사 속 독립투사

■ 주제 다가서기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5월이 가족 구성원들의 고마움을 새삼 느끼며 이를 서로 표현하는 가정의 달이었다면, 6월은 확대된 범위의 가족과 가정 즉 국가를 생각하는 달이라고 볼 수 있다. 국가를 지키기 위해 본인의 목숨마저 아깝게 여기지 않았던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일은 시대에 따라 형식과 절차가 변화할 뿐 존재의 근거는 여전히 중요하다. 이번 주에는 국가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독립투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주제 관련 신문기사△ 한국일보 2016년 2월 29일 이화학당 31운동 열정 뒤엔 그녀가 있었다△ 전남일보 2016년 2월 15일 안중근 의사와 어머니△ 조선일보 2016년 2월 3일 최초 여성 비행사 권기옥 志士, 공군 임명장 복원■ 신문 읽기〈읽기 자료 1〉이화학당 31운동 뒤엔 그녀가 있었다여성 독립운동가 하란사(본명 김란사, 1872~1919)는 대중에게 익숙한 이름이 아니다. 독립운동가하면 총칼을 들고 일제에 맞서 싸우거나 옥고를 치른 인물을 떠올리기 쉬운 탓에 여성 독립운동가 역시 유관순 열사를 기억하는 정도다. 하지만 하란사는 유관순 열사의 스승으로 31운동을 태동시킨 주역이었다. 고종이 1919년 파리국제강화회의에 파견할 밀사로 점찍는 등 독립의 숨은 공로자였으나 후손조차 그의 활약을 뒤늦게 알 만큼 잊혀 왔다.구한말 평양에서 태어난 하란사(남편 성을 따름)는 일찌감치 교육의 중요성을 깨달아 스물한 살에 결혼한 뒤 이화학당의 문을 두드린 신여성이었다. 그러나 기혼자라는 이유로 입학을 거부당하자 외국인 교장을 찾아가 등잔불을 끄고 내 인생은 한밤중처럼 어둡다. 학문의 빛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달라고 설득해 기어이 입학 허가를 받아냈다. 졸업 후에는 미국 웨슬리안대로 유학해 한국 여성 최초로 문학사 학위를 따기도 했다.그는 귀국 후 여성이 주도하는 비폭력 독립운동에 매진했다. 이화학당 교사로 일하면서 학생 자치단체인 이문회를 이끌며 암울한 민족의 현실과 세계 정세를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유관순 열사도 그 중 하나였다. 제자였던 유 열사에게 이문회 가입을 권유한 뒤 조선을 밝히는 등불이 돼 달라고 부탁했다는 일화도 전해지고 있다. 2011년 최초의 여학사, 하란사의 생애와 활동이라는 논문을 쓴 고혜령 전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은 이화학당 학생들이 31만세 운동을 주도한 데에는 하란사의 영향이 컸다고 평가했다.실패로 끝난 파리강화회의 밀사 파견 계획은 독립운동가 하란사의 위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후세대가 그를 외면해 온 이유로 꼽힌다. 고종은 그가 유학 당시 의친왕과 웨슬리안대를 함께 다닌 인연을 알고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할 밀사로 선발했다. 자금으로 쓰라며 궁중 패물까지 손수 쥐어 줬다고 한다. 하지만 모든 계획은 1919년 1월 고종의 갑작스러운 승하로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이후 하란사는 그해 4월 중국 베이징에서 한 교민의 환영 만찬에 참석했다가 음식을 먹고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시신이 검게 변해 있었다는 장례식 참석 선교사의 증언, 이토 히로부미의 양녀였던 배정자가 살해했다는 이야기 등 여러 독살설이 전해질 뿐이다. 민족문제연구소 관계자는 하란사가 무장투쟁을 하지 않았고, 뚜렷한 족적이 없는 여성 독립운동가라 관심을 기울이는 이는 많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생략〉〈읽기 자료 2〉안중근 의사와 어머니2월 14일은 안중근 의사 사형 선고일이다. 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에서 조선 식민지회를 주도한 원흉으로 꼽히는 이토 히로부미 일본 초대 내각총리 대신을 권총으로 사살하고 현장에서 체포됐다. 일본 관헌에 넘겨진 안중근 의사는 1910년 2월 14일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같은 해 3월 26일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는 사형 선고를 받은 아들에게 직접 지은 수의와 함께 편지 한통을 보냈다. 옳은 일을 하고 받은 형이니 비겁하게 삶을 구하지 말고, 떳떳하게 죽는 것이 어미에 대한 효도이다. 네가 늙은 어미 보다 먼저 죽는 것을 불효라고 생각한다면 이 어미는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의연히 목숨을 버리거라. 너의 목숨은 너 한사람의 것이 아니다. 조선인 전체의 공분을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네가 항소한다면 그것은 일제에 목숨을 구걸하는 짓이다. 네가 나라를 위해 이에 이른즉 딴 맘먹지 말고 죽으라. 너의 의수를 지어 보내니 이 옷을 입고 잘 가거리.편지글을 본 일본인조차 시모시자(是母是子)라는 표현으로 이들을 칭송했다고 한다. 과연 그 어머니에 그 아들이다.일본 현병들이 몰려와 자식교육을 잘못시켜 두 나라에 큰 변란이 일어났다고 윽박질렀을 때도 두려움이나 주저함은 없었다. 조마리아 여사는 이 나라 국민으로 태어나 나라의 일로 죽는 것은 국민 된 의무다. 내 아들이 나라를 위해 죽는다면 나 역시 아들을 따라 죽을 따름이다며 당당히 항변했다고 한다.본명은 조성녀로 천주교 세례명을 쓰던 조마리아 여사는 아들의 처형 후에도 중국 상하이에서 당시 임시정부 인사들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주면서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로 불렸다. 황해도 해주의 덕망 있는 부잣집 현감의 며느리이자 진사 태훈의 아내였던 그는 국채보상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1926년에는 직접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또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경제후원회 창립총회에서 안창호, 조상섭 등과 함께 정위원으로 선출돼 활동했다. 아들을 먼저 보내는 아픔 속에서도 독립운동가의 어머니였을 뿐 아니라 스스로 독립운동가 이길 자처한 의연함과 강인함에 숙연해지는 2월이다.〈출처 : 전남일보 2016년 2월 15일〉〈읽기 자료 3〉최초 여성 비행사 권기옥, 임명장 복원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비행사였던 권기옥(1901~1988) 애국지사의 활동을 입증하는 주요 기록물들이 복원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2일 권 지사가 중국 항공학교에서 받았던 필업증서(졸업장)와 중국 국민정부군 공군 임명장, 한국 국군 수첩 등 관련 기록물 7건(24매)을 복원했다고 밝혔다.권 지사는 독립운동과 한국 공군 창설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이다. 1901년 평양에서 태어나 숭의여고 재학 중이던 1919년 31운동에 참여해 옥고를 치렀다. 평남도청 폭파사건에 관여한 혐의로 일본 경찰에 쫓기던 1920년 중국으로 망명했다. 항저우에서 미국인 선교사가 운영하는 여학교를 졸업한 건 지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추천을 받아 1923년 4월 중국 윈난 육군항공학교 1기생으로 입학했다. 1925년 2월 졸업하면서 한국여성으로는 첫 비행사가 됐다.일본으로 폭탄을 안고 날아가 나라를 되찾겠다는 뜻을 품었던 권 지사는 1926년부터 10여 년간 중국 공군으로 활약하면서 일본군을 공격하는 등 7000여 시간을 비행했다. 1937년 중일전쟁이 터지자 충칭에 있는 국민정부 육군참모학교 교관으로 임명됐다. 193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충칭으로 오자 한국 애국부인회를 재건했다. 1945년 3월엔 한국광복군 비행대 편성과 공습 작전 계획을 임시정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일본이 패망하면서 실행하지 못했다.권 지사는 1948년 귀국 후 국방위 전문위원을 맡아 한국 공군 창설의 산파 역할을 했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다. 권 지사의 남편은 대구 출신의 독립운동가인 이상정이다. 이상정은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지은 민족시인 이상화의 형이다.〈출처 : 조선일보 2016. 2. 3.〉■ 생각 열기기본활동 1) 〈읽기자료 1〉을 읽고, 하란사가 이화학당 입학을 거부당한 이유를 찾아 쓰시오.기본활동 2) 〈읽기자료 1〉을 읽고 이문회에 대해 설명하시오.기본활동 3) 〈읽기자료 2〉를 읽고, 안중근 의사가 사형 선고를 받은 이유를 찾아 쓰시오.기본활동 4) 〈읽기자료 2〉를 읽고, 조마리아 여사의 독립운동 활동 내용을 찾아 쓰시오.기본활동 5) 〈읽기자료 3〉을 읽고, 복원된 권기옥 지사의 애국활동 입증 자료를 찾아 쓰시오.■ 심화활동△ 〈읽기 자료2〉에서 안중근과 조마리아를 시모시자(是母是子)라고 표현한 이유를 쓰고, 일본인들이 이를 높이 평가한 까닭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200자 내외로 서술해보자.△ 역사는 영웅만을 기억하기 마련이다. 역사 속에 기억되는 인물들은 극적인 삶을 살다간 걸출한 영웅호걸이 대다수다.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수많은 이들이 자신이 가진 것을 아낌없이 나누며 애국심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이런 소박한(?) 애국심을 보인 다수 민중은 역사에 기록될 수 없다. 알 수 없고, 알려질 수 없는 이들의 숭고한 애국심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200자 내외로 서술해보자.■ 생각 더하기△ 세계는 점차 국가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다. 과거 국가는 자신이 선택하기보다는 숙명적인 선택받음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다문화 사회, 글로벌 사회가 되면서 이제 국가는 언제라도 선택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때에 애국심을 강조하고, 호국보훈 의식을 강화해야한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부족해 보인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각 영역에서 국경이 사라지고 있는 오늘날, 국가를 강조하는 애국정책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400자 내외로 정리하시오.△ 애국자는 개인의 삶만 놓고 봤을 때 행복하기보다는 불행한 삶을 산 경우가 많다. 대의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시킨 애국지사를 그래서 우리는 존경하고, 기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 우리의 삶은 공동체 속에 파편화되기보다 개개인의 권리를 찾고 행복을 추구하려는 개인들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개인의 행복과 사회정의실현 혹은 정의구현이라는 가치 갈등 사이의 답은 고정불변의 것일까?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4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생각키우기△ 호국보훈 기념일■ 참고자료△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정운현 지음/ 인문서원/ 2016.3.대갓집 마님에서 신여성까지, 일제와 맞서 싸운 24인의 여성 독립운동가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책이다. 이 책은 유관순 열사 이외에 수많은 여성이 남성 못지않게 헌신적으로 평생을 바쳐 투쟁했음을 일깨워준다. 신채호 선생의 아내였던 박자혜,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 임신한 몸으로 평남도청에 폭탄을 던진 안경신, 엘리트 신여성 출신 항일투사 김마리아 등 24명의 일대기가 담겼다.△ 동주개요 : 드라마, 한국, 110분, 2016.02.17 개봉감독 : 이준익출연 : 강하늘(윤동주) 박정민(송몽규) 김인우(고등형사)

  • 교육일반
  • 기고
  • 2016.06.03 23:02

[병실문화] '병 옮기는 병원' 이대로 괜찮은가

■ 주제 다가서기사회 전체를 불안과 공포로 몰아넣었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발생한 지 1년이 지났다. 메르스 확산의 주요 원인이 ‘병원 내 감염’으로 밝혀지면서 병을 고쳐야 할 병원이 오히려 ‘병을 옳기는 온상’이 되었던 것이다. 응급의학과·감염내과 전문의들은 “병원 내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응급실 체계를 개편하고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병실문화를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실 병실문화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거론되었지만 메르스 파동 이후 변한 것은 없다. 정부 차원에서 ‘입원 환자 병문안 기준 권고안’을 마련해 협조를 요청했지만 병원도, 보호자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있다.병실문화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 후 안전한 병실문화 정립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도록 하자. ■ 주제 관련 신문 기사〈읽기자료 1〉 메르스 확산 통로 된 病室문화, 이제는 바꿔야 (문화일보 2015-06-04)〈읽기자료 2〉 ‘보호자 없는 병원’…환자 욕창 75% 줄었다 (조선일보 2016-04-22)〈읽기자료 3〉 침대 다닥다닥·배달음식 들락날락 ‘세균 감염 무방비’ 병실에서 병난다 (서울신문 2015-06-04)■ 신문 기사 읽기〈자료 1〉메르스 확산 통로 된 病室문화, 이제는 바꿔야메르스 감염 사태가 확산된 데에는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 등 여러 요인이 있지만, 후진적 병실(病室)문화도 큰 몫을 했다. 메르스 환자들의 감염 경로를 보면 대다수가 병동과 병실에서 바이러스에서 노출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병실이 확산 통로가 된 것이다. 메르스 첫 확진 환자의 경우 공기 순환 시설이 없는 병실에서 병간호를 하는 자신의 아내에게 전파했고, 그와 같이 병실에 있던 환자와 그의 자녀들이 모두 2차 감염자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이날 ‘한국 메르스 발생 보고서’를 통해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한 적절한 대응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한국의 의료는 의사나 기술, 행정 측면에서는 세계 일류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병실문화는 부끄러울 정도이다. 병원과 의사, 환자와 방문객 등 모두 기본을 지키지 않는다. 환자를 병문안하는 시간이 정해져 있지만 지켜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반인들이 수시로 병실을 드나들고, 외부 음식 반입도 통제 받지 않는다. 환자복 차림으로 병원 밖을 돌아다니다 병균을 묻혀서 들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좋지 않은 꽃다발도 버젓이 병실에 들고 들어가고, 면역력이 약한 미취학 아동이나 노약자의 면회 등도 거침없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국의 경우,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곤 입원 치료를 하지 않고, 입원할 경우 엄격하게 관리된다. 이에 비해 우리는 병원 경영상의 이유에다 환자들도 입원을 선호한다. 그러다보니 4~6인실이 주를 이루고, 좁은 병실에 간병인을 포함해 10여 명씩 머무른다. 이런 관행이 어제오늘의 일도 아니고, 이를 바꾸려던 시도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그런데 이번 메르스 사태로 병실문화 개선을 더 미뤄선 안 된다는 사실이 더 분명해졌다. 문병을 갔다가 병균에 전염되고, 반대로 환자를 위문하려다 면역력이 약해진 환자에게 또 다른 질병을 옮겨서야 되겠는가. 보건 당국, 병원, 환자, 가족 모두의 발상 전환이 절실하다. (발췌/문화일보 2015-06-04)〈자료 2〉 ‘보호자 없는 병원’…환자 욕창 75% 줄었다(생략) 중환자와 그 보호자에게 마음의 짐, 경제적 부담을 지게 했던 병실문화를 바꿀 단초가 마련됐다. 가족이나 전문 간병인 없이 간호사가 입원 환자를 간병해주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가 이달부터 확대 시행됐다.…(중략)…간호사들은 장터 같던 병실이 위생적으로 바뀐 점을 장점을 꼽았다. 홍나숙(44) 일산병원 수간호사는 “간병인·보호자들이 먹으려고 냉장고를 꽉 채우던 냉동 밥과 반찬이 싹 사라지고 소독약 냄새보다 진하게 풍겼던 김치 냄새부터 사라졌다”고 했다. 전문 간호 인력이 환자를 돌보니 낙상과 욕창이 각각 19%, 75% 주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2014년 10월 고려대 의대 김현정 교수팀)도 나왔다.(중략)경제적 부담도 크게 줄었다. 그간 개인 간병인을 쓰면 하루 7만~9만 원을 줘야 했다. 그러나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도입한 병원에선 기존 입원료에다 1만~2만 원 정도만 더 내면 된다. 환자들은 “간병인들이 병세 심한 환자를 만나면 웃돈을 요구하고 가족이 지켜보지 않을 땐 소홀히 하는 경우도 간혹 있어 마음 상했는데 이런 불만도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서비스가 2018년 전체 의료기관으로 확대되기 전에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잖다는 지적이 나온다. 환자·보호자는 환영하지만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를 시행하려면 간호 인력이 병원마다 2배 정도 늘어야 해 각 병원 입장에선 충분한 간호 인력 확보라는 큰 과제를 안고 있다. 간호사들이 선호하는 대형 수도권 병원에만 몰리는 쏠림 현상이 일어나 지방 중소 병원 간호사 수급난이 벌어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있다.(중략)복지부는 간호 인력 수급 문제를 우선 해결하기 위해 간호 인력을 충분히 확보한 병원(간호 등급 3등급 이상)부터 1~2개 병동씩 단계적으로 시행해 서비스 시행 초기 혼란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또 간호대 입학 정원도 매년 늘려 간호 인력을 더 양성하고 이른바 ‘장롱 면허’를 가진 유휴 간호사의 재취업을 유도하기 위해 작년 9월부터 ‘간호 인력 취업 교육센터’를 전국에 6곳 두고 교육시키고 있다. 이창준 복지부 보험정책과장은 “빠른 고령화 추세에다 여성 직장인도 늘어 간병 부담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라며 “메르스 이후 지적된 후진적 간병 문화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가 확대되도록 적극 유도하고 초기 시행착오를 빨리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발췌/조선일보 2016-04-22)〈자료3〉침대 다닥다닥·배달음식 들락날락 ‘세균 감염 무방비’ 병실에서 병난다…(전략)…의학 전문가들은 병원 내 통제가 되지 않은 ‘다인 감염 병실’의 허술한 관리?운영과 후진적인 간병 문화가 사태를 키운 요인이라고 지적한다. 지난해 기준 우리 나라의 인구 1000명당 총 병상수는 10.3개로 일본 (13.4)에 이어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많다. OECD 평균(4.8개)의 두 배 이상이다. 우리나라 병실은 다인실 중심이고, 병상 간 간격이 좁아 메르스와 같은 비말감염에도 취약하다.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병실에 24시간 상주하는 문화도 감염 질환의 공간적 차단선을 허무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국내 병원은 환자 침대 바로 옆에 보호자를 위한 보조 침대가 붙어 있는 게 일반적이다. 6인실의 경우 최대 12명이 한 병실에서 지내는 경우도 많다. 상당수 OECD 국가 병실에서는 의료인이 출입하거나 머물고 보호자가 24시간 상주해 간병하지 않는다.서울의 한 종합병원 간호사인 K씨는 “면회 시간을 어기는 건 물론이고 외부 음식을 배달시켜 먹거나 술을 마시고 면회 오는 사람까지 있는 우리 현실에서 병원의 감염 관리는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정선영 건양대 간호학과 교수는 “환자의 경우 전염병 감염 여부 확인을 하지만 간병인이나 보호자는 전혀 전염병에 대한 통제가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이런 현실이 병원의 수익성과 연관돼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석균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 연합위원장은 “우리나라 병원들은 대부분 수익 확대를 위해 다인실 등 병상의 과잉 공급을 묵인하고 있다”며 메르스 때문만이 아니라 감염 관리를 위해서라도 작은 병실에 환자를 몰아넣지 않고 공공병원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발췌/서울신문 2015-06-04)〈자료 4〉문병객과 보호자, 간병인으로 넘쳐나는 한국의 병실이 감염의 위험성을 키울 것이란 데는 의료진과 환자 측 모두 공감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 병실의 무질서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는 뭘까?최준용 연세대 감염내과 교수는 병원에 대한 인식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자를 치료하는 병원은 역설적으로 가장 병균이 많은 공간이라는 점을 문병객들이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윤석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병원은 공공장소고, 공공장소에 걸맞은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했다. 문병객이 우르르 몰려와 큰 소리로 울면 옆 환자의 맥박 수가 올라간다. 다인(多人)실 위주인 한국 병실에서 종교의식을 하거나 외부음식 냄새를 풍기는 것은 결국 다른 환자의 치료와 안정을 방해하는 행동이라는 것이다.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을 지낸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문병 부조(扶助)’ 문화를 없애야 한다고 했다. 입원할 때 서로 봉투를 주고받다 보면 병문안을 결혼식·장례식 오는 것처럼 의례(儀禮)로 여기는 문화가 고착된다는 것이다. 김태형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는 “병문안 갈 때 어린이를 데려오지 말라는 것을 오해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아이가 위험에 처할 수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아이들이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의 주된 전파자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아이들은 증상이 없더라도 호흡기 감염원을 보균하고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병실에 데리고 오는 것은 입원 환자들에게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병실문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환자를 전문성 없는 가족이 아닌 간호사가 돌보는 포괄간호서비스가 정착돼야 한다”고 했다. (발췌/조선일보 2015-06-18)■ 생각 열기△자료 1을 읽고 우리 나라 병실문화의 실태를 나열해 보자.△자료 2를 읽고 ‘보호자 없는 병원’의 장점과 전체 의료 기관으로 확대하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찾아보자.△자료 3을 읽고 자료 1에 나타난 병실문화의 공통점을 찾고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생각 심화하기 △우리는 병실문화를 情문화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건강한 병실문화 개선을 위한 제도적·개인적 차원의 방안을 모색해보자.

  • 교육일반
  • 기고
  • 2016.05.27 23:02

[가습기 살균제 참사] 국가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가

● 주제 다가서기지난 2011년부터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폐손상증후군(기도 손상, 호흡 곤란기침, 폐손상 등의 증상)을 일으켜 영유아, 아동, 임산부, 노인 등이 사망한 사건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11월 역학조사와 동물흡입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옥시레킷벤키저와 롯데마트홈플러스 등에서 파는 6가지 제품에 대해 위해성이 확인됐다며 수거에 나섰다. 그리고 2012년 2월 동물실험 결과를 발표하며 가습기살균제에 사용된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디닌) 인산염과 PGH(염화에톡시에틸구아디닌)의 독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을 상대로 한 제제는 공정거래위원회가 2012년 가습기살균제를 안전하다고 허위로 표시했다는 이유로 제조사인 옥시레킷벤키저와 홈플러스 등 4곳에 과징금 5200만원을 부과한 것에 불과했다. 이후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은 2012년 1월 국가와 살균제 제조판매업체들을 상대로 첫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사건 발생 5년이 지난 2016년에서야 전담수사팀이 구성되어 옥시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제조유통사에 대한 추가 압수수색을 진행했고, 4월 초에는 ▷옥시싹싹 뉴가습기당번 ▷와이즐렉 가습기살균제(롯데마트 PB제품) ▷홈플러스 가습기청정제 ▷세퓨 가습기살균제 등 4개 제품이 폐손상을 유발했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이번 사태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주제 관련 신문기사사람 죽인 가습기 살균제 2011.11.14. 동아일보부처들, 가습기 살균제 책임 떠넘기기 여전 2013.4.16. 경향신문가습기 살균제 참사국가책임 도마 위에 올랐다 2016.5.18. 내일신문● 신문 읽기〈자료1〉정부 안전인증에 당했다인체 유해성이 입증돼 수거 명령이 내려진 6종의 가습기 살균제 가운데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안전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인체 흡입의 유해성 검사를 하지 않고 세정제 성분 표시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불거졌음에도 외면한 탓에 정부의 부실한 관리 감독 책임도 제기되고 있다.13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동물 흡입 실험 결과를 근거로 수거 명령이 내려진 가습기 살균제 중 코스트코 판매 상품인 가습기 클린업(제조사 글로엔엠)이 KC안전인증 마크를 받은 제품으로 드러났다. KC안전인증은 지정 기관의 안전성 검사를 통과한 뒤 기술표준원에 신고하면 받을 수 있다. 가습기 클린업은 생활화학가정용품 세정제 품목으로 심사를 받아 인증을 땄다.가습기 클린업이 안전성 인증을 받은 것은 체내 흡입으로 인한 유해성 검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당 제품들은 피부 접촉에 문제만 없으면 안전한 제품으로 인정받았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세정제는 주로 가구나 유리 등을 닦는 데 사용하는 액체 상태의 화학제품을 뜻한다.면서 피부 접촉 등에 대한 위해성 검사는 진행하지만 체내 흡입에 대한 안전성 검사는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물론 유해성에 대한 별도의 안전심사가 이뤄지는 품목도 있다. 화장용품 등 세안용 비누, 주방세제, 합성세제 등은 인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가습기 살균제는 해당 항목에서 빠져 있다. 일반 세척제로 취급해 자동차 세척제 정도의 허술한 심사만 거친 것이다. 가습기 자체를 살균하는 용도에는 문제가 없지만 살균액이 가습기에서 분출되는 수증기에 포함돼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본적인 사항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것이다.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이와 관련, 가습기 살균제는 관리감독이 쉽지 않은 사각지대 제품이라며 책임 회피성 해명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정부가 제품을 인증하고도 피해자와 제조사 간에 해결할 문제라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서울신문 2011년 11월 14일자〉〈자료2〉다국적기업 이중 기준, 옥시 비극 불렀다(전략) 다국적기업 레킷벤키저가 본사와 한국 지사(옥시)에 적용한 기업 경영기준이 서로 다른 이른바, 이중 기준이 큰 영향을 끼쳤다. 이중 기준이란 선진국에 소재한 다국적기업이 본사와 외국 지사에 서로 다른 제도와 원칙을 적용하는 것을 일컫는다. 개별 국가마다 화학물질 취급 기준이 제각각인데, 다국적기업마다 자사에 유리한 방식의 기준을 택하면서 이중 기준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2015년 레킷벤키저가 발간한 지속가능성보고서를 살펴봤더니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기업이 다해야 할 사회적 책임 전반에서 이중 기준을 발견할 수 있었다.우선, 환경 영역에서 레킷벤키저는 영국 본사에선 등록되지 않은 화학물질의 시장 판매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1998년 유럽연합(EU)이 제정한 화학물질 관리제도(REACH)를 준용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선 제품의 유해성이 발견되더라도 유해성의 책임 소재를 가려내기 어려운, 개정 전 국내 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가습기 살균제를 판매했다.제품에 사용되는 원자재 물질을 공개하는 데 있어서도 본사와 지사 간 기준은 달랐다. 영국 본사는 201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2020년까지 자사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자재 물질을 100% 공시하겠다고 밝혔지만 대상 국가는 정해져 있었다. 레킷벤키저가 자사 제품의 원자재 물질을 공개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운영 중인 누리집(홈페이지)은 세계 200여 판매국 가운데 유럽, 북미, 오스트레일리아(호주)뿐이다. 한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엔 적용되지 않았다.(후략)〈한겨레 2016년 5월 15일자〉〈자료3〉징벌배상 미국선 피해보상액의 10배까지미국 미주리주 지방법원은 지난 3일 세계적 기업인 존슨앤존슨의 제품을 사용해 난소암에 걸린 60대 여성이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에서 업체가 5500만달러(약 643억원)를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피해 보상 성격의 배상금 500만달러에 그 10배의 징벌적 손해배상액 5000만달러를 합친 금액이다. 반면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경우 피해자가 사망 포함 500명을 넘고,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 5년이 흘렀지만 피해자들은 지금껏 제대로 배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한국과 미국의 차이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전문가들은 이번처럼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하고 가해자의 죄질이 무거운 경우 배상 책임을 신속하고 무겁게 물릴 수 있는 집단소송제와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한다. 집단소송제는 기업의 잘못으로 다수가 피해를 입은 경우 일부가 소송에서 이기면 나머지 피해자들도 별도 소송 없이 함께 피해를 구제받는 제도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는 죄질이 안 좋을 경우 실제 손해보다 훨씬 큰 규모로 배상하도록 하는 제도다.서울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장인 오영중 변호사는 10일 가습기 살균제 때문에 눈이 먼 피해자가 설령 소송에서 이겨도 현 사법체계에서는 배상금 외에 위자료가 5천만원 수준이라며 현행 제도의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집단소송제와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해 법 위반자(기업)에 비해 약한 사회적 약자인 피해자(소비자)의 대항력을 키워줌으로써 배상을 보다 쉽게 받도록 하고 동일한 위법행위가 반복되는 것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미국 등에서 시행 중이라고 말했다.(후략)〈한겨레 2016년 5월 10일자〉● 생각열기1. 〈자료 1〉을 읽고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 체내 흡입 안전성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까닭을 찾아보시오.2. 〈자료 1〉를 읽고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 대한 국가의 책임은 무엇인지 찾아보시오.3. 〈자료 2〉를 읽고 다국적 기업의 이중기준을 사전에 방지하거나 보완할 방안을 생각해보시오.4. 〈자료 3〉을 읽고 집단소송제와 징벌적 손해배상제란 무엇인지 찾아보시오.4-1.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외국의 사례를 추가로 2가지 찾아보시오.4-2. 위의 제도를 악용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지 생각해보시오.● 생각 키우기1. 기업은 영리 추구를 목적으로 하지만 동시에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주어진 역할을 감당해야 할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본적으로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이렇게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위의 자료를 참고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례를 조사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의의 및 중요성을 1000자 내외로 논술하시오.2.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기업의 문제만은 아니다. 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국가와 시민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생각해보시오.3. 인류 공동의 가치를 지켜나가기 위한 여러 국제 환경 협약(International Convention on Environment)들이 있다. 전 세계에 유해폐기물 이동을 금지하는 바젤 협약, 습지 보존을 위한 람사르 협약, 오존층 파괴를 막기 위한 몬트리올 협약,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교토 협약 등이 그 예이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환경의약 품목에서도 이러한 국제 협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모둠 친구들과 함께 논의하여 환경의약 품목의 국제협약을 만들어보시오.● 관련용어*KC인증(Korea Certification)KC인증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 졌는지 검증 후에 주어지므로 보다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제품임. (출처: 쇼핑용어사전)*화평법「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로 2013년 5월 22일 제정돼 2015년 시행됨. 신규화학물질 또는 연간 1t 이상 제조ㆍ수입되는 기존 화학물질에 대해 유해성 심사를 의무화하는 것을 골자로 함(출처: 시사용어사전)● 참고자료SBS 〈그것이 알고싶다〉 침묵의 살인자-죽음의 연기는 누가 피웠나 2015.11.28. 방송● 생각 더하기우리나라는 2011년 이후 하도급법의 대기업 불공정행위 등에 징벌적 손해배상제가 도입되었으나 적용 사례가 아직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012년 대선 때 담합 등 공정거래법 위반 사건에 대해 집단소송제와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도입을 약속했으나 아직 지켜지지 않았다.위의 법안은 정부여당과 경영계가 기업 부담 증가와 소송 남발 우려를 이유로 반대해 19대 국회 통과가 무산됐다. 집단소송제와 징벌적 손해배상제의 도입에 대한 찬성/반대의 입장을 찾아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아래와 같이 논하시오.● 학생글정부와 기업 모두 각자 책임을 다해야 한다뉴스에 옥시 사태, 가습기 살균제 사태라는 말이 매일같이 나오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 제조 업체들이 살균제 원료를 흡입하면 인체에 위험하다는 사실에 대해 충분히 알고도 판매한 것으로 보여진다는 사실은 매우 끔찍한 일이다. 하지만 기업들은 정부 조사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책임을 떠넘기기만 한다. 정부와 기업들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사이에 피해자들은 지금도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와 기업 모두 책임이 있지 않을까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제대로 관리하고 살피지 못했기 때문에 다시는 그런 일이 없도록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 기업은 그들의 제품으로 인해 고통 받는 피해자들에게 사과하고 치료비를 보상해야 한다. 정부와 기업 모두가 책임을 다해야만 이러한 비극은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다. 최선화 (순창여자중학교 1학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5.20 23:02

[행복]자기만의 방식대로 찾는 만큼 답도 다양

■ 주제에 다가서기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추구한다. 자기만의 방법대로 행복을 찾아 나서기 때문에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한 답도 그만큼 다양하다. 또한 자신이 찾은 행복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는 방법도 다 다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신문, 영화, 웹툰, 책 등의 매체에서 행복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표현하는지를 살펴보는 것도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신문으로 생각키우기1. 기사보기가. 내가 생각하는 행복의 의미를 한줄로 표현하세요.나. 미국 허핑턴포스트는 행복해지기 위해 버려야 할 습관 10가지로 근사한 타이틀에 집착 말기, 남과의 비교, 자신의 마음을 무시하는 것, 지금에 안주하는 것, 언제나 바쁜 것, 증오와 분노, 너무 많은 생각, 그리고 자존심과 고정관념(동양일보 2015.4.24. 13면)을 들었어요.이를 행복해지기 위해 가져야 할 10가지로 바꿔 표현해보세요.다. 다음 칼럼의 일부를 읽고, 사람들이 행복을 찾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세요.인간에게는 본래 행복이 주어져 있었다. 천사들은 그들의 눈에 인간들의 모습이 꼴불견이어서 인간의 행복을 빼앗아버리기로 결의했다. 그런데 그것을 어디에 감추느냐가 천사들의 고민이었다. 한 천사가 저 깊은 바다 속에 숨겨두면 어떨까요?라고 의견을 냈다. 천사장이 고개를 가로 저었다. 인간들의 머리는 비상하오. 바다 속쯤이야 머지않아 찾을 거요.다른 천사가 가장 높은 산의 정상에 숨겨두면 어떨까요?라고 제안했다. 이번에도 천사장이 고개를 저었다. 인간들의 탐험정신은 따를 동물이 없어요. 제아무리 높은 산위에 숨겨두어도 찾아내고 말걸요? 궁리 끝에 천사장은 결론을 내렸다. 인간들 각자의 마음속 깊은 곳에 숨겨두기로 합시다. 인간들의 머리가 비상하고 탐험정신이 강해도 자기들의 마음속에 숨겨져 있는 것은 좀처럼 깨닫기가 어려울 것이오.천사들의 작전은 성공했다.경기일보 2015.7.13. 22면 행복을 숨긴 곳, 찾는 곳라. 다음 글을 읽고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최대의 적을 발표하세요.마차 없는 사람이 마차 탄 사람을 보는 것, 그것보다는 4두마차 주인이 6두마차를 탄 사람에게 갖는 시기심의 강도가 센 법이다. 행복 최대의 적이 바로 끊임없는 비교다.중도일보 2015.3.26. 18면2. 만평보기가. 다음 만평의 의미를 설명하세요<2016.5.2. 국민만평>나. 위 만평의 의도를 모두의 행복을 키워드로 해서 재구성 하세요.3. 사진보기가. 다음 사진의 제목을 붙이고 제목을 그렇게 붙인 이유를 설명하세요.나. 다음 사진에 붙은 다음 설명문을 읽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한 가지 제안을 하세요.충북여고 김용범 교장과 교사, 학생회 소속 학생들이 11일 오전 학교 건물 입구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충북여고는 지난해 9월부터 행복한 학교 만들기 일환으로 맞이하는 등교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동양일보 2016.4.12. 14면>■ 영화로 생각키우기▷ 완득이1. 영화 완득이개요감독: 이한, 장르: 드라마, 주연: 김윤석 유아인 박수영 이자스민 박효주 등, 시간:107분2.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을 소개하세요.3. 등장 인물을 설명하세요.이동주:도완득:기타:4. 이동주 선생님은 바람직한 교사인가요? 아닌가요?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와 함께 발표하세요.5. 완득이의 문제는 장애인 아버지 다문화가정 외국인 노동자 문제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이 세가지 문제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문제점, 해결방안 등을 서술하세요.6. 영화에 등장하는 교회의 역할을 설명하고 평가하세요.7. 완득이 아버지가 이동주선생님에게 제 몸이 싫어요. 내 문제가 아들에게 까지 영향을 준단 말입니다.라고 하소연하는 대목이 있어요. 여러분이라면 완득이 아버지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습니까?8. 완득이의 행복 완득이 아버지의 행복 완득이 어머니의 행복 선생님의 행복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세요. (택1)■ 웹툰으로 생각키우기1. 다음 웹툰, 센개작가의 못잡아 먹어서 안달가. 팟캐스트 LBC 웹투니스타94화를 다운받아 들어보세요.나. 작가에 대해 조사한 후 소개하세요.다. 인물탐구(백군, 복이, 시구, 고고씨)라. 가장 인상깊었던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소감을 나눠보세요.마. 그림체 및 색을 평가해보세요.바. 이 웹툰을 한 줄로 요약해보세요.사. 백군과 복의 관계를 토대로 자신의 형제관계를 평가해보세요.아. 형제자매가 있는 가정의 소소한 행복을 주제로 글짓기 하세요.2. 레진코믹스 웹툰 단지 널 사랑해- 다음은 레진코믹스 웹툰 단지 널 사랑해중 한 부분입니다(한겨레21, 1109호 77쪽).잘 보고난 후 자신이 받은 언어폭력을 소개하고, 가장 듣기 싫은 말이 아닌 가장 듣고 싶은 말은 무엇인지 말해보세요.■ 책으로 생각키우기▷ 프랑수아 클로르, 꾸뻬씨의 행복 여행가. 책 내용을 100자 내외로 요약하세요.나. 꾸뻬의 수첩에 적힌 행복의 비밀을 옮겨 적고 자신의 생각을 곁들이세요.다. 꾸뻬가 행복을 발견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세요.매우 사소한 부분의 관찰에서 시작한다. 비행기 옆자리에 앉은 사람들의 대화, 호텔 바의 웨이터, 경호원, 술집 여자, 지나는 행인들의 얼굴 등 꾸뻬는 매순간 사람들에게서 시선을 떼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의 표정과 말투에서 지금 이 순간 그들을 지배하는 삶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노력한다. 2015-03-23 충청일보 9라. 꾸뻬가 깨달은 가장 커다란 행복의 비밀은 무엇인가요?바로 지금 이 순간의 행복이다. 행복한 순간들이 모여서 삶 전체를 행복하게 만드는 것이지, 행복한 미래를 꿈꾸며 현재를 버리는 것은 어리석은 삶이다. 2015-03-23 충청일보 9■ 노래로 생각키우기1.KK- 미스트가. kk에 대해 알아보세요.니코니코 동화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남성 우타이테(노래를 부르는 사람).나. kk의 특징은?부드럽고 상냥한 음색을 가지고 있으며, 독특하고 개성 있으면서도 편안한 음색을 가지고 있음.다. 미스트의 가사가 전하려는 핵심적인 메시지는 무엇인가요?라. 다음 가사의 의미를 행복과 관련하여 설명해보세요.그 누구나 사람으로서 태어나 마음속으로 안고 있는 소중한 바램/ 누군가가 우리들을 찾고 있어/ 손을 잡고 높은 하늘을 우러러 보자 그래 우리 함께2. 옥상달빛-염소 4만원다음 옥상달빛의 염소 4만원의 가사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무엇인가요?너희들은 염소가 얼만지 아니/ 몰라 몰라/ 아프리카에선 염소 한 마리/ 4만원이래 싸다!하루에 커피 한잔 줄이면/ 한 달에 염소가 네 마리/ 한 달에 옷 한 벌 안 사면/ 여기선 염소가 댓 마리지구의 반대편 친구들에게/ 선물하자/ 아프리카에선 염소 덕분에/ 학교 간단다지구의 반대편 친구들에게/ / 선물하자/ 아프리카에선 염소 덕분에/ 학교 간단다학교 보내자■ 학생글내가 생각하는 행복한 학교아이들에게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한 학교를 물어보면 제일 많이 나오는 답은 자유로운 학교이다. 이들이 말하는 자유로운 학교란 무엇일까? 자유를 얻는다고 우리는 진정한 행복한 학교라고 말할 수 있을까?△ 소통이 원활한 학교왕따, 학교 폭력 등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들이 아이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으며 견디다 못해 자살까지 이어지는 등 이제는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었다. 아이와의 소통, 학교와의 소통이 잘 이루어졌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일들도 서로 소통이 없었기 때문에 단절된 공간에서 숨 막혀했을지도 모른다. 이제 학교에도 소통이 필요하다 이것이 선생님과 학생들 간 또는 학생과 학생들 간 네트워크가 될 것이고 서로 알아가게 될 것이다. 누군가가 알아주면 더 이상 학교폭력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자신의 가치와 꿈을 찾도록 도와주는 학교꿈과 희망으로 넘쳐나는 시기, 알고 보면 가장 꽃다운 시간을 보내야 할 아이들은 하고 싶고 배우고 싶은 걸 터득하는 학교가 아닌 시험을 봐서 점수로 순서를 매기고 평가받는다고 생각한다. 모든 기준이 점수가 되어버린 학교에서 자신의 개성이나 소질을 펼치기보다는 열등감과 패배감으로 학교에 지쳐가는 경우가 많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자신의 가치와 꿈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학교를 희망한다.△ 서로를 이해하고 변화하는 학교학생들에게 선생님이란 당연히 누려야 할 자유를 억압하고 말이 안 통하는 사람으로 보이고, 선생님에게 학생들이란 자신의 일은 하지도 않으면서 바라는 건 많은 이기적인 아이들로 비치기 때문에 서로 이해하고 노력하지 않으면 학교는 변화할 수 없다.서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선생님과 아이들이 과연 행복한 학교를 만들 수 있을까? 모두 자신의 입장에서만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는 갈등이 발생하고 오해가 생기기 십상이다. 우리는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다. 그런데 나보다는 상대가 변하기를 바라면서 서로가 미루고 있을 뿐이다. 선생님과 학생이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며 변화하기 위해 소통을 하는 것, 상대방의 눈높이에 맞추어 서는 것이야말로 행복한 학교로 가는 첫걸음이라 생각한다.문 윤 지 (인상고등학교 2년)

  • 초중등
  • 기고
  • 2016.05.13 23:02

[가상현실·증강현실] 상상, 현실이 되다

■ 주제 다가서기KBS가 지난달 31일 공개한 연예인 송중기와 함께 엘리베이터 타기 VR 영상은 1주일 만에 조회수 200만 건을 기록했으며 KT는 지난 5일 수원 kt 위즈파크에서 열린 프로야구 kt 위즈 홈 개막전에서 기가 VR 모바일 야구 생중계를 제공했다. 이렇듯 가상현실(VR)은 우리 생활 속으로 성큼 다가와 상상을 현실로 만들어 주고 있다.애플은 VR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수백명의 비밀 연구개발팀을 운영 중이고 구글도 VR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마크 저커버그는 삼성전자와 VR 사업 제휴를 하게 됐다고 밝히는 등 세계의 IT 공룡들도 VR에 집중하고 있다.저성장률 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VR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 경제의 한 축을 담당했던 조선, 해운, 건설, 철강 등의 업종이 구조조정 압박을 받고 있는 요즘 미래창조과학부는 가상현실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으며 2016년에는 총 88억원을 들여 관련 콘텐츠 개발에 나선다고 하였다.VR는 인류에게 장밋빛 미래만 선사하는 것일까?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마다 우리는 희망을 이야기하지만 불안과 우려를 드러내기도 한다.이번 호에서는 2016년 최고의 트랜드가 된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에 대한 개념과 현주소, 그리고 VR와 AR 기술이 우리 생활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인간의 삶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향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주제 관련 교과 단원△초등학교 사회 5학년 1학기 4-3. 새로운 매체와 문화 발전△초등학교 사회 6학년 2학기 4-1. 우리가 만들어 가는 미래 사회△초등학교 실과 5학년 6-1. 정보기기와 사이버 공간△초등학교 실과 6학년 4. 생활과 전기전자■ 생각 열기〈자료1〉 증강가상현실이 가져올 교육의 미래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아시나요?증강현실이란 눈앞의 어떤 물체를 증강현실 기기를 통해 보는 순간 그 물체와 관련된 상세한 정보가 해당 물체와 겹쳐져 함께 뜨도록 하는 기술. 영화 아이언맨에서 주인공 토니 스타크의 인공지능 비서인 자비스가 아이언맨 헬맷 내부 디스플레이에 적에 관한 각종 정보를 띄워주는 것이 증강현실의 대표적 사례다. 만화 드래곤볼에서 전투력 측정기 스카우터를 사용하면 화면에 비친 적의 모습 주위로 숫자로 표시된 적의 전투력이 뜨는 것도 일종의 증강현실. (중략)증강현실은 가상현실과 어떻게 다를까? 가상현실은 가짜의 새로운 공간을 눈앞에 펼쳐내는 기술이고, 증강현실은 눈앞의 현실을 보면서 그 대상을 설명하는 정보(글, 숫자, 이미지 등)를 그 대상과 겹쳐서 볼 수 있는 기술이다.두 기술이 합쳐지면 우리는 놀랍고 흥미로운 교육을 경험하게 된다. 만약 과학시간에 달에 대해 배우게 된다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는 특수고글(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을 쓰고 우주인이 되어 달 표면을 직접 걸어가는 듯한 생생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통해서는 칠판에 붙은 달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비추면 달에 관한 3차원 이미지가 재현되면서 달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는 한편, 수업내용을 달 이미지 옆에 필기해 넣을 수도 있게 되는 것.박선욱 서커스컴퍼니 대표는 달의 특성을 필기해야 할 때는 증강현실 수업을 듣다가 달을 자세히 관찰해야 할 때는 가상현실 수업을 들으면 된다면서 두 기술로 교육현장의 모습은 완전히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어린이동아 2016.04.19.〉1. 위 기사를 읽고,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구분해 봅시다.2. 아이언맨과 드래곤볼 외에 여러분이 알고 있는 영화나 TV 속 장면에서 AR 또는 VR를 활용한 사례를 이야기해 봅시다.3. 위 기사에서는 달에 관한 학습을 예로 들어 AR/VR 기술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교실에서 여러분이 경험하게 될 수업 장면을 상상하여 이야기로 꾸며 써 봅시다.■ 생각 키우기〈자료2〉 새 화두로 떠오른 가상현실올해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의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에서 가장 인기를 끌었던 행사는 바로 삼성전자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VR) 체험이었다. 가상현실 4D 상영관에서 '기어 VR'을 착용하면 실제 놀이공원에서 롤러코스터를 타거나 스노보드를 타고 설원을 달리는 것과 같은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지난해 11월 일본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90대 할머니가 집에서 300㎞ 떨어진 손자의 결혼식 장면을 모두 지켜볼 수 있었다. 할머니는 포브(FOVE)의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소프트뱅크의 인공지능(AI)로봇 '페퍼'를 대신 결혼식장에 보냈다. 할머니가 시선을 돌릴 때마다 페퍼는 머리에 장착된 카메라를 움직여 예식장 곳곳을 촬영해 실시간 전송했다. 이처럼 가상현실은 개인용 VR 기기가 개발되면서 일상생활로 영역이 대폭 확대됐다. (이하생략)〈출처 : 대전일보 2016.04.15.〉〈자료3〉 현실보다 더 생생한 VR, 어느새 우리 곁에가상현실(VR)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이다.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F8 2016에서 VR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VR는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을 완전히 새롭게 제시한다며 사람들은 글에서 사진동영상 등 점점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3D콘텐츠가 주목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VR는 컴퓨터기술로 시각청각 등 감각을 자극해 화면상에 실제로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한다. VR는 페이스북구글삼성애플 등 전 세계 정보기술(IT) 기업이 주목하는 차세대 성장동력이다.영국 투자은행 디지캐피털은 VR와 이와 흡사한 증강현실(AR)의 시장규모가 올해 40억 달러에서 2020년 1500억 달러대로 365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교육게임뉴스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가 시범적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하생략)〈출처 : 세계일보 2016.04.23.〉1.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에서 삼성전자의 가상현실(VR)체험이 가장 인기를 끌었던 이유는 무엇입니까?2. 삼성의 기어 VR이나 포브(FOVE)의 VR헤드셋 등의 개인용 VR 기기의 개발과 보급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은 어떻게 변하게 될지 상상하여 이야기해 봅시다.3. 〈자료3〉에서 마크 저커버그가 가상현실(VR)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말한 까닭은 무엇입니까?4. 전 세계 정보기술(IT) 기업이 VR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생각 나누기〈자료4〉 VR로 이젠 만지고 냄새도 맡는다한동안 괴짜들의 장난감 정도로 치부되던 가상현실(VR) 기술. 이제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뿐 아니라 교육 의료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999년 미국에서 창업한 이온리얼리티는 산업 및 교육 현장의 훈련과 응급 상황 대처 방안 등을 VR로 재구성해 근로자와 교사 등을 위한 훈련프로그램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미숙련 근로자들은 VR 속에서 작업 순서나 새로운 기술을 쉽게 배울 수 있다. 숙련 근로자들 역시 이 프로그램으로 재교육을 받으면 그동안 저질렀던 미세한 실수를 발견해 작업 효율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이 회사가 제공하는 이온스포츠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하면 어린 선수들이 VR 속에서 야구나 축구 등의 훈련도 할 수 있다.VR 기술은 시공간을 뛰어넘어 비용을 절약하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 의료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영국 VR솔루션 업체인 플렉스테크 컨설팅은 원격진료 및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키지 상품을 개발했다. 고소공포증을 극복하는 심리 치료 프로그램도 개발 중이다.학교 수업시간에 VR를 활용하거나 건설사들이 아파트를 분양할 때 VR 기술을 활용하는 것도 현실화됐다. 여행사들이 관광패키지 상품을 팔 때도 광고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정보기술(IT) 전문가들은 VR 기술이 점차 보는 것을 넘어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촉각과 후각 기술까지로 진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스마트폰 진동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촉각 기술을 여러 명이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가상 스포츠 게임에 적용하면 현실감이 높아진다. 작업 현장에 문제가 생겨 사람이 들어가기 힘들 때 로봇이 들어가서 촉각을 포함한 현장 이미지를 그대로 전달한다면 작업에 큰 도움이 된다.VR 기기에서 향기가 나는 발향장치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이 기술은 화장품과 같이 향기가 중요한 제품을 온라인을 통해 광고할 때 상업적으로 당장 이용할 수 있다.김정삼 미래창조과학부 디지털콘텐츠 과장은 제대로 된 VR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시각과 청각을 넘어 상호 피드백이 가능하고 감정이입까지 이뤄질 수 있는 지능형 오감 기술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이런 분야에서 능력 있는 전문기업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출처 : 동아일보 2016.04.01.〉〈자료5〉 가상현실 대중화 원년?부모들은 복장 터질 판(생략) 지난 설 때 고향 가는 차 안. 모처럼 아이들과 얘기 좀 나눠보고 싶어 말을 걸었는데 대답이 없다. 백미러로 보니 모두 귀에 이어폰을 꽂고 있다. 열불이 났지만 참을 수밖에. 사실 가상현실이 대중화할 때를 떠올려 보면 이는 약과다. 그동안은 이어폰으로 귀만 막았지만, 가상현실 기기는 식빵 크기의 안경(HMD)으로 눈과 얼굴까지 가린다. 외계인 같은 모습으로 혼자 낄낄대고 웃으며 손을 휘젓거나 춤을 추기도 한다. 집이나 차 안에서 이런 모습을 봐야 하는 부모는 말 그대로 복장이 터질 일이다.다행스럽게도(?) 가상현실 대중화는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이사회 의장은 최근 열린 언론과 함께하는 넷마블게임즈 행사에서 가상현실 기술 적용 시기를 묻는 질문에 가상현실 안경 크기가 걸림돌이다. 건축과 의료 같은 산업용에는 적용 가능할지 몰라도 게임에는 가상현실 안경이 얇은 선글라스 크기로 줄어들고, 어지러움을 유발하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기 전까지는 적용하기 어렵다. 30분도 안 돼 고개가 아파 오고 어지러움 증세를 느끼는데 누가 이용하려고 하겠느냐고 말했다.가장 큰 걸림돌인 반사회적이란 인식을 극복하는 것도 가상현실 앞에 놓인 과제다. 사용자는 가상현실 안경을 쓰는 순간 주위 사람과 소통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가상현실에 빠져들수록 사회성이 떨어지는 부적응자라는 낙인이 찍힐 수 있다. 실제로 일본 닌텐도가 1995년 가상현실 그래픽을 앞세운 새 가정용 게임기를 내놨다가 실패했는데, 제품의 본질이 반사회적이라는 게 가장 그럴듯한 이유로 꼽혔다. 〈 출처 : 한겨레 2016.03.01.〉1. 〈자료4〉를 읽고, 가상현실(VR)의 활용 분야와 장점을 이야기해 봅시다.2. 〈자료5〉를 읽고, 가상현실(VR)의 한계와 문제점을 이야기해 봅시다.3. 아래 글을 읽고, '가상증강현실기술'(VRAR)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하여 친구들과 토의해 봅니다.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올해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로 '가상증강현실기술'(VRAR)을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기술영향평가는 새로운 과학기술이 경제사회문화윤리환경 등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고,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해 기술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제도이다. 〈출처 : 머니투데이 2016.4.19.〉■ 관련용어△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참조 : 두산백과〉△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참조 : 두산백과〉△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의 줄임말이다. 전 세계 이동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 및 장비업체의 연합기구인 GSMA(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ssociation)가 주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동정보통신 산업 전시회이다.〈참조 : 네이버 지식백과〉△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입체화면을 표시하고 아울러 머리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이를 로봇이나 제어시스템에 이용하는 장치. 〈참조 : 네이버 지식백과〉■ 학생글-가상현실, 순간 이동의 즐거움 선사할 것이다2016년에는 집안에 앉아 눈앞에 생생한 현장을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이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나홀로족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VR 기기는 하나쯤 갖고 싶은 아이템일 것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뿐만 아니라 세계의 여러 ICT업체들은 앞다투어 개인용 VR 기기들을 출시하고 있고 관련 산업과 콘텐츠들도 확산, 다양해지고 있다.VR 기기는 우리에게 타임머신을 타고 순간 이동하는 것 같은 멋진 체험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공상과학 영화에서 볼 수 있었던 것들이 현실로 체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멸종된 공룡을 눈앞에서 볼 수 있고, 우주 체험, 다른 나라의 유명 관광지를 직접 가지 않아도 체험할 수 있는 세상이 열렸다.나는 곧 사람들이 VR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세상이 오게 될 것이라고 본다. VR는 우리 생활을 더욱 풍요롭고 편리하며 즐겁게 해줄 것이다. 박서형(김제동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이 사용할 때는 각별히 주의해야요즘 가상현실(VR)이 대세다.스마트폰에 빠졌던 사람들은 VR에 큰 반응을 보이고 있다. 물론 가상현실로 고소공포증을 치료하고 달나라로 여행을 갈 수도 있으며 롤러코스터를 실감나게 탈 수도 있다. VR를 잘 사용하면 우리 생활에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하지만, 사람들은 벌써 VR를 잘못 사용하고 있다. 가상현실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분야는 게임이며 특히 성인물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어 걱정이다. VR 헤드셋을 착용하고 음란물을 보면 가족들에게 들킬 위험이 없어서 청소년들 사이에서 유행이라고 한다. 또, 도덕적으로 옳지 않은 일들을 VR로 체험하는 경우도 많아질 것이며 특히 절제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많은 문제들이 생겨날 것이다.스마트폰 사용으로 잔소리를 하던 어른들은 VR에 몰입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또 다른 잔소리를 해야 할 처지가 될 수도 있다. 미래의 청소년들은 VR 중독으로 치료를 받게 되지 않을까? 여러 가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는 VR 기기들을 우리 같은 어린이들이 사용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였으면 좋겠다. 김유나(김제동초등학교 6학년)

  • 초중등
  • 기고
  • 2016.04.29 23:02

[차별없는 세상 만들기] 다름을 인정하고 조화롭게 사는 방법

■ 주제 다가서기얼마 전에 종영된 모 방송사의 드라마 ‘태양의 후예’는 시청률 38.8%라는 놀라운 성적을 기록하며 시청자들의 가슴에 ‘지지 않는 태양’으로 남았다. 이에 태양의 후예 인기요인이 회자되고 있다. 진부하지 않은 소재, 잘 짜인 시나리오, 아름다운 영상미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드라마를 빛나게 한 것은 주인공인 유시진과 강모연의 매력적인 모습이 아니었을까? 그러고 보면 사람들에게 널리 사랑받은 드라마와 영화, 광고 등의 영상매체, 많은 문학 작품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젊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지닌 경우가 많다. 물론 평소에 주변인이나 감초 역할로 등장하던 나이가 지긋한 노인, 못 생기고 성격이 괴팍한 동물, 장애인이나 시한부 인생을 살아가는 환자, 성 소수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할 때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은 어딘가 ‘이례적’이고 ‘교훈적’이며 ‘휴머니즘적인 사상’을 담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며 특이한 주인공과 스토리 설정으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킬 때가 많다. 텔레비전과 스크린, 각종 예술작품에서 시선을 돌려 우리의 생활을 들여다보면 어떠한가? 화면 속에서 벌어지고 있던 차별과 소외 현상은 우리의 일상에서도 ‘너무나 당연하게’ 재현되고 있다. 스포트라이트는 젊고 아름답고 건강한, 평범한 테두리 안에서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는 인물에게 비춰지며 노인과 성 소수자, 환자와 장애인은 변두리에 격리되어 있다. 이러한 ‘부조리한 당연함’과 ‘폭력적 상식’을 깬 작은 경찰관 ‘주디 홉스(영화 「주토피아」의 주인공)’는 우리 사회에 만연된 편견과 차별에 대해 당당히 의문을 제기하며 나타났다. 이에 발맞추어 차이에 옳고 그름은 없으며 다양성은 우리 사회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야한다는 인식과 실천들이 사회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다. 이번 지면에서는 차별과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는 사회의 여러 움직임들에 대해 알아보고, 여전히 우리에게 남아있는 편견을 발견하며 다름을 인정하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 주제 관련 신문기사[읽기자료 1]“공주·왕자처럼만 살 수 없어 하지만…넌 뭐든 할 수 있어”(머니투데이 2016-04-08)[읽기자료 2] ‘하얀 할리우드’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경향신문 2016-02-23) [읽기자료 3]100세 시대 대비…노인 거주공간 마련돼야(중부일보 2016-02-25)[읽기자료 4]편견에 반기 든 ‘장난감 마케팅’(문화일보 2016-02-04)[읽기자료 5]서구 패션, 히잡에 빠지다(한국일보 2016-01-22) [읽기자료 6]글로벌 패션기업, ‘이슬람 스타일 옷’ 내놔 “패션의 한 흐름” vs “여성차별 정당화”(어린이동아 2016-04-08) ■ 신문기사 읽기〈읽기자료 1〉(전략) 지난 2월 개봉 첫 주 겨우 4등에 오른 ‘주토피아’는 ‘검사외전’, ‘데드풀’, ‘귀향’, ‘배트맨 대 슈퍼맨:저스티스의 시작’이 뜨고 지는 동안에도 꿋꿋이 사랑받으며 잔혹한 봄 극장가를 지나고 있다. 지난 5일엔 기어코 DC영웅 연합(배트맨 대 슈퍼맨:저스티스의 시작)을 꺾고 다시 박스오피스 1위에 등극했다. 극심한 관객 가뭄이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따져보면 그 와중이니 더 놀랄 일이다. ‘주토피아’는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이 어우러져 사는 도시의 이야기다. ‘토끼는 경찰이 될 수 없다’는 편견을 딛고 최초의 토끼경찰이 된 주디 홉스. 그리고 얼결에 주디와 엮인 여우 사기꾼 닉 와일드는 함께 연쇄실종사건을 수사하게 된다. 가만 보면 반전을 거듭하는 박진감 넘치는 범죄스릴러다. 자체가 현실세계에 대한 통렬한 우화이자 풍자다. ‘주토피아’는 토끼는 귀엽고(혹은 귀여워야 하고) 여우는 약삭빠르며(혹은 약삭빨라야 하고) 육식동물은 언제든 야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 당사자들에게 얼마나 아픈 편견일 수 있는지를 새삼 일깨운다. 동시에 “나는 너의 상처를 안다”고 가만히 어깨를 다독인다. 실재하는 차별과 편견을 견디며 혹은 애써 외면하며 괜찮은 듯 지내는 이들의 가슴에 더 와 박히는 위로다. (이하 생략)〈발췌 : 머니투데이 2016-04-08〉〈읽기자료 2〉미국 할리우드의 축제 아카데미상(오스카상) 남녀 주연상과 조연상 후보 20명이 2년 연속 백인만으로 채워지면서 개막 전부터 ‘백인만의 잔치’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하지만 영화 속, 그리고 영화계의 ‘인종차별’은 오스카상만의 문제가 아니라 영화산업의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라는 분석들이 나온다.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저널리즘 스쿨은 해마다 할리우드 산업의 인력구조가 성별, 인종별로 얼마나 다양한지를 조사한 보고서를 낸다. AP통신이 21일(현지시간) 입수해 보도한 이 대학의 ‘다양성에 관한 아넨버그 종합보고서’는 2014년 대형 영화사들이 만든 영화 109편, 2014년 9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방송된 305개 TV시리즈에서 대사가 있는 배역 1만1306개를 분석했다. 보고서의 결론은 “할리우드는 아직도 백인, 남성, 이성애자의 조직”이라는 것이었다. 대사가 있는 배역 중 여성은 3분의 1, 백인이 아닌 사람은 3분의 1정도에 그쳤다. 그 중에서도 영화가 가장 보수적이었다. 성별 균형을 유지한 영화는 전체의 8%, 인종적 균형을 유지한 영화는 7%로 방송에 비해 절반에도 못 미쳤다.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방송 시리즈가 성별 균형을 유지한 비율은 각각 21%, 23%였다. 인종적 균형을 유지한 비율은 각각 19%, 13%였다. 뉴미디어를 활용한 넷플릭스, 훌루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도 별반 다를 바가 없었다. 성별 균형을 유지한 프로그램 비율은 18%였지만 인종적 균형을 유지한 프로그램은 2%로 오히려 훨씬 낮았다. 동성애자, 트랜스젠더 등 성 소수자 문제로 가면 더 심각해진다. 1만여 개 배역 중 성 소수자 배역은 단 7개(2%) 였는데 그나마도 4개가 한 TV시리즈에 몰려 있었다. (이하생략)〈발췌 : 경향신문 2016-02-23〉〈읽기자료 3〉최근 인구 고령화와 함께 노인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이 세간의 화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실버타운으로 대표되고 있는 실버산업은 현재 일부 고소득자를 대상으로 시장이 개척돼 있으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과 함께 대량으로 공급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은 수요를 초과하고 있다. 더욱 더 큰 문제는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요양병원들이 화재 등에 취약해 화재로 인해 사망사고가 일어나는 등 그 폐해가 우리사회의 큰 문제인 것은 이미 오래된 일이다. 또한 이러한 시설들이 개발되는 가운데 노인들이 노후를 안전하고 행복하게 보낼만한 마땅한 거주공간이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노인주거시설이나 노인요양시설은 대규모의 복합시설형태, 도심의 대규모 시설형태, 도심의 소규모 시설형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은 운영을 잘하고 있는 평판을 받고 있기는 하나, 이들 시설들은 연령과 건강상태에 근거해 철저히 노인집단을 다른 세대들과 구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젊은 노인들은 더 이상 입소하지 않는 공동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략)OECD는 사람의 웰빙(well-being)에 필요한 조건으로 주거, 소득과 부, 직업과 생계수단, 사회적 관계, 교육과 기술, 환경의 질, 시민참여와 협력, 건강상태, 주관적인 안녕, 개인의 안전, 일-삶의 균형 이상 11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은 연령, 성별, 인종, 직업에 상관없이 삶에 필요한 요소들이 다 같이 있어야 한다. 과거 실버타운에서 제공하는 다른 세대와 분리해 노인들만을 집중적으로 모아놓고 여가와 건강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공간은 삶의 일부만을 영위할 수 있는 곳이다. 노인들이 살기에 편리한 물리적인 공간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senior citizen) 사회참여, 일자리, 교육, 의료, 관광, 문화, 요양 등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노인 거주공간에 대한 모델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하생략)〈발췌 : 중부일보 2016-02-25〉〈읽기자료 4〉전 세계 어린이들의 사랑을 받는 대표적인 완구 브랜드 ‘레고’와 ‘바비’가 시대변화에 맞게 변신하고 있다. 레고는 최근 휠체어를 타고 있는 모습을 선보였고 바비는 늘씬한 몸매 대신 통통해진 모습을 선보이면서 장애에 대한 편견을 깨고 왜곡된 미의 기준도 바꾸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질세라 전 세계 어른들이 사랑하는 명품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에서는 동성애커플이 자녀와 함께 있는 그림이 장식된 제품을 새로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편견에 대한 반기(反旗)’가 글로벌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가능해진다.가디언 등 외신들은 지난 1월 27~29일 연속으로 세계적인 브랜드들의 이 같은 이례적 행보를 일제히 보도했다. 우선 레고그룹이 독일 뉘른베르크와 영국 런던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완구박람회에 휠체어를 타고 있는 레고 모형을 처음으로 전시하기 시작했다. 이 레고 모형은 블록 완구 전문 블로그인 프로모브릭스(Promobricks)에 처음 사진을 통해 소개된 뒤 많은 네티즌의 관심을 받았다. 장애인 레고 피규어는 오는 6월에 나오는 ‘레고 시티’의 구성품 중 하나로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레고그룹은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요구를 반영해 이 같은 변신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초부터 온라인 SNS 등을 통해 시작된 ‘토이라이크미(Toy like Me?나 같은 장난감) 캠페인’은 레고그룹에 장애인 모델들이 포함돼야 한다는 내용의 서명운동을 유도한 것으로 유명하다.1959년 첫 바비인형을 시장에 선보였던 마텔사는 57년 만에 ‘키 크고 날씬한 바비’를 포기했다. 마텔은 기존 바비인형의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프로젝트 돈(Project Dawn?여명 프로젝트)’이라는 계획을 내걸고 2년 동안 비밀리에 공을 들였다. 새로 선보이게 될 바비인형은 총 3가지로, 살이 통통한 커비 바비(curvy Barbie) ‘, 키가 작은 ‘프티 바비(petite Barbie)’, 그리고 키가 큰 ‘톨 바비(tall Barbie)’등이다. (이하생략) 〈발췌 : 문화일보 2016-02-04〉〈읽기자료 5〉(전략) 패션은 삶에서 문화적 설득력을 가진 물품들을 혼합하고 재배치하는 장이다. 서구 패션의 나침반은 어디를 향하고 있을까? 최근 이탈리아 패션 브랜드 돌체 앤 가바나는 중동의 부유층 무슬림 여성을 위해 머리쓰개 히잡과 전신을 가리는 장옷, 아바야(Abaya)를 컬렉션에서 선보였다. 환한 빛깔의 데이지 꽃무늬 프린트에 레이스로 끝단을 처리한 히잡은 화려하고 눈부시다. 유니클로는 무슬림으로 개종한 패션 디자이너인 하나타지마와 함께 전통 아랍 복식에 어울리는 느슨한 스커트와 블라우스를 선보였다. 작년 가을 H&M은 최초로 무슬림 출신의 패션모델을 기용한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칼 라거 펠트는 대놓고 시리아 출신의 패션 디자이너 네빌 엘 네이얼에게 마음을 빼앗겼다며 인터뷰를 자청했다. 이 모든 흐름이 아랍시장의 잠재성장력을 유념한 마케팅 전략이다. (이하생략) 〈발췌 : 한국일보 2016-01-22〉 〈읽기자료 6〉(전략)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인 피에르 베르제는 “의류기업들이 무슬림을 위한 옷을 내놓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해 여성의 자유를 억압하는 ‘이슬람 전통 복식’ 착용을 정당화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최근 영국의 의류브랜드 막스앤스펜서도 무슬림 여성을 위한 수영복인 일명 ‘부르키니(부르카와 비키니를 합친 말)’를 디자인해 런던에서 판매를 시작하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무슬림 여성의 몸을 옷 안에 가두는 것”, “이런 상품이 자꾸 나오면 무슬림 여성은 전통복식에서 영원히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비난을 받은 것.하지만 의류기업들이 무슬림 옷 디자인을 내놓는 것을 비난만 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다. 프랑스계 디자이너 에체에게는 “이슬람 전통복식을 무조건 성차별로 보고 거부하는 건 문화의 다양성을 해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하생략)〈발췌 : 어린이동아 2016-04-08〉■ 생각 열기△ 〈관련 : 읽기자료 1〉주토피아(zootopia)는 올해 개봉된 월트 디즈니사의 애니메이션으로 4월 13일 기준 400만 명이 넘는 누적관객수를 기록하며 흥행하고 있다. 이 영화를 보았다면 인터넷 영화 게시판에 소감 댓글을 달아보고, 보지 않았다면 예고 동영상을 보고 어떤 주제의 영화일지 예측해보자.△ 〈관련 : 읽기자료 2〉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저널리즘스쿨에서 해마다 할리우드 산업의 인력구조가 성별, 인종별로 얼마나 다양한지를 조사한 결과 할리우드는 아직도 백인, 남성, 이성애자의 조직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에 비추어볼 때 아래 〈참고 자료〉에 제시돼 있는 영화 ‘그의 시선’,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가 갖는 가치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참고 자료-출처 : 네이버 영화〉△ 〈관련 : 읽기자료 3〉 기사를 읽고 우리나라의 실버타운으로 대표되고 있는 실버산업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또한 앞으로 만들어가야 할 노인 거주공간의 모습에 대해서도 토의해보자.가. 실버 산업의 문제점 :나. 노인 거주공간의 모습 : △ 〈관련 : 읽기자료 4〉 기사와 아래 〈참고자료〉를 읽고 세계적 브랜드가 만든 이례적인 상품과 그것이 극복하고자 한 편견에 대해서 정리해보자.[참고자료] 크리스찬 루부탱 ‘누드(NUDE)’ 이야기크리스찬 루부탱(Christian Louboutin)이 ‘누드 캡슐 컬렉션’을 선보였다.패션 디자이너가 여성들의 피부색과 같은 구두를 신을 수 있게 배려한 게 뭐 그렇게 대단한 일이냐고? 패션계에서 ‘누드톤’이라는 이름 아래 이토록 다채로운 컬러가 선보여진 적이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본다면 그의 시도가 새롭다 못해 파격적으로 느껴질 것이다. 크리스찬 루부탱은 2013년 ‘누드 캡슐 컬렉션’을 통해 총 5가지 누드톤 컬러를 선보인 데 이어 올해는 7가지 누드톤 컬러로 재정비된 다양한 인종의 피부색을 포용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누드톤’은 모든 인종에 해당되지 않는다. 크리스찬 루부탱도 이를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는 모든 인종을 포용할 수 있는 다채로운 컬러로 ‘누드톤’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으며 오직 신는 사람만을 위한 구두를 내놨다. 크리스찬 루부탱과 같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다양성과 포용성을 겸한 대화를 이끌어나가고 있다는 것에 다시금 안심하게 된다. 출처:http://cafe.naver.com/digitaldarkroom/1758■ 생각 심화하기△ 〈관련 : 읽기자료 5, 6〉 돌체 앤 가바나, 유니클로, H&M 등 세계적인 의류기업들이 이슬람 스타일의 옷을 만드는 것에 대해 찬성과 반대 입장에서 토론해보자.·찬성 입장 : 의류기업들이 이슬람 스타일의 옷을 만드는 것은 패션의 한 흐름일 뿐이다.·반대 입장 : 히잡이나 아바야가 우리의 한복처럼 전통 의상이므로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로서 인정받아야한다는 의견에 대해 반대한다.

  • 교육일반
  • 기고
  • 2016.04.22 23:02

[인공지능의 발달] 양날의 칼, 어떻게 활용해야 인간에게 득이 될까

■ 주제 다가서기얼마 전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개발한 인공지능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와 세계 바둑의 1인자인 이세돌의 바둑대결로 인해 최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을 대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기본적인 단계에서 인간처럼 학습하고 생각하는 복잡한 단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의 기업들은 첨단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무한경쟁을 벌이고 있다.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로봇을 활용하여 서비스업, 제조업 등의 다양한 산업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로봇기술이 국가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한쪽에서는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라 로봇 등이 인간의 일자리를 상당 부문 빼앗을 것이며, 대량 실업과 저임금 현상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이번 호에서는 인공지능의 발달과 이로 인한 혜택이나 문제점을 비롯하여 미래 사회에 끼치는 영향, 활용 방안 등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주제 관련 교과단원△초등학교 5학년 실과(교학사) 4-1-1. 기술과 우리 생활△초등학교 6학년 실과(미래엔) 3-2. 로봇의 이해△초등학교 6학년 사회(미래엔) 4-1. 우리가 만들어 가는 미래 사회■ 생각 열기1. 〈아이로봇〉, 〈터미네이터〉,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등의 공상과학 영화에 등장하는 로봇들은 도덕적 판단을 내리거나 스스로 결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에 대해 로봇의 윤리가 존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써 보시오.2. 만약 여러분이 생활 속에서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하여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무엇인지 세 가지만 써 보시오.■ 주제 관련 신문 읽기〈읽기자료 1〉인간능력 뛰어넘는 기계, 인간 존엄성 해칠 수 있어세계 최초 인조인간 렉스 만든 베르톨트 마이어 교수1970년대 미국에서 제작된 TV시리즈 〈600만불의 사나이〉의 주인공은 강한 팔과 다리, 멀리 볼 수 있는 인공 눈을 이식받았다. 40여년이 지난 요즘, 그런 인조인간을 만드는 게 가능할까.독일 캠니츠 공대 심리학과 바르톨트 마이어 교수는 이미 지난해 세계 최초로 바이오닉맨을 선보였다. 100만달러를 투입해 현대 과학기술로 탄생한 이 바이오닉맨에는 렉스라는 이름을 붙였다.(중략)렉스는 팔, 다리, 심장, 폐, 눈, 귀 등 실제 인공장기를 갖고 있다. 인공지능과 음성 합성시스템을 이용해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중략)렉스의 등장은 윤리적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진 기계가 인간 존엄성을 해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이어 교수는 내가 직접 바이오닉 기술의 혜택을 받고 있지만 낙관적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과학자들은 자신이 개발하는 기술이 인간에게 끼칠 해악에 대해 자율적으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출처: 경향신문 2014년 7월 3일 2면, 목정민 기자〉〈읽기자료 2〉인공지능사실 인간의 지능을 앞서는 인공지능로봇이 탄생한다면, 인간이 개나 말을 대하듯 로봇이 인간을 동물 취급할 수 있다. 그때 세계인권선언에 있는 인간의 존엄성을 거론하며 설득할 수 있을까.김대식 카이스트 교수는 〈김대식의 빅퀘스천〉이라는 저서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인간이 강자이기 때문에 가능한 논리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로봇이 강자가 되면 인간 존재의 당위라는 인간중심 논리는 무너진다.결국 인간의 운명은 로봇이 인간을 불쌍히 여길지, 지구에 존재할 가치 없는 일종의 전염병으로 판단할지에 달려있게 되는 것이다. 스티븐 호킹 박사도 지난 2일 자신의 새 인공지능 의사소통 장비를 설명하면서 인공지능의 완전한 발전은 인류의 종말을 불러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출처: 경향신문 2014년 12월 5일 30면, 이대근 논설위원〉〈읽기자료 3〉인공지능의 도전, 어디까지 갈까인공지능이 미래에 가져올 효과에 대해선 평가가 갈린다.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성장 동력이 되리란 기대와 일자리를 빼앗는 인류의 위협이라는 경고가 교차한다. 순기능은 이렇다. 인간적 고뇌가 없는 인공지능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때 주저함이 없다. 당연히 효율성도 높아진다. 인공지능은 1년 내내 24시간 일하며, 인간을 지루하고 힘든 노동에서 해방시켜 준다. 대신 인간은 그 남는 시간을 다른 일에 쓸 수 있게 된다.역기능은 이렇다. 인공지능이 일단 임계점을 넘어서면 인류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화한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신하게 된다. 올 다보스포럼에선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해 앞으로 5년 내 7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진다고 전망했다.생산직은 물론 전문직도 기계가 대체한다. 비슷한 유형의 기사를 쓰는 언론인, 동일한 내용을 강의하는 교수, 유사한 판결문을 작성하는 법률가, 간단한 진단을 하는 의료인들 역시 대체될 수 있는 직업군이다.〈출처: 디지털타임스 2016년 3월 7일 22면, 심화영 기자〉1. 〈자료 1〉에서 독일의 베르톨트 마이어 교수가 제작한 세계 최초의 바이오닉맨인 렉스의 특징을 찾아 쓰시오.2. 〈자료 1〉과 〈자료 2〉에서 인간의 지능이나 능력을 능가하는 로봇이나 인조인간의 발명으로 인한 문제점을 찾아 쓰고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한지 쓰시오.3.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는 인공지능의 완전한 발전은 인류의 종말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과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함께 써 보시오.4. 〈자료 3〉에서 인공지능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찾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써 보시오.■ 주제 관련 신문 읽기2〈읽기자료 4〉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가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가, 아닌가에 관한 논쟁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문제는 아니다. 자동화는 산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를 성장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외국의 저임금 노동력과 경쟁하는 기업들은 임금 절감을 위해서 해외 생산을 늘릴지, 자동화를 통해 국내 효율성을 증가시킬지 선택의 기로에 선다. 자동화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근로자들의 일자리만 줄어들 뿐 아무런 이득이 없다고 주장하며 미래 로봇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까지 연결해 이러한 주장을 더욱 거세지게 한다.자동화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자동화와 로봇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경제 성장을 위한 최적의 방법이며 경쟁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이야말로 보다 많은 사람들과 기업들에게 새로운 일자리와 성장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략)우리나라 경제는 이제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어 생산성, 경쟁력 향상과 국민소득을 높이는 것이 큰 숙제다. 경제 성장과 전반적 고용 증가, 국제적인 경쟁력 보유를 위해 자동화와 로봇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또 인터넷 등 정보매체를 잘 활용하는 계층은 소득이 증가하고 디지털 문맹은 그렇지 못하다는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처럼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로봇 디바이드(robot divide)로 인해 로봇이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도록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출처: 대전일보 2015년 7월 7일 19면, 이성국 UST교수〉1. 기사를 읽고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써 보시오.2. 위 글에서 자동화에 찬성하는 사람들과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하는 내용을 찾아 쓰시오.3. 기사에 나오는 디지털 디바이드, 로봇 디바이드에 대한 아래 설명을 읽고 로봇이나 인공지능의 발달이 가져올 수 있는 장단점을 써 보시오.■ 더 읽을 기사1. 로봇과 만남인간의 삶, 로봇과 어깨동무, 디지털타임스 2016.3.3.목, 20면2. MS 인공지능 시대 열겠다, 한국일보 2016.4.1.금, a20면■ 용어 알기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이다. 〈출처: 두산백과〉2 머신러닝[machine learning]데이터의 생성 양주기형식 등이 방대한 빅데이터들을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는 기술을 일컫는다.〈출처: 시사상식사전〉■ 학생글-인공지능 로봇 올바르게 활용하자로봇이나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한 문제점은 점차 인간이 선택할 수 있는 직업이 사라질 수 있고 두려움에 떠는 사람이 많아질 수 있다. 그리고 언젠가는 로봇들이 인간 대신에 지구에서 살 수 있다. 인공지능 로봇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로봇 중에는 여가를 같이 즐기거나 외로운 노인들에게 친구가 되어 줄 수도 있고 무거운 물건을 손쉽고 빠르게 옮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등 좋은 점이 많다.다만 인공지능 로봇을 잘못된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로봇은 만들어지는데 목적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목적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용하려고 하는 태도는 분명 잘못이다.그런데 구글에서 알파고라는 바둑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잘 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알파고는 이세돌의 승부욕을 끌어올려서 값진 1승을 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이세돌이 1승을 한 후 인터뷰를 할 때 이 1승을 세상 어느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값진 1승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라고 말했을 때 사람은 노력을 해서 되지 않는 건 없음을 깨달았다. 최성경 전주신성초 6학년-인공지능, 인간 지배 할 수 없어인간의 지능이나 능력을 능가하는 로봇이나 인조인간들의 등장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많이 생각하는 것은 바로 일자리일 것이다. 만약 그들이 우리들의 일자리를 대신하게 된다면 우리들은 점점 먹고 살기 힘들어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들은 그들에게 지배당하고 말 것이다.하지만 그들은 우리가 만드는 것이다. 만약 그들이 우리를 지배한다고 해도 오래가진 못할 것이다. 언제까지나 로봇들은 기계이기 때문에 지식이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우리 인간들의 계속된 연구와 발명으로 지식을 꾸준히 키워나가고 있고, 그들이 아무리 뛰어나도 인간들을 뛰어넘을 수 없다.인공지능 기계는 우리 인간들을 지배할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들은 무궁무진한 창의력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들을 지배하는 것은 절대로 불가능하다. 김다희 전주신성초 6학년-인공지능의 역기능인공지능은 인간이 좀 더 편리한 생활을 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이다. 인공지능은 하루 24시간 내내 일을 할 수 있고, 인간이 해야 했던 일을 대신 해주며 인간들을 노동에서 해방시켜 준다. 또한 인간은 이로 인해 남는 시간을 여가 활동에 쓸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된다.그런데 이 인공지능에도 역기능은 존재한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해야 할 일을 대신해준다. 이것은 곧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아 간다는 것이고, 그렇게 인간의 일자리는 점차 사라지게 될 것이다.이에 대한 내 생각은 이렇다. 만약 인공지능이 더욱 더 발달하여 인간의 일자리를 모두 빼앗고 인간을 지배하게 된다면, 이것은 인공지능이 만들어진 목적을 잃고 인간 스스로를 비참하고 불행하게 만드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꼭 이렇게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하지 않게 되더라도, 이것은 곧 빈부격차가 더욱 심해지는 길이 될 수 있다. 부자인 사람은 인공지능, 곧 기계를 사서 일을 하기 때문에 더욱 돈을 많이 벌어 더 큰 부자가 될 수 있다. 김예진 전주신성초 6학년

  • 초중등
  • 기고
  • 2016.04.08 23:02

기록의 중요성(신문 활용 중심)

■ 주제 다가서기기록을 하고 그 기록된 데이터를 잘 분석하고 융합해 의미 있는 데이터로 가공해 내는 것은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공통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세종대왕, 정약용, 이순신 장군, 삼성의 이병철 전 회장이 그랬고 외국에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에디슨,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그랬다. 한마디로 위대한 업적 뒤에는 기록 습관이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록 습관이 모든 자기계발의 기초가 되는 습관임을 강조하고 효율적인 기록 관리로 개인과 조직의 생산성 향상에도 많은 기여를 한다.이번에는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하는 방안 중 주로 신문을 활용한 기록은 무엇이 있으며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주제 관련 교과 단원△중학교 1학년 사회 8. 개인과 사회 생활△고등학교 1학년 사회 Ⅰ. 사회를 바라보는 창■ 생각 열기1. 기록을 잘하여 성공적인 삶을 산 인물과 기록을 잘하여 역사를 제대로 알 수 있는 기록물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2. 신문을 활용한 NIE 관심일기를 지속적으로 쓰면 여러 가지 교육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음 예시 외에 어떤 효과가 더 있는지 말해보자.첫째, 미담 기사나 선행, 효행, 모범적인 사람에 관한 기사를 통하여 자기 생활을 반성하게 된다.둘째, 다양한 소재를 접하게 되므로 글을 짓는 힘이 늘어난다. 신문을 지속적으로 보면 신문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눈을 돌리게 되어 소재의 선택 폭이 늘어남에 따라 글 쓰는 힘도 당연히 커지게 되는 것이다.셋째, 가족 구성원의 다양한 관심을 접하면서 자신과 비교하게 되므로 생각하는 힘과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는 힘이 늘어난다.넷째, 신문을 자세히 보면서 자신의 관심 분야를 스크랩하는 과정에서 관찰하는 힘이 길러져, 정보를 처리하는 힘과 개인적 관심의 확장은 물론 미래의 진로 선택, 대학의 학과 선택을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3. 다음은 NIE 관심일기를 쓸 때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할 내용들이다. 자신의 관심 분야를 선택하여 다음에 제시한 기본적인 사항을 바탕으로 일기 형식으로 꾸준히 기록해 보자.① 날짜와 출처② 어휘 풀이③ 내용 요약④ 현재의 상황 분석⑤ 미래의 예측⑥예측의 이유나 근거⑦ 깊이 있는 의견(대안)4. 다음은 주제신문을 제작할 때 필요한 절차를 소개한 것이다. 아래 내용을 토대로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 신문을 만들어 보자.① 제호 정하기: 주제와 기사의 방향을 한눈에 알 수 있게 짓는다.② 역할 나누기: 사진 구성, 기사 작성, 만화 등 모둠원 각자가 담당할 역할을 지정해 놓는다. 각자가 맡은 분야의 내용을 결정할 때는 함께 토의한다. 단 본인 한사람이 제작 할 수도 있다.③ 내용 기획: 주제(정치, 경제, 사회, 문화, 법, 환경, 스포츠 등)에 맞게 구체적으로 정한다.④ 신문 꾸미기: 제호기사사진만화 등이 들어갈 자리를 정한다. 사진이나 도표 등 시각 자료를 먼저 배치한 뒤 기사를 작성하는 편이 도움이 된다.⑤ 정리와 평가: 최종적으로 검토하여 수정할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주제 관련 신문 읽기〈읽기자료 1〉좋은 기록문화 만들며 도민에 다가갈게요이곳은 공공기관에서 만든 기록물 중에서 중요한 것들을 보존, 관리할 수 있게끔 하는 부서에요, 기록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겁니다.전북도교육청 기록관리실에서 만난 김문석 기록연구사(38)는 본인과 기록관리실의 역할을 이렇게 설명했다.사람은 기록을 남긴다.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사람은 더욱 그렇다. 수많은 기록물들을 수집하고, 각각의 기록물의 가치를 판단해 보존 여부를 결정하고, 이 같은 기록물들을 활용해 역사의 한 장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기록관리의 영역이라는 것이다.도교육청 기록관리실에 매년 쏟아지는 기록물은 3~4만권. 권은 종류에 따라 약 10여건의 문서가 묶인 것을 말한다. 이맘때가 각 시군 교육지원청 및 직속기관 등에서 한 해 분량의 기록물이 모여 들어오는 기간이다.1년 중 반 년 이상을 이 기록물들을 분류하고 처리하는데 쏟는다고 김 연구사는 말했다. 김 연구사의 손을 거친 기록물들은 도교육청 기록관으로 향한다. 아무나 들어갈 수 없는 제한구역이다.도교육청은 지난달 29일 국가기록관리 유공 대통령 기관 표창을 받았다. 지난해 11월 국가기록원이 발표한 2015년 기록관리 기관평가 결과에서 평가 대상이었던 전국 15개 시도교육청 중 유일하게 가 등급을 받는 등, 매년 기록관리 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올린 것이 인정받은 것이다. 〈출처: 전북일보 2016년 02월 19일 12면〉〈읽기자료 2〉사소한 기록도 세월 흐르면 역사가 돼유지금은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세월이 흐르면 다 역사가 돼유.충북 청주시 살미면 임대규(82)씨의 거실에는 커다란 달력 일기가 걸려 있다. 깨알 같은 글씨로 날짜마다 빼곡히 적혀 있는 것은 임씨의 집안일, 그리고 그날그날 일어난 세상사들이다.임씨는 1979년 이후 38년 동안 이렇게 달력 일기를 써왔다. 할 일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조금씩 메모를 시작한 것이 시작이다.그의 기록은 달력 일기뿐이 아니다. 사진과 영상, 신문 스크랩, 영수증, 청첩장, 복권, 우표, 버스 승차권, 극장 입장원 등까지 방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40여년 가까이 기록하고 모아온 자료들은 지금 방 2개와 거실을 꽉 채우고도 모자랄 정도다.이러한 기록으로 그는 2000년 한국 국가기록원 주관 제1회 한국 시민기록문화상을 받기도 했다. 임씨는 요즘도 농사일을 마치고 새벽 1시를 훌쩍 넘기도록 책과 신문을 보며 자료정리를 하고 있다. 임씨는 기록을 하면 많은 것을 알 수 있고 남한테 가르쳐 줄 수도 있다며 신문과 책을 보면 좋은 말이 참 많이 나오는데 머리에 담아두면 모두 좋은 공부가 된다고 말했다. 〈출처: 세계일보 2016년 02월 22일 28면〉〈읽기자료 3〉삶을 글로 정리하며 위안을〈나의 삶, 나의 책〉은 모두 4권으로, 출생에서 노년에 이르기까지의 연대기적 정리와 사물이나 감정, 시대에 대한 단편적인 기억을 중심으로 정리하는 형식으로 구성됐다. 주제별로 유명 작가의 글이 사례로 먼저 소개되고, 글을 쓰기 전 생각해봐야할 점, 주요 단어 등이 제시되어 있어서 혼자서도 책의 안내에 따라 자서전을 쓸 수 있도록 친절하게 이끌어준다.책은 삶의 기억, 사물의 기억, 감정의 기억, 시대의 기억으로 엮인다. 삶의 기억은 출생과 유년 학교생활 군대 결혼 자녀 등 생애주기에 따른 연대기적 정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사물의 기억은 라디오나 책, 옷, 자전거, 우물 같은 물건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를 정리하도록 안내하며, 감정의 기억은 사랑과 행복, 추억, 우정, 기회, 실패 같이 인생을 살면서 느꼈던 감정을 중심으로 삶을 회고할 수 있도록 한다.일제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 1970년대 경제성장기, 1988년 올림픽, 민주화 운동 같이 세대가 공유하는 시대의 기억도 풀어놓을 수 있도록 했다.출판문화진흥원 이재호 원장은 격동의 시대를 살아온 실버세대에서 삶을 정리하는 자서전쓰기를 통해 글쓰기의 재미와 삶의 아픔을 치유하는 기회를 마련해드리고 싶었다면서 자서전을 통해 가족 간 이해와 소통이 깊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나의 삶, 나의 책〉은 출판문화진흥원과 지역출판사, 지역서점이 연대하는 첫 사업이기도 하다.〈출처: 전북일보 2016년 01월 15일 금요일 19면〉■ 생각 키우기1. 〈읽기자료 123〉를 읽고 각 내용을 요약해 보자.2. 〈읽기자료 123〉을 읽고 기록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자신이 실천 방안을 토의해 보자.3. 〈읽기자료 2〉를 읽고 자신의 과거의 삶을 정리하고 미래의 삶을 꿈꾸며 책을 만든다면 차례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개할 지에 대하여 생각해보자.4. 다음 제시한 그림은 에스허르(Escher. M. C)의 그리는 손이다. 현재의 나를 정확히 알고 바람직한 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나와 관계를 맺는 사람들, 나를 둘러싼 사회와 자연을 알아야한다. 이속에서 내가 만들어지고, 나에 의해 다른 사람, 사회, 자연이 변하기 때문이다. 나를 알고 성찰을 통해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한 태도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서술해보자.5. 제 20대 국회의원 선거일이 4월 13일로 얼마 남지 않았다. 신문을 자료를 활용한 일기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이번 선거철을 맞이하여 다음에 제시하는 NIE 선거 일기 쓰기 안내를 참고하여 NIE 선거 일기를 써보도록 하자.선거철이 되면 신문의 내용은 선거에 관련된 기사가 넘쳐흐른다. 이를 잘 활용하면 선거에 관한 관심과 함께 민주주의의 성패를 좌우하는 선거에 대하여 올바른 이해의 길을 찾을 수 있다. 간접 민주정치 과정에는 무엇보다도 선거가 중요하다. 요즘과 같이 선거철에 매일 매일 스크랩 활동을 통하여 정리하여 일기로 대치하면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와 정치 일반에 대한 지적 성숙을 거둘 수 있다. 선거철에 한시적으로 NIE 관심일기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의 정치 발전과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활동으로 활용하면 바람직한 민주 시민 교육으로도 적당하다.이때 일반적인 스크랩 활동과 구분할 것은 스크랩 내용에 대하여 자신의 느낌을 가능한 한 쓰게 하여 선거에 대한 개인의 관심을 표출하게 하고,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성숙시키는 활동으로 전개해야 한다.결국 신문을 활용한 관심일기 쓰기는 선거 일기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사건이나 행사가 있을 때마다 그 사건이나 행사를 중심으로 NIE 관심일기를 쓰게 함으로써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인 활동으로 가능하다.■ 학생 글- 기록한다는 것우리는 매일 기록하며 살아간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기록이라는 행위 속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가정과 학교, 직장 등에서 우리가 하루를 보내며 발생하는 상황들 속에서 기록이라는 행위는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해주었다. 만약 기록된 자료나 기록이라는 행위가 없다면 우리는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것이다. 이처럼 기록은 인간을 존재할 수 있게 하였고 삶의 가치를 높여주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그렇다면 기록이란 무엇일까? 기록의 사전적 정의는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 글이다. 문자와 종이의 발명은 기록이라는 행위를 가능하게 해주었고 기록의 사전적 정의에 걸맞게 사람들은 후대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자신의 견해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기록이라는 행위의 시작은 인류사에 엄청난 영향을 주게 되었다. 사람들은 잘못된 역사는 후손들이 경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좋은 역사는 후손들이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록하였고 우리는 선조들의 지혜가 기록되어져 있는 이러한 역사를 배움으로써 직접 경험해보지 않은 것들도 손쉽게 습득할 수 있게 되었고 편리한 삶을 살 수 있게 되었다.일상 속에서 우리는 기록이라는 행위의 다양한 예시들과 그로 인한 편리함을 찾아볼 수 있다. 학교에서는 수업시간에 배웠던 내용이나 해야 할 일들을 기록함으로써 효율적인 공부와 편리한 학교생활이 가능해지고, 회사에서는 기록이라는 행위가 행해지지 않는다면 자료나 보고서 처리 등의 일처리가 불가능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매일 기록되어져 있는 자료를 보며 살아간다. 학교에서는 기록의 산물인 책을 보며 공부하고 직장에서는 기록으로 남아있는 자료가 있어야 일을 할 수 있다.이처럼 기록은 우리의 일상생활의 모든 곳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고 앞으로도 우리는 기록하며 살아갈 것이다. 우리는 기록으로 남아있는 자료들을 공부하며 글 속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기록하는 행위를 통해 중요한 것들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후대에 전달할 수 있다. 기록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한 생각은 사람들마다 조금씩 다를 수도 있지만 크게 통합하여 보면 기록한다는 것은 배운다는 것, 그리고 기억한다는 것이라는 두 가지 의미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기록은 우리에게 선생님이자 기억전달자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한승원(동암고 2학년)- 기록의 힘페이스북, 카카오톡, 인터넷, 서적 등과 같은 우리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들의 근본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기록이다. 지난 인류역사를 거치며 현재까지도 그 힘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어떠한 힘을 가지고 있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일까?우리 사람은 하루를 살면서 다 기억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 나중에 가면 전부 잊어먹는 그런 존재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인간의 기억은 영구보존기억이 아닌 계속해서 지금까지도 잊어먹고 있는 한정보존기억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자신이 그날 무엇을 하였는지 기억하거나 증명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당연히 그 날의 일을 기록하면 되는 것이다. 그 일을 기록함으로써 그 날의 일을 다시 생각해보기도 하고 나중에 읽어보면 그 때 하루를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억 되살리기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우리나라의 대표적 역사서 중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가 있다. 이 둘의 공통점은 결코 왕이 건들 수 없는 기록물이란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의문점 하나가 제기된다. 왜 왕은 자신의 결점이 남을 수 있는 기록물을 자신이 통제할 수 없게 만든 것일까? 그것은 바로 후대에 귀감이 되게 하란 목적에 의해서다. 만약 왕이 그 기록물들을 통제한다면 객관성과 그것을 쓰는 근본적 이유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왕과 이러한 기록물들을 적는 사관의 노력에 의해현대의 사람들은 과거에서 배우는 교훈들을 얻는 것과 역사학자에겐 역사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 것이다.상대방의 거짓말을 밝히기 위한 도구로 기록물이 증거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예로 독도에 관해서도 일본이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거짓말을 우리가 거짓말이라고 증명할 수 있는 이유는 독도가 대한민국 땅이라고 기록하고 있는 기록문서들이 많기 때문이다. 세종실록지리지와 같은 것에 말이다. 이러한 예시로 알 수 있는 점은 기록은 진실을 밝혀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란 것이다.이것으로 사람들의 업적, 창작물, 그리고 자신이 이 세상에 있었다는 증거로 남기기에 좋은 것이 바로 기록이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기록하지 않은 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진실을 밝힐 수 없고 그날 하루하루를 의미 없이 소비하고 나중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은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우리는 기록해야한다. 우리의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들을 적어 후대에게 교훈을 주고 이 세상을 산 것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었다고 증명해야한다. 박기범(동암고 2학년)

  • 교육
  • 기고
  • 2016.04.01 23:02

[전북형 평가제도 도입] 초등 성장평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 주제 다가서기2014 교육감 공약사업 중 전북형 평가제도가 명시된 바 있다. 이는 학교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학습의 과정으로서의 평가,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강화 등 2009 개정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 총론 등 최신 교육의 흐름과 맥락을 함께 하는 내용으로 보인다.현행 평가 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참학력 신장을 위한 평가라는 거시적인 평가 방안을 제시하는 전북형 평가제도가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교육의 본질에 초점을 맞추며 참학력의 실체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이번 주에는 새로운 평가에 대한 그 현황과 준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신문 읽기〈읽기 자료 1〉 김승환 전북교육감 초등 성장평가제, 일괄 지침 내리지 말라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올해부터 전북지역 초등학교에서 전면 시행되는 성장평가제에 대해 정형화된 지침을 내지 말도록 강조했다.김 교육감은 15일 전북도교육청 확대간부회의에서 성장평가제의 핵심은 초등학생 성장 기록의 권한과 책임을 100% 담임교사에게 주겠다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초등학교 성장평가제는 김 교육감이 지난달 신년 기자회견에서 올부터 전면 도입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기존의 일제고사식 지필평가(중간기말고사)를 대체한다. 기본적으로 교사 각자의 평가권을 강화하고 학생마다 성장발달을 기록지원하기 위해 도입되는 제도로, 도시군교육청 차원의 일괄적인 지침이 내려갈 경우 애초 목적이 흐려질 수 있다는 것.이날 김 교육감은 또 학생에 관한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경우 의도치 않은 부작용이 나올 수도 있다면서 평가 결과를 기록관리하는 방법도 이달 안으로 검토해 좋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북일보 2016년 2월 15일〉〈읽기 자료 2〉 전북 초등교, 올해부터 중간-기말고사 전면 폐지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새 학기부터 초등학교에서 일제평가 방식의 중간, 기말고사를 전면 폐지하고 교사별 평가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6일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날 신년기자회견에서 현행학생평가제도를 개선하지 않고는 수업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면서 학생의 자유로운 사고를 막고 창의력을 떨어뜨리는 일제평가 대신 교사가 아이들 한 명 한 명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성장평가제를 전국에서 처음으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김 교육감은 중고교의 평가제도는 입시와 연계된 점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먼저 2018년도 고입제도의 완전내신제 전환에 맞춰 중학교는 수행평가 반영 비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토론 및 협력학습을 평가에 반영하도록 기본 방향을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김 교육감은 기초학력이 낮은 학생들에게 유형별 원인 진단과 보충까지 통합해 지원하는 맞춤형 책임교육을 확대하고 2학기에 역사 교과서 보조 교재 초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수업 혁신과 학교자치를 통한 건강한 학교문화 만들기를 올해의 정책 의제로 설정했다며 무한 경쟁만 강요하는 교육에는 절대 미래가 없기 때문에 학교를 살리고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동아일보 2016년 1월 7일〉〈읽기 자료 3〉중학생 기초학력 미달 비율 전국 최고라니농업사회가 주류를 이뤘던 6070년대만 해도 전북이 모든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고 있었다. 그 가운데 교육부문이 타 시도에 비해 앞서 있었다. 전주익산군산 등에 명문 고등학교들이 많아 외지에서 전북으로 유학 온 학생들이 많았다. 이 같은 현상은 고교평준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계속됐다. 도민들의 자부심도 대단했다. 도민들은 경제력이 타 시도에 비해 다소 뒤쳐져도 교육부문의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전북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졌다.하지만 지금의 전북 현실은 암울하다. 갈수록 경제력이 악화되면서 교육경쟁력도 함께 동반 추락했기 때문이다. 전반적인 인구 감소에 따라 중고등학교의 경쟁체제가 제대로 구축이 안됐다. 3시 고교 입시도 경쟁이 안 되다 보니까 학력저하가 늘었다. 중학교는 심각하다. 국회 박홍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2011년~2014년 국가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결과에 따르면 2014년도 도내 중학생들의 기초학력미달 비율이 전국 평균 3.7%보다 훨씬 높은 5.7%로 나타났다는 것. 이는 전국 최고 수준이다.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매년 중학교 3학년(1~2학년 전과정, 3학년 1학기 과정 출제)과 고등학교 2학년생(1학년 전과정 출제)을 대상으로 국어 영어 수학 교과를 평가한다. 문제는 중학생들의 기초 학력 미달자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는 것이다.교육과정 중 인성체육덕육도 중요하지만 가장 기본은 학력이다. 기초학력이 낮다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들은 학교 가는 것 자체를 싫어할 수 있다. 학습에 흥미를 못 느끼고 교우 관계도 제대로 형성이 안 돼 자칫 문제아로 낙인찍힐 수 있다.이들 학생들은 다문화 가정이나 결손가정 아이들이 많아 특단의 대책을 학교별로 수립하지 않는 한 개선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이들 아이들을 교육시킬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시급하다. 정서적으로 상처 받지 않고 기초학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각 학교별로 마련토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청이 의지를 갖고 적극 나서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교육청이 각 학교에 예산을 배정해서 기초학력 미달자를 어느 수준까지 끌어올리는 교육을 시키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기초학력미달자에 대한 또다른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결국은 학교가 해야 할 일이다. 수월성 교육도 중요하지만 모든 학생이 건전한 시민이 될 수 있도록 자질 함양 교육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기초학력자 비율이 높다는 것은 도교육청이 부끄럽게 알아야 할 사안이다. 〈전북일보 2015년 9.월 15일〉■ 생각 열기1. 〈읽기자료 1〉을 읽고, 초등 성장평가제에 대해 정리하시오.2. 〈읽기자료 2〉를 읽고, 전북 초등학교가 중간-기말고사를 전면 폐지하게 된 배경에 대해 정리하시오.3. 〈읽기자료 3〉을 읽고, 전라북도 교육현황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글쓴이의 관점을 정리하시오.4. 〈읽기자료 3〉을 읽고, 현재 전라북도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찾아 정리하시오.■ 심화활동1.학생중심 평가와 과정중심 평가라는 방향으로 평가의 큰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중간고사나 기말고사와 같은 일제고사 폐지와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의 관계에 대하여 자신의 주장을 400자 내외로 서술해보자.2. 전라북도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등 과거에 지필고사로 평가받고 객관적인 점수로 상대평가를 하던 체제에서 수행평가 등 상시평가 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기존 평가 방법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역량을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방법에 무엇이 있을지 과목별로 자신의 생각을 서술해보시오.■ 생각 키우기◈ 학력 : 학교교육 등의 학습이나 훈련에 의하여 획득한 지적 적응능력을 의미한다. 학력의 정도는 교육연령, 학력편차치, 백분율 순위 등으로 표현하며, 교육연령의 역연령에 대한 비나 정신연령에 대한 비에 의해서 학생에 대한 진단 및 교육방법 개선의 자료로 삼기도 한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OECD가 실시하는 각국 학생들의 교육수준 평가를 위한 시험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본부 주도로 회원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는 의무교육의 종료시점에 있는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수학과학적 소양(literacy)의 성취수준을 평가하여 각국 교육의 성과를 비교점검하는 것이다.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대한 국제적인 프로파일을 파악하고, 이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배경적인 요인을 밝혀내며, 이러한 학업성취의 프로파일과 배경요인들이 국가별, 혹은 문화권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 줌으로써 정책결정자들에게 교육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약 60여개국이 조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각 주기별로 1가지 영역을 주 영역, 나머지 영역을 보조 영역으로 설정해 분석한다〈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생각 더하기-다음은 한 사회에서 교육과 성공 그리고 삶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에 대해 그린 영화들입니다. 이 영화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학생글- 지나친 경쟁 없는 수행평가 좋아요우리 학교는 중간기말고사를 없애고 수행평가만 실시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평가 방법에 대해 찬성한다.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는 아이들을 점수로만 평가한다. 그래서 아이들끼리 경쟁심이 유발된다.물론 경쟁은 서로를 발전시킬 수 있지만 지나친 경쟁으로 친구와의 우정에 금이 갈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중간기말고사를 볼 즈음이면 가족들과 꽃구경도 하면서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시험 때문에 가족들과의 화목한 시간을 놓치게 되었었다.수행평가는 등수를 내지 않기 때문에 경쟁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없다. 매달 학업이 성장해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아이들도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니까 서로 사이좋게 지낼 수 있어서 인성에 도움이 된다. 그래서 나는 수행평가 제도를 찬성한다. 윤유빈(전주인후초 6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3.25 23:02

유리천장은 있는가

오늘날 우리사회는 남녀 간 차별의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전통사회에서처럼 여성에게 재갈을 물리거나 여성의 활동을 제약하는 구조는 사라졌다. 여성이 사회적 활동을 하기 위해 영웅적 결단이나 투쟁이 요구되지도 않는다. 여성 대통령이 집권하고 있는 상황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억지 주장처럼 들릴 수도 있다.하지만 여전히 차별의 문제는 내재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제도적으로는 차별이 없지만 현실적으로 여성의 발전을 가로막고 여성의 역량을 억압하는 유리 천장이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유리천장은 과연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유리천장을 깨뜨리기 위한 여성 우대 정책은 필요한가? 함께 생각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교과 관련〉고등학교 윤리와 사상 223쪽(지학사), 여성주의와 여성주의 윤리학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80쪽(비상교육), 성차별의 부당성과 양성평등의 방향고등학교 사회 문화 154쪽(금성출판사), 성불평등 문제■ 자료 읽기〈자료1〉높고 두터운 유리천장 기업 성장 잠재력 뒷걸음질성 다양성은 윤리적으로 옳기 때문에 추구하는 게 아니라, 우리 회사와 가정, 나아가 사회를 이롭게 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이기에 반드시 해야 할 일입니다.스위스 다보스에서 지난 1월에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의 주제는 4차 산업혁명이었다. 전통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까지 융합한 4차 산업혁명에서 경쟁력의 핵심은 무엇일까? 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셰릴 샌드버그는 세계경제포럼 특별강연에서 성별 다양성 확보를 답으로 제시했다. 즉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이 새로운 혁명을 촉진한다는 것이다.그런데 샌드버그의 주창과는 달리 미국 현실은 아직 답답하다. 국제 비영리기관인 캐털리스트가 뉴욕증시의 에스앤피500(S&P500) 지수에 편입된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 대표이사의 비율을 집계한 결과 2015년 말 기준 4.2%에 그쳤다. 이사회의 여성 비율도 19.2%로, 압도적인 남성 우위다. 미국 주요 기업에서는 여성의 승진을 가로막는 유리천장(보이지 않는 장벽)이 여전히 견고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기업 활동의 자유가 강조되는 미국에선 법이나 제도로 이를 깨기란 어려워 보인다.반면에 유럽 상황은 조금 다르다. 유리천장을 깨기 위해 정부가 적극 개입한다. 독일은 2년여 동안 치열한 찬반논란 끝에 지난해 여성임원할당제를 입법화했다. 이에 따라 올해부터 1천여 민간 대기업을 시작으로 이사회 내 여성 비율을 30%로 채워야 한다. (중략)유럽 국가들이 기업 내 여성의 지위 향상을 법으로 의무화하기까지 이른 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다. 우선 인구 고령화 추세를 맞아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이기 위해서다. 더 직접적인 이유는, 경영진 내 여성의 비중이 높은 기업일수록 더 높은 경영성과를 올리기 때문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실증 분석 결과도 많다. 세계적 컨설팅회사인 매킨지가 2007년부터 유럽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산출하고 있는 양성 평등 지수를 보면, 최상위 지수를 받은 기업군의 경영성과가 같은 업종의 최하위 지수 기업군보다 훨씬 높다. (박은경. 한겨레 2016.2.22.월 22면)〈자료2〉딸들이 사는 세상미국보다 먼저 여성 대통령을 배출했을 정도로 표면적인 남녀 차별은 거의 없어졌고, 이미 여초(女超)국가가 됐지만 대한민국 여성들의 삶은 여전히 고달프다. 각종 시험에서 수석은 대부분 여학생이 차지하지만 남학생보다 성적이 우수해도 취업은 더 어렵고, 일자리를 얻더라도 출산육아를 거치면서 남성들에게 밀리기 일쑤다. 이 과정을 극복해도 유리천장 앞에서 고개를 숙이고 만다.여성가족부가 집계한 국가성평등지수(2014년 기준)는 69.9점으로 전년(68.7점)보다 상승했다. 고등교육기관 재학률과 교육기간을 반영한 교육직업훈련지수는 96.3점, 보건지수는 96.2점으로 사실상 양성평등이 실현됐다. 하지만 국회의원과 5급 이상 공무원, 관리직 비율을 토대로 산정한 의사결정 분야 점수는 18.7점에 불과하다. 남녀의 승진에서 보이지 않는 차별을 의미하는 유리천장지수는 우리나라가 25.6점(2015년)으로 OECD 국가 중 최하위다. 여성에게 처음 투표권을 부여한 핀란드의 80점과 비교하면 낙제점이다.같은 일을 하는 남녀 간 임금 차이도 존재한다. 지난해 한국의 동일임금의 날(Equal Pay Day)은 5월 마지막 주 일요일이었다. 동일임금의 날이란 지난해 남성과 여성이 받은 임금의 차이를 계산해, 여성이 며칠을 더 일해야 전년도 남성의 임금과 같아지는지를 따진 것이다. 즉 같은 일을 하는 한국 여성이 남성과 같은 임금을 받으려면 5개월 이상 더 일해야 한다는 의미다. 성별 임금 격차가 일본 26.5%, 노르웨이 6.4%, 뉴질랜드 6.2%라는 것을 고려하면 심각한 수준이다.내 딸이 나 같은 상사 밑에서 일한다고 생각하면 결론은 쉽다. 딸이 살 세상이 달라지길 원한다면 나부터 달라져야 한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는 페이스북 주식 99% 기부를 결정하면서 아이가 살아갈 세상을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기 위해라고 이유를 밝혔다. 내가 달라지지 않으면 내 딸이 사는 세상도 달라질 수 없다. (이은아. 매일경제 2016.2.19. 금. 35면)〈자료3〉여성주의와 여성주의 윤리학인류의 절반은 여성이지만 역사 속에서 여성의 목소리를 듣기란 쉽지 않았다. 20세기 들어 민주주의가 확산되고, 여성이 참정권을 갖게 되면서 여성은 자신의 목소리를 찾아 나섰고, 이는 여성주의(feminism)로 발전하였다.보부아르는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고 주장하였다. 보부아르에 의하면,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어 태어나지만 남성과 여성의 역할까지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역사와 문화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라는 사회적 역할(젠더)을 규정한다. 여성주의가 주목하는 것은 교육과 사회화 등을 통해 사회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차별적인 성 역할관을 바로 잡는 것이다.여성주의는 남성이 만들어 놓은 여성다운 모습이 아닌 여성 고유의 본질과 특성에 주목하면서, 여성은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가부장적이고 여성 배제적이며, 여성 차별적인 문화와 사회 구조를 파헤치고 비판하면서 여성의 해방과 자유를 추구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여성의 삶을 그 자체로 존중하는 양성평등과 모성적 사유에 대한 존중을 강조한다. (고등학교 윤리와사상, 지학사, 223쪽)■ 생각 나누기1. 남성이 더 잘하는 일은 무엇인가요?2. 여성이 더 잘하는 일은 무엇인가요?3. 남성 또는 여성은 왜 그 일을 더 잘 할까요?■ 자료 읽기1. 〈자료1〉에서 미국의 현실은 유리천장이 여전히 견고하다고 말하는 근거를 찾아보세요.2. 여성임원할당제란 무엇인가요?3. 〈자료2〉를 읽고, 각각의 점수를 적어보세요.①국가성평등지수(2014년 기준)( )점,②교육훈련직업지수( )점,③의사 결정 분야 점수( )점4. 동일임금의 날의 의미를 정리해보세요.■ 토론하기1. 〈자료3〉을 읽고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말의 의미를 함께 토론해보세요.2. 자신에게 있는 젠더(사회문화적으로 정의된 성)의 구체적 내용을 하나씩 찾아 말해 보세요. (예-남자여서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여자여서 작은 목소리로 말한다. 등등)■ 생각 키우기우리 사회에 유리천장이 존재하는지 토론해보고, 존재한다면 유리천장을 깨뜨리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보세요.■ 더 읽을 기사-OECD중 한국 여성 임금격차 꼴찌, 고용률 하위, 승진율 바닥(한겨레 2016-03-09)-성평등 가치 실현, 모두를 위한 진보 (내일신문 2016-03-07)■ 참고자료1. 보부아르와 제2의 성(性)보부아르는 대학 시절 토론 모임에서 사르트르를 만났다. 그의 영향을 받아 실존주의 철학을 익혔으며, 이를 사상과 행동의 기조로 삼았다. 두 사람은 서로가 자신의 완벽한 대화 상대라는 것을 알았고, 당시의 부르주아적 결혼 문화를 비판하며 파격적인 계약 결혼을 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두 사람의 관계는 이후 약 50여 년 동안 지속되었다.1949년 출간한 제2의 성은 오늘날 여성주의의 고전이 되었다. 문화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는 여성다움이라는 신화의 실체를 파헤치고, 또 그것을 타파해야 한다고 호소한다. 남성 중심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의 종속을 당연시하는 문화를 거부하며 여성다움 때문에 희생을 감수해야 했던 여성의 본질적인 자아를 찾고자 노력하였다.2. 페미니즘(feminism)라틴어 페미나(femina)에서 파생한 말로서, 성 차별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시각 때문에 여성이 억압받는 현실에 저항하는 여성해방 이데올로기를 말한다. 여성을 여성 자체가 아니라 남성이 아닌 성 혹은 결함 있는 남성으로 간주함으로써 야기되는 여성문제에 주목하면서 올바른 전망을 제시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을 포함한다. 즉 여성 억압의 현실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해결 모색, 남성 특유의 방식을 표준화하려는 태도 근절, 스스로 억압받는다고 느끼는 여성들의 관심사 이해, 여성적 특수성이나 정당한 차이를 정립하고자 하는 것 등이 페미니즘의 목적이다. 페미니즘에서 문제삼는 것은 생물학적인 성(sex)이 아니라 사회적인 성(gender)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학생글- 유리천장, 여성들만의 피해인가?한국사회의 가장 큰 문제가 취업난이라는 건 대다수가 동의할 것이다. 이로 인해 N포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니 말이다. 요즘 한국 청년들에게 일자리 구하기란 하늘에 별 따기라고 할 수 있다. 소위 좋은 대학을 나와도 취업이 보장되지 않으니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취업에 성공한 이후에도 제기되는 더 큰 문제가 있다. 바로 유리천장이다.유리천장은 여성과 소수민족 출신자들의 고위직 승진을 막는 조직 내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취업한 여성들의 정상적인 승진과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걸림돌 유리천장이 있다는 것을 주위나, 매체 등을 통해서 쉽게 접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 기업 등이 많은 노력을 쏟고 있으며, 우리 사회는 여성들의 사회적 입지가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하지만 여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여성우대정책으로 여성들의 걱정을 덜어주는 동안, 남성들의 취업문제에 대해서는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의심이 든다. 일자리 문제로 모두가 고난을 겪고 있는데, 여성임원할당제, 여성고용할당제 같은 여성에게 유리한 정책을 펼친다면, 남성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는 것이 아닐까? 남성들은 군복무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여성들은 남성보다 먼저 취업 준비를 하고 있다. 남성들은 스타트도 늦고, 여성우대정책에 가려 취업 불이익을 받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위직에서의 유리천장은 인정하지만, 이것을 여성만의 문제로 인식하는 것은 다소 편협된 시각이다. 유리천장의 문제를 여성우대정책을 통해 해소하려는 접근은 역차별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동등한 노력을 기울인 많은 사람들이 고위직에 이르지 못하는 것은 성차별보다는 기업과 근로자들의 태도에 더 큰 원인이 있다. 기업이 고위직 임용을 기피하고 비정규직 및 임시직 채용을 선호하는 점, 근로자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고 직업 선택의 눈높이를 높이는 점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취업난과 고위직 진출 어려움의 문제는 남녀 문제가 아니다. 남성들에게도 여성 못지않게 불리한 점이 있고, 똑같이 사회적 어려움을 겪는다. 유리천장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남성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이는 양성평등의 뜻에 어긋나지 않은가? 성차별의 문제보다는 젊은이들의 사회 진출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해소하는 것이 더 중대한 문제이다. 심민우(전북사대부고 3년)- 유리천장을 걷어내자페이스북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셰릴 샌드버그는 몇 년 전, 계약건의 협상을 위해 뉴욕 개인 사무실을 방문한 적이 있다. 미팅 중 잠시 휴식시간에 화장실을 가기 위해 일어섰는데 회의를 주최한 동료가 당황한 표정을 지었다. 여자 화장실의 위치를 몰라서 알려줄 수가 없었기 때문이었다. 사무실을 1년 동안 사용한 주인이었는데도 말이다. 그 사무실을 방문한 사람들 중 여성은 샌드버그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미국 사회에서 여성 리더가 얼마나 소수인지 알 수 있는 일이다. 자유의 나라 미국에서도 이렇게 유리천장이 존재하는데, 우리나라는 어떨까?양성평등 사상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어 여성들에 대한 차별이 줄어들고, 여성할당제가 장려되면서 여성과 남성의 고용비는 거의 동등해졌다. 하지만 여성 임원, 여성 국회의원 등 고위직을 맡은 여성의 수는 손에 꼽을 만큼 적다는 점에서 우리사회도 갈 길이 멀다. 지난 해 세계경제포럼이 발표한 한국의 성 평등 지수는 145개국 중 115위라고 한다. 우리 사회에서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이유는 출산이나 육아로 인한 휴가로 경제적 손실을 걱정하는 기업의 걱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이 위축될수록 여성이 피해의식이 높아지고, 출산을 더욱 기피하게 되며 고령화는 가속될 것이다. 고령화로 인한 소비 위축의 부메랑은 고스란히 기업에게 닥칠 것이다.여성의 경제활동에 활력을 주고 여성리더를 더욱 길러야 한다. 여성 임원할당제를 비롯한 제도적 도움도 절실히 필요하다. 물론 여성 스스로 능력을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야한다. 여성 리더들이 많아지면 여성 특유의 섬세한 리더십을 통해 산업분야에서는 감성을 자극하는 창의적인 제품이 출시될 것이고 구성원을 격려하고 포용하는 민주적인 조직운영도 이루어질 것이다. 여성적 리더십은 생산성을 제고하고 각 분야에 시너지 효과를 줄 것이다.여성주의(feminism) 사상가 보부아르는 여자는 여자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여자로 만들어지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이라는 사회적 역할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선천적인 성차로 인한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 누구나 자신의 능력과 성취로 인정받아야 한다. 여성이 당당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남녀가 서로를 존중해서 각 분야의 유리천장이 더 많이 깨질 수 있기를 바란다. 최윤정(전북사대부고 3학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3.18 23:02

[세계 여성의 날] 남녀가 조화 이루는 양성평등 사회

■ 주제 다가서기3월 8일은 세계여성의 날이다. 이 날은 1908년 생존권과 참정권 확보를 위해 일어섰던 미국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미 세계적인 기념행사가 되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1985년 제 1회 여성대회를 시작으로 제 32회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사회에서 여성의 지위가 많이 향상되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여성들의 삶은 여전히 일자리, 결혼, 육아, 노후 모두 만만치 않다.과거 학교 교과목에서 남학생은 기술, 여학생은 가정을 배우면서 여성성과 남성성의 차이를 두었다. 요즈음 학교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를 두지 않고 중립을 지킨다. 하지만 남성성과 여성성의 차이를 두지 않고 평등하게만 대하는 것이 과연 양성평등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양성평등의 사회는 서로의 성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존중하면서 남녀 통합 속에서 시작되어진다고 본다. 성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차별이 이뤄지면 안 되고 자연의 섭리에 의해 결정된 성을 존중하고 남녀가 조화를 이루는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따라서 이번 지면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남녀 차별의 사례를 찾아보고 남녀가 조화를 이루는 양성평등의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주제 관련 교과 단원-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사회 3.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중학교 1학년 도덕 2. 가정, 이웃, 학교, 생활예절- 중학교 3학년 도덕 2. 가정, 이웃, 학교생활과 도덕문제- 고등학교 사회문화 4. 사회계층과 불평등■ 신문 읽기[읽기자료 1] 희망을 연결하라한국여성대회, 1000명 모여 여성폭력 거부 한목소리3월 1일은 KTX 승무원들이 파업을 시작으로 투쟁을 시작한 지 딱 10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초기부터 단식, 삭발, 철탑 농성까지 안 해본 게 없는데 아직도 부족한가 보다, 열심히 한다고 했는데 대법원에서 승무원은 안전을 담당하지 않는다고 해서 세상이 후퇴하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다시 투쟁의 현장으로 돌아와 보니 많은 분이 힘과 희망을 주시더군요.8일 서울시청 8층 다목적홀에서 열린 제32회 한국여성대회에서 KTX 열차 승무지부가 여성운동 특별상을 받았다. 김승아 지부장은 울먹이며 수상 소감을 이어갔고, 대회장에 모인 1000여 명의 여성은 힘찬 연대의 박수를 보냈다.올해 38세계여성의날을 기념해 한국여성단체연합(이하 여성연합)이 개최한 이번 대회는 희망을 연결하라-모이자! 행동하자! 바꾸자!를 주제로 절망의 시대를 소통과 희망의 미래로 바꾸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애초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우천으로 인해 급히 장소를 변경했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전국에서 모인 여성들이 행사장을 가득 채웠다.정문자 공동대표는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여성폭력 근절, 성평등 가치실현, 노동 개악 중단, 성평등 국회,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등 6개 핵심과제를 소개하며 민주주의의 희망, 성평등의 희망을 여러분과 함께 힘차게 연대하겠다고 외쳤다.이날 사회는 여성연합 홍보대사인 방송인 김미화가 맡았다. 김미화는 성평등 걸림돌을 발표하며 성평등 걸림돌에 호명된 인물과 단체가 이것도 상이라고 좋아하더라며 수상자를 호명할 때마다 단전에서 끌어올린 힘찬 야유의 목소리를 들려 달라고 주문했다.성평등 걸림돌은 성교육표준안과 노동정책, 양성평등정책 등 박근혜 정부의 3대 정책을 비롯해 △양성평등기금을 폐지한 홍준표 경남도지사 △데이트폭력 사건 판결에서 가해자의 미래를 우려해 벌금형을 선고한 광주지법 △여성 노조지부장을 집단적으로 괴롭힌 인천성모병원 △KTX 여승무원 근로자 지위 확인 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한 고00, 김00 대법원 주심 판사 등이 호명됐다.이어 발표된 성평등 디딤돌 상은 걸림돌과 달리 참석자들의 뜨겁고 열렬한 응원의 박수를 받았다. △시설 내 장애인 인권 보장을 촉구하고, 법인 설립 허가 취소를 끌어낸 자림성폭력대책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정의로운 해결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활동하는 대학생 단체 평화나비네트워크 △페미니스트에 대한 왜곡과 편견을 걷어내고 여성운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나는 페미니스트입니다 선언운동 △원천사업장의 구조조정과 용역회사의 해고를 막아낸 전국여성노동조합 인천지부 연세대 국제캠퍼스 기숙사 분회 △업주의 폭력과 착취, 불법 성매매 영업 등을 세상에 드러낸 여수 유흥업소 여성사망사건 제보 여성 9명 등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출처 : 여성신문, 2016-03-05, 홍미은 기자〉[읽기자료 2] 여성 사회진출 척도 유리천장지수 한국4회 연속 꼴찌임금이나 승진 등 직장 내 여성차별을 보여주는 지수인 유리천장지수(Glass-ceiling index)에서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9개국 가운데 다시 꼴찌를 기록했다.영국 주간 이코노미스트는 오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5일자 최신호에서 OECD 회원국의 유리천장지수를 발표했다. 아이슬란드(82.6점)와 노르웨이(79.3점), 스웨덴(79.0점), 핀란드(73.8점) 등 북유권 국가들이 1~4위를 석권했다. 아이슬란드는 기업 이사회의 44%가 여성이었고 스웨덴은 의회 내 여성 비율이 43.5%에 달했다. 한국은 이번 발표로 4회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반면 한국은 일본(27위28.8점)과 터키(28위27.2점)에 이어 25.0점을 얻었다. 한국은 유리천장지수가 발표된 2013년 이래 4년 연속 최하위다. 특히 한국 점수는 OECD 평균(56점)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이코노미스트는 노동시장참여도, 소득, 기업고위직 비율, 자녀 양육비용 등 기존 척도에 더해 올해는 육아휴직 기간도 추가해 지수를 산정했다.한국의 성별 소득격차는 36.7%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 OECD 평균 소득격차는 15.5%이며, 노르웨이는 6.3%에 불과했다. 한국의 기업 이사회 내 여성 비율은 2.1%로 OECD 평균인 18.5%에 한참 못 미쳤다.일본과 한국은 역설적으로 남성의 유급 육아휴직 허용기간이 각각 1위(30.4주)와 2위(16.4주)였다. 통상 남성 육아휴직이 잘 보장되면 여성의 노동시장 복귀가 활발하지만, 한국의 경우 제도는 있지만 실제로는 잘 시행되지 않아 유리천장지수 상승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출처 : 국민일보, 2016-03-04, 조효석 기자〉■ 생각 열기(1) 〈읽기자료1〉을 읽고 여성의 날을 맞이해서 우리나라가 진행했던 행사의 내용을 요약해보세요.(2) 〈읽기자료2〉의 헤드라인에서 한국이 OECD 29개국 중 유리천장지수가 4회 연속 최하위인 이유를 써보세요.■ 생각 키우기(1) 다음의 자료를 읽고 남자의 입장과 여자의 입장 중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서 성차별과 역차별이 되는 논리를 가지고 친구들과 토론해보세요.△남자대학생 59%, 역차별(성차별) 당한 적 있다대학생의 65.3%가 성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배재대 미디어정보사회학과 학생들은 최근 대전지역 5개 대학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런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5일 밝혔다. 남녀별로는 여자 대학생의 71.8%가 성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59%도 성차별(역차별)을 당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성차별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성은 능력이 부족하다는 인식(39%), 남아선호사상(24.8%), 남성우대채용(16.5%), 군가산점제(8.3%) 등을 들었다. 남자 대학생은 징병제도(40.1%), 여성전용시설(24.9%), 여성고용할당제(19.4%), 여자대학(8.5%) 등을 성차별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후략) 〈출처 : 경향신문, 2013.11.05.〉(2) 광고, 동화, 교과서, 영화, 직장 등 우리 사회에서의 남녀평등 사례와 불평등 사례를 조사해보세요. 예를 들어, 동화 잠자는 숲 속의 공주, 신데렐라, 백설공주에서 나타난 왕자와 공주의 행동유형들이 있습니다. 왕자는 말을 타고 나닌다, 잘생겼다, 용감하다. 괴롭힘을 당하는 공주를 구해준다, 반대로 공주는 예쁘다, 화려한 옷을 입는다, 괴롭힘을 당하다가 왕자에 의해 행복해진다. 이처럼 동화 속에 나타난 왕자와 공주의 모습을 통해볼 때, 남녀 성역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3) 행복한 양성평등의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단체, 지역사회, 국가차원에서 노력해야 할 점을 생각해보세요.■ 생각 더하기(1) 남녀가 조화를 이루는 양성평등의 사회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노력을 표어, 글, 시, 만화, 포스터 등으로 표현해 보세요.(2) 우리 가정에서는 양성평등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우리 가정의 양성평등이란 주제로 가족들과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관련 용어△세계 여성의 날=세계 여성의 날 또는 국제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문화어: 국제부녀절, 3월 8일, 1909년 ~)은 여성의 정치경제사회적 업적을 범세계적으로 기리는 날이다. 1909년 사회주의자들과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정치적 행사로 시작되었고, 1910년 알렉산드라 콜론타이와 클라라 체트킨에 의해 세계적 기념일로 제안되었으며, 1975년부터 유엔에 의하여 매년 3월 8일이 세계 여성의 날로 공식 지정되었다. (출처 : 위키백과)△양성평등=양성평등(Gender equality)은 남녀의 차이를 인정하되 성별로 차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출처 : 위키백과)△성역할=성 역할(性 役割, Gender role)은 실제의 성별이나 젠더에 따라 사회적으로 그에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일을 말한다. 이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남자니까, 찔찔 울지 마와 여자니까, 부드럽게 등의 행동 규범에 따라 행동할 때 그 사람은 성 역할을 해야한다고 말한다. 이 경우 특정성에 본인이 좋든 싫든 관계없이 일정한 성 역할을 기대함과 동시에 그 역할에 응할 준비와 능력, 자질, 성향이 없는 경우 불필요한 스트레스, 열등감을 당사자에게 갖게 사회적으로 자신이 불완전하고 부적응이라는 소외감과 차별감을 가질 수가 있다. (출처 : 위키백과)△역차별=역차별은 부당하게 차별을 당하는 쪽의 차별을 막기 위한 제도나 방침, 행동 따위가 너무 강해서(급진적이어서) 도리어 반대편이 차별을 당하게 되는 경우이다. (출처 : 사회복지 용어사전)■ 관련 도서양성평등 이야기 (권인숙지음, 유지연 그림, 2007.05.10, 청년사)이 책은 대학에서 여러 해 동안 여성학을 가르쳐온 여성학자 권인숙 선생님이 남녀 대학생들과 대화를 나누고, 청소년기 딸과 딸의 남녀 친구들이 생활 속에서 겪은 일을 토대로 딸에게 쓰는 편지글 형식으로 썼다. 남녀의 생물학적 차이가 곧 사회ㆍ문화적 차이가 아니며, 우리 사회에 전반에 걸친 모성이데올로기의 영향과 다이어트 열풍과 함께 부는 외모지상주의, 남녀의 성정체성, 그리고 남녀가 겪는 일터의 환경, 일과 가정을 조화시킬 사회적 지원에 대해 대중문화 매체 등 풍부한 사례를 들어 이야기하고 우리 사회 깊숙이 뿌리내린 남녀불평등 의식을 날카롭게 들여다본다. 각 주제와 관련된 읽기 자료를 제시해 생각을 열어보게 하고 토론 마당을 마련했다. (출처 : YES 24)■ 학생 글- 여성의 인권을 존중해주는 나라세계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하여 1975년 UN에서 매년 3월 8일을 기념일로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 우리나라에도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해 기념대회 등을 개최하며 여성들의 사회에서의 권리를 더 존중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지만, 사회가 여성을 보는 시선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다. 남자와 여자의 인권은 평등하며 여자라고 못할 것 없다.'라고 생각하던 나도 어느새 사회의 고정관념에 물들어 여자가 할 수 있는 것은 제한되어 있다고 자연스레 인정할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회사에 다니는 여성들이 아이를 낳고 유아휴직을 하는 것은 엄연한 제도이고 마땅하다. 충분히 유아휴직을 할 수 있는 자격이 되는데도 지금 우리 사회의 여성들은 주위의 눈치를 본다. 그리고 그런 여성들에게 눈치를 주는 것은 직장 상사나 여성이 유아휴직을 함으로써 손해를 보는 사람들이다. 축하는 못 해줄 망정 눈치를 주고 닦달하는 것은 옳지 못한 행동이다. 하지만 미국 같은 나라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오히려 같이 기뻐해 주며 축하해주고 여성들의 인권과 권리를 존중해준다.물론 여성이 할 수 있는 것이 한정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문제는 한정되어 있다고 해서 한정된 것들 이외에도 여성에게는 많은 것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우리나라 사람들 대다수에게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관념을 바꾸고 여성의 인권을 더욱 존중해 주는 나라가 되려면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나는 한국이 다른 나라보다 여성차별이 심한 이유는 옛날 조상들 때부터 지금까지 여성을 차별하는 행동과 생각이 내려왔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많은 세월이 흘렀다 하더라도 옛날에는 당연했던 사람들의 행동들이 지금 현재에는 옳지 못하다고 모두가 그렇게 생각을 한다는 것이 더 이상하다. 습관은 고치기 어렵다. 하지만 자신이 고치겠다고 마음을 단단히 먹으면 못해낼 것이 없다. 우리는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부터 깨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십, 수백, 수천 년이 지나도 우리의 고정관념은 지속할 것이다. 사회의 옳지 않은 생각이 반드시 바뀌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다시는 여성들이 사회에 나가서 차별을 겪지 않는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 나, 자신부터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 김사은(토기장이학교 중등 2학년)- 남자와 여자남자와 여자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쇼핑할 때, 준비할 때, 선물할 때 등, 많은 갈등이 생겨난다. 그래서 남자와 여자는 서로존중하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힘이 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갔으면 한다. 강준수(토기장이학교 중등 3학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3.11 23:02

['3·1운동'과'3·1혁명']"단순한 항일 독립운동 넘어 민주공화국 길 연 혁명으로"

■ 주제다가서기오는 2019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31운동의 역사적 위상을 새롭게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단순한 항일 독립운동을 넘어 전근대적 봉건체제와 단절하고 민주공화국의 길을 연 혁명으로 다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일제 말 독립운동 진영에 퍼져 해방 후에도 운동과 혁명, 두 표현이 함께 있었다. 운동으로 부르는 경우가 더 많았는데, 1948년 제헌의회 헌법이 초안 문구인 31혁명을 31운동으로 고치면서 공식 용어가 됐다.31운동을 31혁명으로 부르자는 주장에 귀를 기울여 보자.■ 신문 읽기(자료 기사)〈읽기 자료1〉▶31운동과 31혁명지난 1일 옛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마당에서 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1주년 기념식 및 기념강연이 열렸다.그런데 작년 3월 1일 같은 자리에서 출범한 이 단체는 국가보훈처로부터 사단법인 인가가 거부되었다. 놀랍게도 해방 70여년이 되도록 여성독립운동가를 기리는 사업회가 하나도 없었다. 따라서 보훈처가 할 일을 대신 해주어 고맙다고 큰 절이라도 받아야 할 판에 인가 거부라니 어이가 없다.눈보라가 간간이 날리는 야외에서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31혁명의 정명(正名)찾기와 여성독립운동이라는 제목의 강연을 했다. 31운동이 아니라 31혁명이 맞다는 내용이었다. 필자도 그간 31운동으로 표기한 적이 적지 않았기에 공감 가는 바가 있어 자료를 좀 찾아보았다.일제는 이 독립만세시위를 폭동, 소요 등으로 표현했지만 우리 독립운동가들은 어땠을까? 1922년 3월 1일 일제의 상해 총영사 후나쓰는 외무차관 우치다에게 불령선인(不逞鮮人)의 소위 독립기념일 축하회에 관한 건이라는 기밀보고를 하는데, 상해에 사는 한인들이 매년 3월 1일이면 독립만세기념일 행사를 한다는 보고였다. 그 해 3월 1일 오후 두 시에도 상해 영국 조계지인 서장로(西藏路) 영파회관(寧波會館)에서 독립기념축하회 겸 연설회가 열렸는데, 회관 양쪽에서 31혁명이라고 크게 쓴 선전물을 배부했다는 것이다. 상해의 3ㆍ1청년구락부에서 1922년 발간한 기관지의 제목도 31혁명이었다.미국 교민들도 마찬가지였다. 1944년 중경에서 재창간한 독립신문 대한민국 25년(1944) 6월 1일자는 미국 신한민보 소식을 전하고 있다. 미국 오클랜드의 유일한 한국 교포 주영환씨가 3월 1일 친구인 하터 시장을 비롯해 각계의 친구들을 초대했는데 주씨가 독립선언서를 읽고 31혁명을 보고했다며 혁명이라고 불렀다. 하터 시장이 루스벨트 대통령과 헐 국무장관에게 빨리 한국 임시정부 승인, 한국 독립운동 적극 원조를 요청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해방 후도 마찬가지였다. 1946년 3월 1일 보신각 앞에서 해방 후 처음으로 제27회 독립선언기념식이 열렸는데, 백범 김구는 이 날은 세계 혁명운동사상에 찬연히 빛나고 있는 우리의 가장 큰 국경일이라면서 인류의 혁명사상에 감히 가장 빛나는 부분이 되리라고 믿습니다라고 거듭 혁명이라고 표현했다. 자유신문 1947년 2월 4일자는 28주년을 맞이하는 3월 1일의 혁명운동기념일을 전국적으로 의의 있게 거행하기 위해서 삼일기념준비회가 결성되었다고 보도했다. 같은 달 22일자에는 이날을 성절(聖節) 3월 1일이라고 표현하면서 26일 시내 안국동 시천(侍天)교회 안에서 31혁명 기념 학생궐기대회를 개최한다고 전했다.원래 31혁명은 헌법 전문에도 들어갈 예정이었다. 유진오 박사의 헌법 초안 전문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들 한국인민은 31혁명의 위대한 발자취와 거룩한 희생을 추억하며 불굴의 독립정신을 계승하여( 자료 대한민국사 7권)라고 31혁명을 헌법 전문에 넣었다. 1948년 6월 27일 제18차 국회본회의에서 헌위(憲委)위원장 서상일 의원과 헌위 전문위원 유진오 박사는 국호를 대한이라고 정한 의의와 근거를 묻는 의원들을 향해 31혁명 이래 해외에서까지 이 대한을 써왔다라고 말했다. 1948년 6월 29일 제20차 국회본회의 토론에서도 제헌의원 서용길은 우리는 31혁명정신을 계승하는 것이라 했고, 진헌식 의원도 31혁명이라고 표현했다. 그러나 자유신문 1948년 7월 9일자에 따르면 헌법 전문은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기미 31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하야 세계에 선포한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로 수정되었다. 초안의 한국인민이 대한국민으로, 31혁명이 기미 31운동이라는 가치중립적 용어로 바뀌었다.31운동은 March First movement 등으로 번역되는데, 한국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 March First sports로 번역할 수도 있다. 한국사회의 많은 문제는 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인가를 거부한 ㉠보훈처의 사례에서 보듯 이름과 실상이 다른 경우가 많아 일어난다. ㉡논어 자로(子路)편에서 공자는 정치를 하게 되면 무엇을 가장 먼저 하겠느냐는 자로의 질문에 이름을 바로 잡겠다(正名)라고 답했다. 이름을 바로 잡아야 다른 모든 것이 바로 선다는 뜻이다. 〈출처 : 한국일보 2015년 3월 4일 29면〉〈읽기 자료2〉▶ 역사는 학문의 어머니공교육서도 뒷전 안타까움내년이 광복 70주년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합니다. 지금 한일 관계는 최악으로 치닫고 동북아 정세는 소용돌이 치고 있습니다. 특히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결정해 노골적으로 군사대국화의 야욕을 드러내는 아베 정권의 도발에 우리 국민은 경각심을 가져야 합니다.김 전 관장은 이를 위해 역사 용어부터 올바르게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요즘 일제시대를 ㉢ 일제□□기로 고쳐 쓰는데 일제의 침탈 야욕을 분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반드시 그렇게 해야 한다고 했다. 31 운동 역시 일제 식민통치를 거부하고 자주독립을 선언한 거족적인 저항이었기에 31 혁명이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해하기 어려운 을미사변 대신 명성황후 살해 사건으로 표현해야 적확(사실이 조금도 틀리거나 어긋남이 없이 정확하고 확실하다)하다고도 덧붙였다.〈출처 : 경향신문 2014년 8월 15일 23면〉〈읽기 자료 3〉31운동이 아니라 31혁명지난 3월1일 여성독립운동기념사업회라는 단체의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이 특강을 했는데 메시지에 울림이 담겼다. 그는 31운동을 31혁명으로 이름을 바꾸자고 주장했다. 제헌절, 광복절, 한글날, 개천절은 이름이 확연한 의미를 지니는 반면에 왜 31절만 의미가 거세되어 단순한 숫자로만 표현되느냐는 것이다. 1919년 3~4월에 일어난 세계사적으로 위대한 혁명적 거사를 3.1운동=스리 콤마 원 스포츠로, 외국인이나 어린이가 오인하도록 만들 이유가 없다는 문제제기였다.31혁명은 중국 신해혁명, 러시아혁명과 함께 유라시아의 3대 혁명으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겠다. 무엇보다 기본가치로 볼 때 체제를 완전히 변혁하고자 했다. 첫째로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일제 식민지배를 거부하였으며, 둘째로 4000년 동안 내려온 봉건왕조를 거부하고 민주공화주의를 주창했다. 셋째, 여성이 역사 현장에 주체적으로 등장하여 신분, 세대를 넘는 범민족적 항쟁을 벌였다. 당시 피검자 1만9525명 중 학생과 교원이 2355명인데, 이 가운데 여성이 218명이었다. 여성의 취학률이 남성의 100분의 1도 안 될 때이니 대단한 숫자다. 넷째, 전근대적 신민의식이 근대적 시민의식으로 바뀌게 되었다.31혁명은 역사의 여러 흐름이 유입되었다가, 새로운 흐름을 발생시키는 발원지이며, 거대한 호수로 비유되기도 한다. 실제로 동학혁명, 갑오개혁, 만민공동회, 의병전쟁, 의열투쟁 등의 흐름이 31혁명으로 만나, 무장투쟁, 임시정부, 조선의용대, 광복군 등의 독립전쟁 흐름을 만들어냈다. 대한민국의 정체가 된 민주공화주의는 31혁명에서 발아했다.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가들은 대부분 31혁명이라 불렀다고 한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도 1941년 조소앙이 기초한 건국강령 제정 이후 31혁명 또는 31대혁명을 공식 호칭으로 썼다. 중국 역사가와 언론매체들도 모두 혁명이라 하였다. 다만, 일본 언론이 소요, 폭동 따위로 불온시하다 간혹 운동이란 말을 썼다고 한다.혁명이 운동으로 공식 격하된 것은 엉뚱하게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에서다. 당시 헌법기초위원회는 전문위원 유진오가 마련한 초안을 중심으로 논의했다. 초안은 전문에서 31혁명의 위대한 독립정신을 계승하여라고 했고 30명의 헌법기초위원이 모두 동의했다. 그러나 한민당 계열 일부 의원들이 혁명이란 용어에 거부반응을 보이면서 5인 소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고, 친일파 출신 이종린 등이 주도한 소위가 31혁명을 기미 31운동으로 고친 수정안을 국회 본회의에 상정했다. 제헌국회 실세이던 이승만은 혁명이라면 우리나라를 전복하자는 것이므로 부당하다는 엉뚱한 발언을 하고, 일본 제국대학 출신 이주형 의원의 찬성 발언만을 허용한 다음 표결에 부쳤다. 친일세력과 역사의식이 박약한 이승만의 농간으로 31혁명이 박제화된 것이다.앞으로 31운동을 31혁명으로 공식 수정하면 좋겠다. 무엇보다 사물의 실체와 이름이 맞아떨어져야 한다. 공자는 정명사상을 주장했다. 아울러 식민지 근대화론, 뉴라이트 인사들의 건국절 지정론 따위의 그릇된 역사관을 바로잡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승만은 31혁명을 격하시킨 것을 봐도 건국의 아버지로 높임을 받을 자격이 없다.일본 아베 정권이 전쟁 책임을 부인하고, 그 행태를 미국이 은근히 두둔하고 있다(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 재균형이라는 이름 아래 중국 포위망을 짜려는 미국과 신형 대국관계를 추구하는 중국이 맞서 동아시아에 갈등의 파고가 높아지고 있다. 올바른 역사인식은 갈등 대신 균형과 평화의 질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출발점이다. 31혁명 이름 되찾기는 동아시아 차원의 의미도 크다.〈출처 : 한겨레신문 2015년 3월 11일 31면〉■ 생각 열기▶ 〈읽기 자료1〉을 읽고, ㉠에서 글쓴이는 보훈처가 그 이름에 걸맞지 않은 일을 하였다고 하였다. 보훈처의 어떤 일을 비판하고 있는지 써 봅시다.▶ 〈읽기 자료1〉의 ㉡을 생각하며 〈읽기 자료2〉의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읽기 자료1〉과 〈읽기 자료3〉를 읽고, 글쓴이는 왜 31운동이 아닌 31혁명이 더 나은 표현이라고 하였는지 그 이유를 써 봅시다.■ 주제 관련 신문기사 더 보기 31운동이 아닌 31혁명 / 한국일보 2014-2-27 20면 31운동인가 31혁명인가 / 전북일보 2014-03-03 18면 31혁명 궐기해 처음 정부 선포 / 내일신문 2015-10-21 20면 독립운동으로 세운 나라, 대한민국 / 경향신문 2015-03-02 31면■ 생각 키우기▶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 중에서 그 이름을 바로 잡고 싶은 것을 쓰세요.▶ 왜 바꾸고 싶은지 그 이유를 쓰세요.▶ 다른 사람들에게 바꾸고 싶은 용어와 그 이유를 근거를 들어 설명해 보세요.■ 관련도서 10대와 통하는 독립운동가 이야기(김삼웅, 철수와 영희)『10대와 통하는 독립운동가 이야기』는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19인의 다양한 삶과 투쟁의 이야기를 소개한 책이다.저자는 일제 강점기의 역사를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 용어를 사용해야 함을 강조한다. 일제시대가 아닌 일제 강점기로, 3.1운동이 아닌 3.1혁명으로, 을미사변이 아닌 명성황후 살해 사건, 그리고 한일조약, 을사조약이 아닌 을사늑약으로 정정했다. 또한, 독립운동가들이 사용한 호의 배경에 대해 이야기해준다. 이육사는 감옥에 갇혔을 당시의 수인번호(264)를, 김구는 서대문형무소에 수감 후 평생을 백성과 서민들을 위해 살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백범을 사용했다고 한다.이처럼 다양한 일화를 통해 독립운동가들이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떻게 독립운동을 나서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용어 풀이 보훈처 : 국가를 위하여 공헌하거나 희생한 국가 유공자와 그 유족들의 명예로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원호 대상자에 대한 원호와 군인 보험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국무총리에 딸린 중앙 행정 기관〈출처 : 다음 사전〉■ 학생들의 생각▶ 권기옥을 최초의 여성독립운동비행사라고 부르자우리는 권기옥을 최초의 여성비행사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권기옥을 반쪽만 아는 것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그녀의 프로필에 독립운동가라 쓰여 있습니다. 그러나 왜 독립운동가인가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최초의 여성비행사인 권기옥의 일대기는 영화와 같습니다.흔히 나를 조선 최초의 여류비행사라고 하는데 맞는 말이기도 하지만, 그 말은 반만 바르다고 생각해. 내가 비행기를 탄 것은 여류 최초가 되고 싶어서가 아니라 조국독립을 위한 것이었어. 나는 권기옥이야. 비행기를 날아올라 빼앗긴 내 조국 하늘 한가운데를 타고 내려와 조선총독부를 폭파하고자 했어. 임시정부에게 비행기 한 대만 사달라고 조르기도 했지. 빼앗긴 하늘을 되찾고자 나는 날마다 하늘로 날아올랐어. 내 시동생이 이상화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그 시를 알 거야. 내 남편은 이상정이야. 독립군 장군. (내일신문 2015.08.13. 20면)권기옥이 비행사가 된 것은 여성으로서 최초의 비행사를 꿈꾼 것이 아닌 조국독립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일제에 빼앗긴 조국 하늘 한가운데 비행기를 타고 내려와 조선총독부 폭파를 꿈꾼 것입니다. 권기옥 하면 여성최초비행사뿐 아니라 독립운동가를 함께 떠올렸으면 합니다.- 전주양지초등학교 6학년 김태윤▶ 야채 크래커를 채소 크래커로 바꾸어 주시길저는 어렸을 때 좋아했던 과자 야채크래커에 대하여 이야기해 보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야채가 일본어라는 것을 아시나요? (*중앙일보 2010.9.14. E19면 우리말 바루기- 〈일본은 야채, 한국은 채소〉 참고) 아, 야채라는 말이 너무 흔히 쓰여서 외래어라고 해야 할까요?저는 어렸을 때 오빠를 따라 스케이트장에 가면 꼭 매점을 갔습니다. 마치 출석 체크를 하듯 꼭 들렸죠. 매점에서는 꽤 오래 있었습니다. 사탕과 야채크래커를 두고 고민에 빠져 무엇을 먹을지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제가 어릴 적 좋아했던 과자의 이름이 일본의 잔재로 이루어져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일본으로부터 온 야채라는 단어는 제 생각 속 깊은 곳에 박혀 있었습니다. 시장에서 채소장사를 하시는 아저씨를 보고 야채 아저씨는 오늘도 나오셨네 라고 말했던 것처럼 말입니다.저는 저와 같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굴러들어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듯 우리나라 말보다 아픈 역사가 담긴 말이나 일본의 잔재가 묻어난 말을 사용하는 사람 말입니다.그래서 저는 롯데제과가 다가오는 31혁명 100주년을 맞아 야채크래커를 채소크래커, 또는 다른 이름으로 바꾸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사를 내고 여러 SNS를 통하여 홍보한다면 여러 사람의 흥미를 끌만한 것이고 우리나라의 기업으로서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채소크래커가 된다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변에 남아있는 아픈 역사의 흔적들과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한 여러 독립운동가분들을 잠시나마 한 번 더 생각할 것입니다. 꼭 이렇게 거창한 것이 아니더라도 괜찮습니다. 제가 지금보다 어릴 때 그랬던 것처럼 채소 크래커를 사 먹는 아이들은 채소라는 말을 더 친근하게 받아들일 것이고 곧 채소라는 말이 생각과 마음속에 자리 잡게 될 것입니다. 그것이 걱정될 따름입니다.여러분 주변에는 얼마나 많은 굴러들어온 돌이 박힌 돌 행세를 하고 있나요?- 전주양지중학교 1학년 곽정현

  • 초중등
  • 기고
  • 2016.03.04 23:02

[새 학년 새 학기] 설렘과 두려움 공존…학교생활 여유와 배려를

■ 주제 다가서기며칠 뒤면 새로운 학기가 시작된다. 새로운 선생님과 새 친구들을 만나는 일은 설레는 일임에 분명하지만, 그만큼 두려운 일이기도 하다. 특히 3월 한 달 동안은 앞으로 남은 새 학년의 청사진을 그리는 시기이므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에게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이번 주 주제는 그래서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가 궁금한 새학기 이모저모로 선정하였다. 하나의 현상을 함께 겪어내야만 하는 동시대 사회구성원들에게 가장 요구되는 능력은 인내심보다 오히려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는 여유와 배려일 것이다. 교육공동체의 세 꼭짓점 학생, 학부모 그리고 교사의 입장에서 새학기를 살펴보는 일은 서로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성찰일 것이다.■ 주제 관련 신문기사△ 경향신문 2015년 2월 24일 화요일 새학기 친구 사귀기 이렇게△ 파이낸셜뉴스 2016년 2월 10일 수요일 서울시 아동복지센터, 27일 자녀와 함께 떠나는 심리여행 운영△ 한겨레 2016년 2월 22일 월요일 3월 개학, 교탁 앞에 서는 선생님도 악몽 꿉니다■ 신문 읽기〈자료 1〉새학기 친구 사귀기 이렇게센 척 강한 척하지 말고 부드럽고 따뜻하게 친구대해야새 학기가 곧 시작된다. 학생들은 좋은 친구들과 만나 즐거운 학교생활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갖고 있다. 그러나 학생에 따라서는 교우관계와 낯선 환경의 스트레스가 커져 복통두통무기력증 등을 호소하는 새학기증후군을 겪기도 한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전국학부모지원센터가 지난해 말 자녀 연령별로 제작해 학부모온누리(parents.go.kr)에 올린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자료에도 유용한 정보가 많다.초등 고학년(이성숙 서울 송전초 교감)흔히 활발하고 리더십이 있는 학생이 친구들에게 인기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인기가 많은 친구들의 특징은 친구들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쉽게 화내지 않는 친구, 비밀을 남에게 얘기하지 않고 뒷담화하지 않는 친구,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하지 않는 친구다. 결국 리더십보다는 소통을 잘하는 아이의 인기가 많다는 뜻이다.형제가 적은 요즘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을 독차지하면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부모의 배려를 받고 자란 대로 친구들에게서도 똑같은 대접을 받으려고 한다. 남을 배려하는 게 서로 연습이 안 돼 싸움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반대로 요즘 아이들은 나와는 다른 아이들을 기피 대상으로 여긴다. 개성을 많이 추구해 나와 다른 것을 잘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뜻밖에도 나와 다른 점이 있는 아이들을 인정하지 못하고 공감이나 배려를 못해 지켜보는 교사로서 안타깝다. 특히 부모들이 공부 잘하는 애랑 놀아, 우리 집이랑 같은 수준의 친구들과 놀아 등의 말로 아이들의 편가르기를 조장한다는 점은 충격적이다. 이런 말을 듣고 자란 아이들은 편협하고 친구들과 소통을 제대로 못하며 이기적인 사람이 되기 쉬워 리더가 되기엔 한계가 있다.(이하생략)〈출처 : 경향신문 2015. 2. 24.〉〈자료 2〉서울시 아동복지센터,27일 자녀와 함께 떠나는 심리여행운영서울시 아동복지센터는 무료로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는 자녀와 함께 떠나는 심리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10일 밝혔다.무료심리검사에 참여하고 싶은 가족은 서울시 아동복지센터 홈페이지(child.seoul.go.kr)에서 오는 15일 오전 10시부터 선착순으로 예약접수하면 된다. 모집 대상은 4학년 이상의 학령기 자녀를 둔 서울시민 가족 30쌍이다. 프로그램은 오는 27일 토요일 오전 10시에 진행된다. 두 자녀 이상인 경우, 각 자녀에 대해서 신청하면 된다. 이순덕 아동복지센터 소장은 새 학기가 시작되면 스트레스를 받으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새학기 증후군에 시달리는 아이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며 부모가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게 양육하기 위해서는 자녀에 대해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파이낸셜뉴스 2016.2.10.〉〈자료 3〉3월 개학, 교탁 앞에 서는 선생님도 악몽 꿉니다새학기 학생들만 불안한 건 아냐/ 3월 새로운 학교생활 준비하며./ 교사들도 스트레스 받아교사 80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새롭게 만나는 아이들부터/ 바뀐 교육정책 업무 등 부담 커/ 선생님도 교육공동체 일원/ 배려?존중하는 태도 보여주길작년에 사고뭉치로 유명했던 그 녀석, 올해는 우리 반 피해 갔으면 좋겠다애들과 호흡이 잘 맞아야 할 텐데.올해는 공문이 얼마나 쏟아질까?서울 강서구의 한 중학교에 다니는 최아무개 영어교사는 요즘 불면증으로 고생이 많다. 자려고 누우면 새롭게 만날 아이들, 처리해야 할 새로운 업무들 등에 대한 부담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2007년 교사가 된 다음부터 매해 3월 새학기를 앞두고 통과의례처럼 겪어온 일이다.비단 최 교사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많은 교사들이 2월부터 4월까지 두통, 복통, 치통, 변비 등의 증상을 느끼는 탓에 종합병원 두 달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매해 3월 학생들이 새학기 스트레스를 받듯 새로운 사람과 일에 대한 부담을 느끼는 건 교사들도 마찬가지다. 지난 5일부터 15일까지 한겨레 〈함께하는 교육〉이 전국에 있는 교사 8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실제로 많은 교사들이 3월 새학기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걸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르면 새학기에 스트레스를 더 받느냐?는 질문에 48.7%(390명)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대답이 33.4% (267명)로 그 뒤를 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교사들은 고등학교 교사 37.9%(303명), 중학교 교사 35.4%(283명) 순으로 많았고, 교직경력 10년 이상 됐다는 교사가 56.2%(447명)나 됐다.새로운 사람을 만난다고 할 때 누구나 당연히 부담을 느끼지만 새학기를 코앞에 둔 교사들이 느끼는 부담은 다른 직종 종사자들의 그것과는 많이 다르다. 과거보다는 관리할 학생 수가 줄었다고 하지만 교사 한 사람이 한 해 동안 상대해야 하는 학생 수는 한 반에 적게는 20여명, 많으면 30여명에 이른다. 여기에 학교 관리자 및 동료 교사, 학부모까지 합치면 그 수는 훨씬 늘어난다. 또 교과서나 교육과정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그 부분까지 고려하면 3월에 교사들은 거의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한다고 봐야 한다. 교사들 사이에서 이 직업에서는 달인이 나오는 게 불가능하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는 이유다.〈중략〉 〈출처 : 한겨레 2016. 2. 22.〉■ 생각 열기△ 기본활동 1. 〈읽기자료 1〉을 읽고, 새학기증후군의 증상을 찾아 쓰시오.△ 기본활동 2. 〈읽기자료 1〉을 읽고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아이들의 특징을 찾아 쓰시오.△ 기본활동 3. 〈읽기자료 2〉를 읽고, 서울시 아동복지센터가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무료 심리검사를 실시하는 이유를 찾아 쓰시오.△ 기본활동 4. 〈읽기자료 3〉을 읽고 새학기를 앞둔 교사들이 부담을 느끼게 되는 원인을 모두 찾아 정리하시오.〈심화활동〉△ Early-Adapter(얼리 어답터)는 신조어로서 주로 최첨단 상품, 예를 들자면 최신 핸드폰, PDA 등을 재빨리 구입해보고 평가하는 집단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일찍이라는 의미의 Early와 변환시키다는 의미를 가진 Adapter'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다. 이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호기심이 많아 충분한 사전정보 없이도 도전하는 이들을 아울러 의미할 수도 있다.새로운 학년을 맞이하는 학생들에게 격려와 응원을 담은 메시지를 남긴다고 가정하고 Early-Adapter'라는 단어를 적절히 활용하여 200자 내외로 서술해보자.△ 자녀의 적응활동을 돕기 위해 〈읽기 자료 2〉와 같이 자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심리검사를 할 수도 있고, 2박 3일간 템플스테이(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 생활을 체험하고 불교의 수행 정신을 경험해보는 것)를 떠날 수도 있다. 이처럼 자녀의 새학기 적응활동을 돕기 위해 부모나 교사가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자.생각 더하기△ 교육은 한 사람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을 만큼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유년시절의 교육은 결정적 시기에 해당하므로 더욱 중요하다. 유럽의 몇몇 국가들은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시기에 한 명의 담임교사가 한 아이를 4~5년간 연이어 교육하는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매년 담임이 바뀌게 되면 적응이 어렵고 자칫 학습의욕 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우리나라와 같이 매년 담임이 바뀌는 교육제도와 독일 등 유럽 몇몇 국가들과 같이 한 담임 교사가 4-5년간 같은 아동을 담임하는 교육제도 중 어떠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가? 이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서술하시오.△ 새로움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고 자신의 삶을 성공으로 이끈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도전하기를 주저하지 않았고, 거듭된 실패에도 포기를 몰랐습니다. 애플 공동창업자겸전CEO인 스티브 잡스가 그러했고, '마리사 메이어 야후CEO가 그랬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도전과 용기의 인물은 누구인가?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생각 키우기△증후군: 의학과 심리학에서 말하는 증후군은 여러개의 증상이 하나로 연결되지만 그 까닭을 밝히지 못하거나 단일이 아닐때 병의 이름에 준하여 부르는 것이다. 신드롬이라고도한다.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정신 의학적인 중독현상으로 간주되며 치료를 해야 한다.① 피터팬증후군: 육체적으로 성숙했지만 여전히 어린아이로 남기 바라는 심리는 가리킨다. 1983년미국심리학자댄카일러 박사가 피터팬 신드롬이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처음에는 남자들의 정신상태를 설명하였지만 최근에는 남녀에 관계없이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자신감 부족, 무책임, 무기력증 같은 양상을 설명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한다.② 인터넷증후군: 인터넷을 하지 않고 있으면 불안감을 나타내는 증후군.③ 슈퍼우먼증후군: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다가 지친 여성이 보이는 증상. 너무 완벽해지려고 지나치게 신경을 쓴 나머지 지쳐버리는 현상으로, 두통이나 불안감 등을 호소한다. 노동부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업무상 재해에 슈퍼우먼증후군을 추가하고 있다.△새학기에 어울리는 속담과 격언① 시작이반이다무슨 일이든 시작하면 마무리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A good beginning is half the battle).② 천리길도한걸음부터무슨 일이나 그 시작이 중요하다는 의미의 속담(A long journey starts with the first step).③ 시도해보지 않고는 누구도 자신이 얼마만큼 해낼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푸블릴리우스시루스-④ 성공을 확신하는 것이 성공에의 첫 걸음이다. -로버트 슐러-⑤ 잔잔한 바다에서는 좋은 뱃사공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영국속담-⑥ 아무 방법도 없을 때, 오직 한 가지 방법은 용기를 갖는 일이다. -유대인격언-■ 학생글- 새학기에 내가 바라는 것새학기가 되면 친구들을 많이 사귈 것 같다.그리고 새 준비물로 공부를 1학년 때보다 더 잘 할 것 같다.시험이 틀려도 어떻게 하는 거라고 친절하게 알려주는 선생님과 쉬는 시간에도 운동장을 가게 해주는 선생님을 만나면 좋겠다. 받아쓰기가 틀려도 알려주면서 화내지 않는 엄마와 다쳤을 때 잘해주는 친구를 만났으면 좋겠다. 또 과격하지 않고 안 때리는 친구를 만나면 좋겠다. 1학년 때는 창작 동요를 외워서 검사 받는게 힘이 들었는데 2학년때는 안해서 좋습니다. 그리고 1학년 때는 친구들이 박하사항 내 별명을 불러서 기분이 나빴는데 새학년이 되니 다행입니다.

  • 교육
  • 기고
  • 2016.02.26 23:02

인간을 위한 동물 실험은 계속되어야 하는가

■ 주제 다가서기동물 실험이란 교육, 시험, 연구 및 생물학적 제제의 생산 등 과학적 목적을 위해 동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실험 또는 그 과학적 절차를 말한다. 동물 실험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의학이나 생물학 분야에서는 해부를 통해 동물의 생체를 관찰하거나 유전적 특징, 성장 과정, 행동 양식 등을 연구하기도 하고, 때론 의약품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채취한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동물실험은 새로운 제품이나 치료법의 효능과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비단 의약품뿐만 아니라 농약이나 화장품, 식품 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동물을 이용한 실험은 제약, 생명 과학, 해부학과 같은 순수 과학에서부터 응용과학의 분야까지 그 분야는 나날이 넓어지고 있다. 반면 그 필요성을 떠나 인간이 과연 동물들을 마음대로 이용하고 실험의 대상으로 삼을 권리가 있는지에 대한 논쟁도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동물 실험은 지속되어야 하는 것인지 생각해보자.■ 주제 관련 신문기사동물실험은 필요악인가. -한국경제 2008.03.08.화장품 동물실험 전면 금지 어려울 듯. -약업신문 2013.09.02.사람에게 도움 되는 ‘효자 원숭이’. -동아일보 2016.01.02.동물계의 희토류…원숭이는 신약개발 ‘귀하신 몸’. -매일경제 2016.01.30.침팬지 실험 중단한 美의 연구 혁신. -조선일보 2015.11.23.“손 세정제 안정성 실험 수만 마리 동물 희생돼” -세계일보 2015.11.03.■ 신문 읽기〈자료 1〉- 사람에 도움되는 ‘효자 원숭이’영화 ‘혹성탈출’의 주인공을 원숭이로 기억하는 사람들도 종종 있다. 엄연히 침팬지인데도 말이다. 그렇다면 침팬지는 원숭이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인간이 원숭이에서 진화했다’라는 잘못된 지식까지 가세하면 혼란은 더 커진다. 이해를 돕기 위해선 가장 큰 개념인 ‘영장류(靈長類)’라는 용어부터 짚고 넘어가야 한다.영장류는 영장목(靈長目)에 속하는 포유류를 뜻하는 말. 인간은 물론 원숭이, 침팬지, 고릴라 등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흔히 영장류는 엄지와 다른 손가락을 마주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동물들과 구별된다. 또 몸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뇌를 갖고 있다. 엄지발톱이 평평하고 보통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배는 것도 영장류의 특징으로 꼽힌다. 수컷의 고환이 흔들린다는 점도 영장류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다음으로 원숭이와 유인원을 구분해 보자. 둘의 결정적인 차이는 꼬리의 존재다. 꼬리가 있다면 원숭이, 꼬리가 없다면 유인원으로 분류한다. 사람은 꼬리가 없으니 유인원에 포함된다. 또 몸집이 크다는 점에서 ‘대형 유인원’으로 분류된다. 대형 유인원 사람을 포함해 고릴라, 오랑우탄, 침팬지로 4속(屬)뿐이다. 이 중에서도 침팬지는 사람과 함께 사람족(Hominini)에 속해 진화적으로나 유전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깝다. 사람과 침팬지의 유전자(DNA)는 98.8%가 일치한다. 1.2%의 차이는 사람과 침팬지가 600만 년 전 공통 조상에서 분리돼 나와 독립적으로 진화하며 벌어진 결과이다.영장류를 이용한 실험이 쥐나 개를 이용한 실험보다 정확하고 의미가 있는 까닭은 인간과 원숭이가 공유하고 있는 해부생리학적 특징이 많기 때문이다. 체내 대사에 관여하는 체내 운반체와 수용체만 하더라도 사람과 원숭이는 95%가 같지만 쥐는 80% 정도만을 공유한다. 허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이런 유사성 때문에 미국에서는 신약을 내놓을 때 원숭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장류 실험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동아일보 2016.01.02.〉〈자료 2〉- ‘실험실 침팬지’ 해방미국 보건원, 의학 연구에 이용 않는다미 국립보건원(NIH)이 침팬지를 더는 실험에 이용하지 않기로 했다. NIH에 남아 있던 50마리 침팬지는 모두 보호구역으로 돌아가게 됐다. 프랜시스 콜린스 미 국립보건원장은 지난 18일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인 침팬지를 의학연구에 사용할 더 이상의 명분이 없다”며 “앞으로 백신 등을 개발하기 위한 의약품 실험에 이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침팬지를 연구용 실험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논란은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진화론이 제기된 때부터 진화과정에서 침팬지를 어디에 둬야 하느냐의 문제가 나왔다. 실제로 침팬지는 다른 유인원보다 인간에 가깝다.한때 100만 마리에 이르던 침팬지는 최근 10만 마리 수준으로 줄었다. 무분별한 벌목과 밀림 개발, 포획의 결과이다. 같은 운명을 겪는 오랑우탄 역시 20년 내 멸종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라는 점을 떠나 이들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경우가 이유다.뉴질랜드의 과학자들은 일찌감치 침팬지와 다른 유인원의 권리를 주장하는 법률을 정부가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랜 격론 끝에 뉴질랜드 정부는 1999년 유인원의 동물실험을 금지한 법률을 통과시켰다. 네덜란드 정부도 2002년 연구용 침팬지 63마리를 사설 동물권리보호협회에 마지막으로 양도하면서 연구용 침팬지를 금지했다. 네덜란드는 2003년에는 연구용 영장류를 완전히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했다. 영국도 침팬지와 고릴라, 오랑우탄에 대한 실험을 금지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미국 법원은 인간과 비슷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방안도 심리중이다. 〈한국경제 2015.11.23.〉〈자료 3〉-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 화장품법 개정안 국회 보건복지위 통과앞으로 국내에서 동물실험을 실시한 화장품을 유통 및 판매가 금지될 전망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6일 전체회의를 열고 화장품 동물실험의 원칙적 금지를 골자로 문정림 의원이 대표 발의한 ‘화장품 일부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유럽연합(EU)이 지난 2013년 동물실험을 거친 원료로 제조된 화장품의 판매와 수입을 전면 금지하는 등 화장품에서의 동물실험 금지는 세계적 추세다. 이스라엘과 인도 등도 2000년대 이후 화장품 동물실험을 금지했고 중국도 지난해 자국 내 생산 화장품 및 화장품 원료에 대한 동물실험을 제한했다.동물실험에서 희생되는 동물을 최소화하고(Reduction), 실험조건을 동물복지 차원에서 개선하며(Refinement), 가능한 한 동물대체시험법(Replacement)을 활용하는 3R원칙을 반영하는 것이다.…국제 동물보호단체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SI)은 “이번 개정안이 화장품 동물실험 전면금지를 위한 중요한 첫 단계”라며 “OECD 인증 가이드라인 등 유효성이 입증된 동물대체시험법이 국내에 조속히 수용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HSI는 “이미 선진국에서는 구식의 동물실험을 대체하는 휴먼바이올로지 중심의 미래과학이 조명받고 있다”며 “향후 화장품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동물대체시험법 수용과 개발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데일리벳 2015.11.27.〉■ 관련 정보△설파닐아미드 사태(1937) 동물임상실험을 거치지 않고 사람들에게 바로 새로 개발한 항생제를 사용한 후 107명의 사람들이 부작용으로 사망. 몇 년 전부터 큰 이슈가 돼 현재까지 진행 중인 가습기 살균제 사고 또한 이후 동물 실험(쥐) 결과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하였음.△탈리도마이드부작용(1961)수면제인 탈리도마이드의 부작용은 모든 비극적인 부작용 사례 중 가장 유명함. 1956년 이후 이 약물 사용으로 기형아 출산이 속출하자 과학자들은 다양한 동물들을 대상으로 기형 발생을 재현하려했으나, 이런 부작용은 동물에서 확인되지 않았고 약물 사용은 허용되었음. 정상 분량의 수십, 수백 배를 토끼·침팬지 등에 투여하고서야 부작용을 뒤늦게 확인하였으나 1만명 이상의 신생아들이 장애를 가진 채 태어난 이후였음.■ 생각열기1. 〈자료 1〉을 통해 영장류의 특징을 정리해보시오.2. 다음 그림의 동물의 이름을 적고 원숭이와 다른 큰 특징을 〈자료 1〉을 통해 적으시오. (신문 지면 참조)〈위키피디아 홈페이지 캡쳐〉3. 〈자료 2〉를 읽고 미 국립보건원(NIH)이 인간과 가장 유사한 침팬지를 동물실험에서 제외하게 된 원인을 쓰시오.4. 〈자료 2〉를 읽고 이에 따른 대처 방안을 〈자료 3〉에서 찾아 보시오.5. 〈자료 3〉을 읽고 동물실험에 관한 윤리적 규정을 제공하는 3R원칙을 쓰시오.■ 생각 더하기1. 다음 그림이 제시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야기 해보자. (신문 지면 참조)2. 최근 동물실험에 대한 금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음 자료를 읽고 자신의 입장을 정리한 후 과학·기술적,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1000자 이내로 서술하시오.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등과 같은 고위험성 병원체를 연구할 수 있는 특수시설이 건립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충북 청주시 국가영장류센터에 ‘동물이용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ABL3)’을 18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국내에는 50여곳의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BL3)’이 있다. 이 중 일부 연구시설만이 ABL3이며,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실험이 가능한 ABL3가 건립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백신 등을 개발해 인체에 적용하려면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실험이 선행돼야 한다.〈경향신문 2015.06.18.〉

  • 교육일반
  • 기고
  • 2016.02.19 23:02

하늘 위 산업혁명 '드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 주제 다가서기최근 드론의 보급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사실 드론은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되었는데, 21세기 초에는 드론을 이용한 공습으로 적을 살상할 수 있게 되어 도덕성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그러나 공공상업적 영역에서 드론을 활용하면서 농업용, 물류수송, 재난 감시, 택배 등 다양한 분야로 도입되고 있으며, 개인의 취미생활의 한 영역으로까지 일반화되고 있다. 이외에도 새롭게 드론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하늘 위 산업혁명이라고도 한다. 구글의 선다 피차이 수석 부사장은 지난해 3월 무인기와 열기구를 활용해 하늘에 통신 기지국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대세가 된 드론, 거부할 수 없다면 리드하는 건 어떨까.■ 주제 관련 신문기사상업용 드론 점령한 중국, 애플 부럽지 않다. 뉴스토마토 2016.1.19.드론에 주어진 특명, 생명을 살려라. 서울신문 2016.1.26.드론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과 진실. ITWORLD 2015.8.28.전북도, 전주시 드론 시범공역 사업 관심. 전북일보 2015.9.30.교육 접목한 드론, 해외 반응 뜨거워요. 매일경제 2016.02.02.재난, 재해시 드론 띄운다KT재난 안전망 통신 서비스 미디어펜 2015.12.01■ 신문 읽기〈자료1〉- 민간영역 넘어온 드론, 활용법 무한 확장드론이 군수용 외에 먼저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곳은 공공분야다. 국경 순찰, 지형 및 시설물 공중 촬영, 산불산림해안선박환경 감시 범죄 색출추적, 방제방역, 기상 자료 수집, 재해 예방, 통신 중계, 재난 구조 등 공공 영역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드론 고유의 장점이 인정받고 있는 데다 기술 발전으로 더 많은 일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돼 드론의 인기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 상업용에 비해 공공의 목적을 위한 활용의 경우 법제도적인 제약이 적어 먼저 활성화되기 시작했다.대표적인 사례가 3월 초 강원도 정선에서 발생한 산불 현장에서 보여준 드론의 활약이다. 보통 산불은 큰 불을 잡아도 숨어있던 잔불이 다시 큰 불로 번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불을 완전히 진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날이 어두워지면 유인 헬기는 비행을 하기 어렵고, 진화요원도 잔불을 찾기 위해 산 전체를 점검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반면, 드론은 밤에도 큰 제약 없이 날아올라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당시 정선에서는 드론이 야간에 상공에서 잔불을 발견했고, 진화요원들이 출동해 잔불을 진화해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드론은 적조, 해파리 등 바다의 불청객으로 인한 피해를 크게 줄이는 데도 활용될 수 있다. 적조가 본격화되면 피해액이 수백 억 원에 달한다. 다만, 적조를 미리 탐지하면 선제적인 방제활동으로 피해규모를 60~7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한다.이 때문에 매년 적조가 활성화되는 시기에 매일 100여 척의 배가 20㎞ 반경에 대해 감시활동을 벌이는데, 배 한 척당 하루 기름 값이 수백 만 원에 달해 막대한 예산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이를 대신해 드론이 수백 미터 상공에서 수십 배의 광학 줌을 통해 적조 감시활동을 펼치면 막대한 예산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방제를 할 수 있다. 오는 6월 경 적조 예방에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시범사업이 실시될 예정이다.또 한 지방검찰청은 공장의 오염물질 배출 현장을 적발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공장이 오염물질을 배출해도 실제 단속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걸려 단속의 실효성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드론을 활용하면 신속한 현장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장의 오염물질 배출 억제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국외에서도 역시 공공 부문에서 드론 활용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인도 동부의 카지랑가 국립공원은 밀렵꾼을 근절하기 위해 드론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카지랑가 국립공원의 코뿔소 뿔이 ㎏당 최대 6만5000달러에 팔리는 등 밀렵꾼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 온 국립공원 측은 드론을 통해 국립공원의 광활한 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겠다는 방침이다.중국은 지난해 화학물질을 분사해 스모그를 제거하는 드론을 테스트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는 국영기업 중국항공공업집단공사(AVIC)와 협력해 테스트를 진행했다. 낙하산에 달린 드론이 도시 위를 날아다니며 화학물질을 뿌리고, 이 화학물질이 스모그 안의 입자들과 반응하고 오염물질을 얼려 지상으로 떨어뜨리는 원리다. 중국은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염물질 배출 감시에도 무인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아랍에미리트(UAE)도 지난해 정부 행정 서비스에 드론을 투입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UAE가 공개한 드론은 지문과 홍채 인식 시스템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UAE 정부는 드론을 통해 주로 여권과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을 배송한다는 생각이다.민간 영역의 상업용 드론은 아마존, 구글, DHL 등 글로벌 기업들이 큰 관심을 갖고 서비스화를 추진하고 있다. 아마존은 물류센터에서 최대 16㎞ 떨어진 지역까지 30분 내 배달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드론 프라임에어의 올해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미 캐나다, 호주, 인도 등에서 시범비행을 진행한 바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업용 드론 라이선스 발급이 쉬운 미국 외 지역에서 프라임에어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DHL은 독일에서 도서지역 배송을 위해 드론 파셀콥터(parcelcopter)를 활용했다. 파셀콥터는 동체 밑에 달린 소포함에 배송 물품을 보관하며, 자동비행기능으로 컴퓨터에 입력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한다. 구글은 지난해 호주에서 무인비행로봇을 활용한 배달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윙(Project Wing)의 시험비행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사전 목적지 입력 시 스스로 날아갈 수 있는데, 구글은 목적지 도달 시 배송물품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실험했으며 30차례 성공했다고 밝혔다. 중국 전자상거래 사이트 알리바바는 자회사 인터넷 쇼핑몰 타오바오의 배송 이벤트를 위해 2월 무인비행로봇을 활용했다. 실시 대상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대도시 거주 고객 중 특정 물건을 구입하는 고객 450명이었다. 〈머니투데이 2015년 5월 18일자〉〈자료2〉- 드론, 한국서는 규제 짓눌려 못 난다한국의 기술이 뒤지는 것은 아니다. 무인항공기가 애초에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됐던 만큼 분단 국가인 한국도 무인항공기 기술에 공을 들여왔다. 한국의 무인기 특허는 세계 5위, 군용 기술로는 세계 7위급이다. 하지만 보안을 이유로 군사용 기술이 민간에 보급되지 않는 것이 문제다. 또 센서통신장비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가 더디다. 운용 소프트웨어도 전량 해외에서 수입한다. 과도한 규제 장벽은 국산 드론의 성장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 당장 서울에서 드론 한 대를 띄우려면 국군기무사령부국토교통부(서울지방항공청)국방부에서 각각 허가를 받아야 한다. 취미용 드론도 함부로 날릴 수 없다.반면 중국은 규제가 거의 없다. 6일 선전시내 곳곳에서 드론을 날리고 있는 젊은이와 마주쳤다. DJI 비행전문팀의 엘라 장은 사전 허가 없이 어디서든 드론을 띄울 수 있다며 공항 반경 5㎞ 이내, 군사용이나 정부 시설 정도가 비행 제한구역이라고 했다. 아이디어가 실제 시제품으로 연결되기까지 기간도 6주에 불과하다. 실리콘밸리의 절반 수준이다. 한국이 주춤한 동안 중국 DJI는 드론 세계 1위를 넘어 드론 생태계 조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의료농업재난구조가상현실 등의 분야에서 업계 1위 기업의 제품을 자사의 드론에 얹겠다는 전략이다. 케빈 온(36) DJI 상무는 페이스북이나 구글애플처럼 DJI식 드론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국도 무인기 개발 10개년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오승환(드론프레스 대표) 경성대 사진학과 교수는 드론 산업은 단순 제조(1차)에서 열상카메라 등 관련 장비의 장착(2차), 교육서비스파이낸스 등 연관 서비스(3차)로 진화한다며 아직까지 한국은 1차 산업 육성책을 논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중앙일보 2016년 1월 12일자〉〈자료3〉- 드론 사생활 침해와 안전성이 가장 큰 우려취미용에서 산업용까지 드론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부작용도 크다. 국내에서 드론 산업 육성을 외치면서도 규제에 발목 잡힌 이유기도하다. 전문가는 어떤 드론이든 안전 문제가 가장 크다고 지적한다. 드론 제작에 도전했을 때 생각하지 못했던 위험성이 비행 단계에서 나타났다.러너250은 취미용으로 몸집이 큰 편에 속하지 않는다. 10㎝가 살짝 넘는 프로펠러가 무엇이 무서울까 의문도 가졌다. 그러나 실제 비행 시 모터 속도는 예상보다 빨랐다. 만약 드론이 사람에게 부딪친다면 십중팔구 사고가 날 수 있다. 신속한 상황 대처가 어려운 어린이는 더욱 위험할 수 있다. 배재휴 학생은 어린이가 주변에 있을 때는 절대 드론을 날려서는 안 된다며 눈 등에 상처를 입혀 실명할 가능성도 있다고 경고했다. 거대한 산업용 드론의 경우 프로펠러에 신체가 절단되기도 한다. 직접 드론을 날렸을 때 미숙한 운전 솜씨 탓에 주변 사람은 도망가기 바빴다.사생활 문제도 심각하다. 최근 드론 기술과 성능이 발달하면서 위험성은 커졌다. 높은 건물이라도 드론이라면 쉽게 접근 가능하다. 카메라로 몰래 촬영한다면 피할 길이 없다. 카메라 성능이 뛰어나 공중 CCTV란 별칭도 있다. 화질이 좋아지면서 초고화질로 영상을 담기 때문에 우려는 더욱 확산된다. 비행 금지 구역이나 제대로 된 신고 절차를 밟지 않았을 때도 문제다. 불법으로 드론을 날리는 사람을 촬영해 포상금을 받는 드론파라치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다. 〈전자신문 2015년 9월 21일자〉■ 생각열기1. 〈자료 1〉에 나타난 드론의 활용영역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활용 사례를 정리해보시오.2. 〈자료 2〉를 읽고 우리나라에서 드론 산업의 성장 속도가 더딘 원인을 찾아 나열하시오.3. 〈자료 3〉을 읽고 신조어 드론파라치의 뜻을 찾아보시오.4. 〈자료 3〉을 읽고 드론 활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나열하시오.■ 생각 키우기1. 우리나라에서도 드론 법규는 마련되어 있으나 보완 및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이 일고 있다. 아래의 드론 관련 법규를 읽고 모둠별로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찾아 수정 또는 추가해 보시오.2. 드론 활용에 따른 사생활 침해 문제와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600자 내외로 서술하여 보시오.△참고-항공 안전 강화를 위한 중국의 사례1.5kg 이상의 드론 비행을 위해서는 별도의 면허를 취득해야 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자동차 면허를 따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론 필기 시험과 모의 비행 테스트를 통과해야 한다. 이에 베이징, 상하이 등 일부 대도시에서는 드론 조종사 양성 학교가 등장했다.△창의력 쑥쑥!!네덜란드 경찰이 독수리와 매 같은 맹금을 훈련시켜 항공기 운항 등에 위협이 되는 불법 드론을 제거하는 임무에 투입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라고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외신이 보도했다. 맹금이 비행하는 드론을 공격하는 것은 맹금이 가진 기본 속성을 활용한 것으로, 맹금은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드론을 공격하면서도 눈이 좋아 상처를 입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각 더하기드론 활용 가능한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모둠별로 새로운 드론 활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브레인라이팅 기법을 활용하여 만들어보자.■ 관련용어△ 드론(drone)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음〈시사상식사전, 박문각〉■ 학생글- 좋은 일에 사용하느냐 나쁜 일에 사용하느냐는 우리들의 선택인터넷 쇼핑몰에서 검색창에 드론을 치면 여러 가지 드론이 나온다. 어린이 장난감으로 판매되는 드론도 많이 있다. 유튜브 사이트에서도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드론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도로사정이 좋지 않은 아프리카에서는 드론을 이용해 의약품 등을 보내려고 한다는 신문 기사를 읽었다. 이처럼 드론을 활용하면 아픈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드론은 사람을 죽이는 무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미국의 18세 소년이 유튜브에 총 쏘는 드론 영상을 올린 적이 있다. 만약 나쁜 마음을 먹는다면 누군가 드론을 이용해 살인을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어 무섭기도 했다. 하지만 드론 자체가 잘못인 것은 아니다. 사람이 어떤 마음을 먹고 드론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한다. 드론은 사람이 만든 기계이기 때문이다. 사람을 살릴 수도 있고 죽일 수도 있는 두 얼굴의 드론. 좋은 일에 사용하느냐 나쁜 일에 사용하느냐는 우리의 선택이고, 올바른 선택이 중요한 이유이다. 최선화(인계초 6)

  • 교육일반
  • 기고
  • 2016.02.12 23:02

흙수저가 금수저가 되려면

■ 주제 다가서기병자호란 때 김경징은 영의정 김류를 아버지로 둔 덕에 두 왕자와 세자빈과 원손을 보호하는 강화수비의 책임자가 됐건만 몰려드는 청군 앞에서 도망가 버리고, 집안에 아무도 내세울 사람 없던 충청수사 강진흔 만이 분전했다. 전쟁이 마무리된 뒤 패전책임을 묻는 자리에서 임금은 김경징을 살리려 했다. 그때 강화 앞바다에서 싸운 사람은 우리 장군밖에 없습니다고 병사들과 군관들이 울부짖었어도 강진흔에게는 참수형이 떨어졌다.(시사인, 435호 2016-01-16 PP.50-51)이게 어찌 조선시대만의 일이었을까? 고위직 공무원은 관사 욕실에서 목욕하다가 죽어도 과로로 순직이 되는데, 지뢰를 밟아 발목을 잃은 부사관은 국가에서 치료를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비로 치료를 해야 하고 지휘관들은 그런 사실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수저론으로 살펴본다.■ 생각키우기1. 배경지식 익히기가. 금수저 흙수저청년층을 중심으로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노력보다 부모의 배경에 따라 장래가 결정된다는, 젊은이들의 현실 자조적인 생각에서 나온 표현이다. 금수저는 돈 많고 능력 있는 부모를 둔 사람을 가리키는 반면, 흙수저는 돈도 배경도 변변찮아 기댈 데가 없는 사람을 지칭한다. 이 말은 은수저를 물고 태어나다라고 하는 영어 관용 표현으로부터 나왔다. 은은 값진 귀금속이면서 독극물에 닿으면 검게 변하는 특성이 있어 예로부터 고급 식기로 사용돼왔다. 이에 동서양을 막론하고 은수저는 부의 상징으로 여겨졌기에, 날 때부터 은수저를 물고 있었다는 것은 곧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났다는 의미가 되었다. 은보다 금이 더 가치가 높다는 데서 곧 금수저라는 말로 대체되었고 금수저에 대비하여 부모로부터 물려받을 것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흙수저라는 말이 추가로 만들어진 것이다.〈출처:2015년 10월 28일 한국일보 25면〉나. 부의 대물림과 고착화취업준비생들의 온라인 카페에는 헬조선(지옥과 조선의 합성어)에는 4개 계급이 있다.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라는 자조가 넘쳐난다.부의 대물림과 불평등의 고착화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올 상반기 청년 실업률(10.2%)이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내년 정년 연장 시행을 앞두고 고용 절벽에 대한 우려로 취업 준비생들의 불안과 절망감이 어느 해보다 컸다. 여기에 잇따라 불거진 고위층 자제들의 특혜 취업 논란은 우리 사회의 불평등과 부조리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능력과 노력보다는 물려받은 재산이나 사회적 지위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들도 속속 등장했다. 김낙년 동국대 교수는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 1970~2013논문에서 부의 축적에서 부모로부터 받은 상속 증여가 기여한 비중은 1980년대 27%에서 2000년대 42%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고령화가 진행되고 성장률이 떨어질수록 노력으로 부를 축적할 기회는 줄고 상속받는 부가 더 중요해진다는 우울한 진단을 내놓기도 했다.〈출처: 2015년 12월 21일 경향신문 18면〉2. 생각키우기1. 수저는 밥상의 음식을 우리 입에 넣어주는 역할만 하는 것이니 소재가 금, 은, 동 이냐와는 전혀 무관하다는 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세요.2. 다음 내용을 참조하여 오늘 신문에 등장하는 인물 중에서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흙수저에 해당하는 사람을 찾아보세요수저계급론에 의하면 금수저는 자산 20억원 또는 가구 연수입 2억원 이상, 은수저는 자산 10억원 또는 연수입 8000만원 이상, 동수저는 자산 5억원 또는 연수입 5500만원 이상을 말한다. 최하위 계층인 자산 5000만원 미만 또는 가구 연 수입 2000만원 미만은 흙수저로 불린다. 〈출처: 2015년 12월 1일 영남일보 38면)예)노무현과 이명박은 흙수저이기는 하나 개룡남이다. 박근혜는 정치적인 금수저를, 또 새누리당의 김무성과 삼성의 이재용과 한진의 조현아는 경제적 금수저를 물고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출처: 2015년 11월 4일 한국일보 25면〉3. 지방 과학고를 졸업한 서울대 재학생이 건물에서 투신해 숨졌어요. 만약 이 학생이 여러분에게 이런 글을 보내며, 자살을 예고했다면 무슨 말을 해주고 싶은가요?정신적 귀족이 되고 싶었지만 생존을 결정하는 것은 금전두엽이 아닌 금수저4. 우리 주변에서 소위 금수저와 흙수저로 나눠볼 수 있는 것들을 찾아 보세요.예)개인의 인맥이나 환경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알바의 질이 달라 알바에도 금수저와 흙수저가 따로 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출처: 2015년 11월 4일 헤럴드경제 10면〉5. 흙수저라는 용어에는 젊은이들의 박탈감과 자조, 좌절, 반감, 분노, 저항이 농축돼 있어요. 그러나 주변을 살펴보면 흙수저를 금수저로 바꾼 인물을 찾아볼 수 있지요. 다음의 사례를 참고하여 그런 인물을 역사에서, 그리고 현실에서 찾아보고 어떻게 바꿨는지도 설명해보세요.예 1)이순신 장군은 빈한한 집안에서 어렵게 자라 서른 둘에 겨우 무과에 급제했다. 무관이 된 뒤에도 오랜 세월 변방의 한직을 전전했고 좌천 파직 백의종군을 거쳤다.예 2)함영주 통합KEB하나은행장 ? 상고출신으로 내내 비주류의 길을 걸었지만 살아 돌아갈 기약 없이 죽을 각오로 싸워 오늘에 이르렀다. 〈출처: 2015년 12월 31일 대전일보 23면〉6. 현대 경제 연구원이 최근 800여명의 구직청년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결과 81%가 열심히 노력해도 계층 이동이 어렵다는 통설이 맞는다고 응답했어요. 본인의 노력에 따라 수직상승이 가능했던 입신의 사다리 사회를 부인한 거죠.〈출처: 2015년 9월 18일 내일신문 23면〉그렇다면 개천용시대의 입신(立身)사다리가 철거된 원인은 무엇일까요?7. 아버지 뭐하시노? 이 말은 영화 친구에서 선생님이 학생에게 했던 말입니다. 학생이 잘 못을 저지르는 것은 아버지가 잘 못 가르쳤기 때문이라는 의미가 컸죠. 살아가면서 아버지의 직업에 대해 질문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어떤 기분이 들었는지 그리고 그런 기분이 든 이유는 무엇인지 서로 얘기 나눠 보세요.8. 다음 말들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간단하게 쓰세요.△ 일부 상속 졸부나 부동산 불로 소득자들은 3루에서 태어났으면서도 3루타를 친줄 알고 살아간다.△흙수저 생존법: 유통기한이 임박한 할인상품을 사라, 겨울엔 내복을 입고 옷을 껴입어라, 청소기보다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이용하자 등.△뜨거운 불속에서 버티다 보면 960도에서 은이 녹고, 1063도에서 금도 녹지만, 1200도를 버텨낸 흙수저는 마침내 아름다운 도자기가 된다. 〈출처: 2015년 11월 7일 중앙일보 20면〉3. 읽고 생각하기△다음 기사를 참고하여 개천에서 용나기 힘들다라는 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보세요.최근 발표된 한국의 세대 간 사회계층 이동성에 관한 연구논문에 따르면 2004년 당시 중학교 3학년이던 2000명을 10년간 추적한 결과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부모를 둔 자녀의 약 90%가 일반고 특목고에 진학했다. 반면 소득 1~2분위에선 이 수치가 50~60%대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이 같은 경향은 취업시장에도 두드러져 부모의 교육수준이 전문대를 포함한 대졸 이상이면 월 임금이 179만원인데 비해 보호자 학력이 고졸 또는 고졸 미만인 경우 145~148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부모의 학력에 따라 자녀의 임금이 30만원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부모의 능력과 연봉 수준이 자녀의 계층 이동을 결정하는 셈이다.〈출처: 2015년 4월 28일 헤럴드경제 12면〉4. 나의 주장 말하기△다음 내용을 참조하여 흙수저와 금수저의 차별이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까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펼치세요.△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질 때 반듯한 대한민국은 가능하다 이제 복지를 넘어 공정성을 외쳐야 할 시점이다. -최영진중앙대정치국제학과교수△ 부의 불평등은 불평등으로 이익을 보는 사람들에게 권력을 몰아주었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로이스의 저서 가난이조종되고있다에서△ 부모의 경제력이 아닌 본인의 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배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국청년센터관계자△ 정부가 재분배 정책을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펴야하며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여 신분상승 사다리를 복원해야한다. -김진동내일신문논설고문△ 청년들이 최소한의 삶을 유지하고 앞으로 나아갈수 있는 안전망을 갖추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설동운 전북대사회학과교수■ 토론하기△ 다음 내용을 참고하여 교육 정보 주거격차 해소의 길을 주제로 토론하세요.서울 광진구의 아름다운 학교-소외 없는 교육을 꿈꾼다서울시립 고척도서관 - 지역도서관의 작은 실험서울시의 공공임대주택건설 - 다함께 사는 소셜믹스〈출처: 2016년 1월 1일 국민일보 3면〉■ 논술△ 흙수저와 금수저로 사회가 양극화 된 원인을 분석하고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개인적 차원과 국가 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논술하세요.(600자)■ 관련상식△ 흙수저와 관련한 신조어 모음①문송: 문과라서 죄송합니다. 의 줄임말로 인구론(인문계 90%가 논다)처럼 취업이 어려운 인문계 현실 반영②지여인: 취업이 어려운 3대 요소(지방대, 여자, 인문대 학생)를 합친 말③호모인턴스: 정규직이 되지 못하고 인턴 생활만 전전하는 젊은 세대④부장인턴: 인턴 생활을 오래 하다보니 기업 부장만큼 풍부한 경험을 쌓은 인턴⑤화석선배: 취업이 안돼 졸업을 미루고 도서관에 파묻혀 사는 고학번 선배⑥서류가즘: 서류합격만으로 오르가즘(기쁨)을 느낀다는 뜻⑦노오력: '요즘 젊은이들은 노력이 부족하다'는 기성세대들의 평가를 비꼬는 표현⑧빨대족: 경제적 독립없이 부모의 노후자금까지 빨아먹고 사는 젊은이〈출처: 2015년 12월 29일 동아일보 A18면〉■ 학생글-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기려면금수저, 흙수저 라는 말을 들으면 슈바이처 이야기가 생각난다. 어렸을 때 친구랑 싸워서 이겼는데, 그 친구가 슈바이처에게 나도 너처럼 고기를 먹었으면 이겼을 것이라고 말해, 슈바이처가 충격을 받고 그때부터 가난한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지금 회자되는 수저 계급론으로 비춰 보면 슈바이처는 금수저이고 그 친구는 흙수저인가 보다.흙수저 금수저 헬조선 이런 말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우선 국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흙수저의 죽어라 노오력하는 것만으로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사회가 됐다고 한다면 국가가 부의 편중에 의한 상대적 빈곤감이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슈바이처같은 아이들에게 금수저를 물려준 부모가 있듯이 흙밭에 뒹굴 수밖에 없는 아이들에게는 부모의 금수저를 대신할 국가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공정한 사회, 능력대로 인정받는 사회, 일한만큼 정당한 대가를 받는 사회가 되어야한다. 부유한 아이들이 벤츠를 타고 경주에 임할 때, 흙수저 아이들이 모래 주머니를 차고 경주에 임하는 일이 없는 사회가 되도록 소득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 가난한 이들도 공평하고 공정한 기회를 통해 자신들이 가진 잠재력을 발휘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한다.둘째로 금수저들이 의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노블리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금수저들이 많아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이기 때문에 금수저를 물려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겠지만 흙수저들이 있어야 금수저의 부가 가능하다는 것을 생각하고, 가진 것을 나눌 수 있는 금수저의 도덕적 자세와 실천이 있어야 한다.셋째로 흙수저들이 노오력으로 살아내기 힘들다고 하지만 그래도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실력을 갖추기 위해, 경제력을 쌓기 위한 노력을 당연히 멈추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흙수저가 잘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도록 서로가 힘을 합쳐, 불공평한 사회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고 비하하지 말아야 한다. 흙수저 스스로의 힘으로 얻은 것들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와 만족감은 금수저는 맛볼 수 없는 행복일지도 모른다.부모님께서 흙수저라는 말을 아실까봐 두렵다는 고대생 형의 말처럼 우리 부모님은 우리에게 건강한 흙을 주셔서 그 좋은 흙에서 깊이 뿌리 내려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는 나무가 될 수 있게 해주셨다. 부모님들의 기대대로 크고 넓은 그늘을 드릴 수 있는 나무로 자라야 한다는 각오로 오늘을 살아내는 자세야 말로 흙수저가 금수저를 이겨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최윤형(전북대 사대부고 1년)

  • 교육일반
  • 기고
  • 2016.01.29 23:02

[파리협약] 생존을 위한 인류의 선택

■ 주제 다가서기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이상기후현상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요즘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015년 11월 30일부터 12월 12일까지 전 세계 지도자들과 환경 운동가 등 3만여 명이 프랑스 파리에 모였다. 세계 정상들이 프랑스 연쇄테러로 인한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기후변화총회를 강행한 이유는 기후변화가 인류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COP21(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는 2주 간에 걸친 협상 끝에 신(新)기후체제 합의문인 ‘파리협약(Paris Agreement)’을 195개국의 만장일치로 채택했고 각국의 성실한 이행과 공조를 요구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생존을 위한 우리의 문제이며 인류는 아름답고 건강한 지구를 후손에게 물려줘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이상기후의 주범인 지구온난화의 심각성과 인류 공존을 위한 파리협약의 주요 내용을 알아보고, 신(新)기후체제를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우리나라의 적극적인 대처 방안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 신문 읽기〈자료 1〉세밑 지구촌 ‘미지의 극단기후’로 몸살전례 없는 기상이변과 재해로 세밑 지구촌에 살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최소 43명의 사망자를 낸 토네이도가 물러난 뒤 곧장 맹추위가 몰아닥쳤고, 영국과 남미에서는 폭우가 쏟아져 수많은 주민들이 대피했다. 황사로 시름한 중국은 북부 지역에 60여년만의 한파가 덮쳤지만 연료 부족으로 떨고 있다. 전문가들은 온난화로 인해 인류가 이전에 경험해 본 적 없었던 ‘미지의 극단적 날씨’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중략)전문가들은 이러한 이상 기후의 주범으로 ‘슈퍼 엘니뇨’와 ‘라니냐’를 꼽고 있다. 엘니뇨는 적도 부근 무역풍이 약해지면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해 이상 기후를 유발하는 현상이고, 이와 반대로 라니냐는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져 차가운 해수가 상승함으로써 동태평양에서 저수온이 심해지는 현상이다. 〈출처 : 헤럴드경제 2015.12.29.〉〈자료 2〉겨울 농작물·축제 비상…대책이 없다 따뜻한 겨울 날씨에 농작물 피해와 겨울축제 취소가 잇따르며 지역경제 피해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이 같은 이상기후 현상이 더 심화될 우려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겨울철 대표 농산물인 곶감은 기온상승으로 상품에 곰팡이가 생기는 등 전국적인 피해액이 430억 원을 훌쩍 넘어섰다. 매년 이맘 때 잘 팔리던 방한용품 역시 예년보다 30% 감소하는 등 경제 전반에 걸쳐 이상기온 영향이 가시화되는 모양새다.지역축제를 기획한 자치단체들은 행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주저앉을 위기에 처했다. 예상치 못한 기후변화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도 수익창출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따뜻한 겨울이 가져온 ‘새로운 불황’으로 역설적으로 내수는 얼어붙게 생겼다. (후략)·〈출처 : 아주경제 2016.01.05.〉〈자료 3〉피지·키리바시·투발루 등 남태평양 섬나라들 “우리 국민들 좀 살려주세요”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바닷물에 잠길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 연안의 섬나라들이 급기야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 책임이 있는 선진국들에 절박한 호소를 하고 나섰다. 1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피지, 키리바시, 투발루, 토켈라우 등 섬나라 정상들은 이날 키리바시에서 모여 합동성명을 내고 선진국들의 경제적 지원과 해수면 상승으로 터전을 잃은 자국민들이 이민해서 일자리를 구할 수 있게 지원해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우리의 중대한 존립 위기인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싸늘한 반응에 매우 유감”이라며 “(지구온난화에 책임 있는) 선진국들이 우리 국민들이 품위 있게 이주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이 이렇게 나선 것은 해수면 상승으로 태풍과 홍수가 겹치면서 삶의 터전을 잃는 주민들이 많은 데도 이와 관련된 논의 자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2009년 12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돕기 위해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114조4000억원)가 지원되는 녹색기후기금(GCF)을 마련키로 했지만 세부사항에 관한 논의는 오는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총회에서 이뤄질 전망이다. (중략)1951년 제정된 ‘유엔 난민지위에 관한 협약’에서는 정치적·종교적 박해를 받은 이들만 난민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은 ‘기후난민’들의 존재 역시 무시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유엔 정부 간 기후변화협의회(IPCC)가 2013년 내놓은 보고서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남태평양 섬나라나 저지대 국가들에 심각한 홍수와 침식 피해를 초래할 것이며, 2050년이면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는 기후난민들이 전 세계적으로 2억5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출처 : 국민일보 2015.10.15.〉■ 생각 열기(1) 〈자료 1〉을 읽고, 전 세계에 이상기후를 일으키는 주범 두 가지를 찾아 구분해봅시다.(2) 〈자료 2〉를 읽고, 올해 우리나라의 따뜻한 겨울 날씨로 인해 겪는 어려움을 찾아봅시다.(3) 〈자료 3〉을 읽고, 남태평양연안의 섬나라들이 선진국에 절박한 호소를 하고 나선 이유는 무엇인가요? (4)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 세계의 이상기후현상과 ‘기후난민’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봅시다.■ 생각 키우기△아래 두 기사를 읽고 질문에 답해봅시다.“온도상승 1.5℃ 이내로”…파리 기후변화 협정 출범지구 온도 상승 폭을 1.5도 이내로 줄이기 위해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국제연합(UN) 기후변화협약 195개국은 논의를 시작한 지 18년 만인 12월 12일 ‘2020년 이후의 신 기후체제 수립을 위한 최종 합의문’(파리 기후변화 협정)을 최종 타결했다. 협정은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도 이내의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협정 참가국은 자발적 감축목표(INDC)를 제시하고, 5년마다 목표를 더 높여 제출해야 하며, 국제사회는 ‘종합적 이행 점검’ 시스템을 도입키로 합의했다. 또 선진국은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매년 1000억 달러(약 118조 원)를 내야 한다. 파리 협약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산업 전반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적 변화를 요구한다.〈출처 : 디지털타임즈 2015.12.30.〉파리협약 성패는 각국 정부와 기업의 실천 의지역사적인 ‘파리 협정’이 타결되면서 온실가스 억제를 위한 새로운 국제 협력 시대가 개막됐다. 하지만 그 실천을 강제할 수단이 없어 각국 정부와 기업들의 대응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영국 사회단체 ‘글로벌 저스티스 나우’의 닉 디어든 대표는 13일 BBC와 인터뷰에서 이번 파리 협정에 대해 “미래세대가 안전하게 살 기후를 보장할 구속력이 하나도 없다”고 비판했다. BBC는 개발도상국의 탄소감축 시설을 지원할 재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높일 수 있는 강력한 점검 시스템 등의 부재를 이번 협정의 문제점으로 꼽았다. 파리 협정은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출과 정기적인 점검을 의무화했지만, 당사국이 정한 감축 목표 자체는 구속력이 없다. 또 선진국들이 2020년부터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처를 돕는 데 매년 최소 1000억 달러(약 118조원)를 지원키로 했지만, 구체적인 논의는 추후 과제로 남겨졌다. 해수면 상승 등으로 수몰 위기에 처한 섬나라들에 대한 지원 역시 의무로 명기되지 않았다. 뉴욕타임즈(NYT)는 회의가 끝난 후 세계의 많은 지도자들이 “정작 중요한 것은 합의 자체보다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이라고 경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구엘 아리아스 카넷 유럽연합(EU) 에너지 담당 집행위원은 “오늘 우리는 자축하고 있지만 당장 내일부터라도 행동에 나서야만 한다”고 말했다. 외신들은 특히 미국 공화당의 반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주요 대기업들의 반발 등을 핵심 변수로 꼽았다. (후략)〈출처 : 한국일보 2015.12.14.〉(1)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 195개국은 예정되었던 종료시한을 하루 넘긴 12일에 ‘파리협약’을 최종 타결하였습니다.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국제적 합의를 이룬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봅시다.(2) ‘파리협약’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봅시다. (3) ‘파리협약’의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야기해봅시다.(4) 국제적 구속력이 약한 ‘파리협약’의 성공을 위해서는 전 세계의 공조가 필요합니다.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토의해봅시다.■ 생각 나누기△아래 글을 읽고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어 봅시다. ‘신기후체제’ 출범, 우리에겐 위기이자 기회다(전략)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195개 국가가 참여한 신기후체제는 에너지정책 패러다임의 일대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산업화 과정에서 석유와 석탄 등의 화석연료 사용을 늘리면서 세계 7위의 이산화탄소 배출국이 됐다. 이제는 저탄소 청정에너지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산업정책으로 전환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신기후체제는 우리나라에게는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앞으로의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대책을 만들어 실천해야 할 부담을 안게 됐지만, 한편으로 글로벌 신기후체제를 우리 산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활용할 기회도 열리게 됐다. 이제 우리의 당면 과제는 화석연료 감소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다. (후략)〈출처 : 대전일보 2015.12.14.〉△위 기사에서 보면 신기후체제가 우리나라에게는 ‘위기’이면서 동시에 ‘기회’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한 후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는 방안들을 친구들과 함께 토의해봅시다.△이번 ‘COP21’를 앞두고 한국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BAU) 37%를 2030년까지 감축하겠다는 의욕적인 목표를 국제사회에 제시하였습니다. 지구온난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토의해봅시다.■ 관련 용어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地球溫暖化)=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참조 :두산백과〉 △온실가스(Greenhouse Gases, 溫室─) =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가스 형태 물질.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6대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아산화질소(N₂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이다. 〈참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상기후(abnormal climate, 異常氣候) =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홍수, 가뭄, 폭설, 한파 등이 나타나는 특이한 기후현상. · 〈참조 : 해양과학용어사전〉 △COP21(Conference of the Parties) =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로 2015년 11월 30일부터 12월 12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렸다. 당사국총회는 기후변화협약 관련 최종 의사결정회의로 일 년에 한번 모임을 갖는다. '21'은 당사국회의 개최가 된 순서로 'COP21'은 21번째 열리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뜻한다. 〈참조 : 한경 경제용어사전〉 ■ 주제 관련 영화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 개요 : 다큐멘터리 / 미국 / 100분 / 2006년 감독 : 데이비스 구겐하임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앨 고어'가 준비한 특별한 프로젝트! 지금부터라도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하고 행동한다면 우리의 미래는 달라질 것이라고 앨 고어는 이야기한다. 전 세계를 돌며 1000회 이상 진행된 '앨 고어'의 환경위기 극복 프로젝트! 지구온난화에 대한 가장 정확하고 위협적인 진실들을 드디어 만난다!·〈출처 : 네이버영화〉 △투모로우 The Day After Tomorrow 개요 : 드라마 / 미국 / 123분 / 2004년 지구 온난화를 할리우드 블록버스터로 풀어낸 작품. 지구 온난화로 인해 빙하가 녹고, 이것이 해류의 흐름을 바꿔 지구의 북반구는 빙하기에 접어든다. 혹한 속에서 기상학자 잭 홀 박사는 아들을 찾아 얼음으로 뒤덮인 뉴욕으로 떠난다. 인류를 구조할 방법을 제시한 채 아들을 구하기 위해 역진하는 잭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또, 인류는 지구의 대재앙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출처 : 네이버영화〉

  • 교육
  • 기고
  • 2016.01.22 23:02

[점(占) 권하는 사회] 미래를 예측하려는 사람들…운명 주체적으로 개척하려면?

■ 주제 다가서기2016 丙申年 붉은 원숭이의 해가 밝았다. 정든 한 해를 떠나보내는 아쉬움도 잠시, 사람들은 새해가 되면 설렘과 희망으로 부풀어오른다. 지난 해 못 이루었던 소원을 올해에는 이룰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도 조심스럽게 품어본다. 새해의 첫 태양과 마주하기 위해 경관이 좋은 일출 맞이 장소로 새벽같이 달려가기도 한다. 가족들과 친구와, 동료들과 서로의 복을 기원하며 덕담을 주고받고 연하장을 쓰기도 한다. 뜨끈한 떡국 한 그릇 먹으면 뱃속도 따뜻해지고 나이 한 살 더 먹은 덕분에 마음 자세도 의젓해지는 기분이다. 또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아마도 신년의 운세를 점 쳐보는 것이 아닐까. 신문에 날마다 제공되는 ‘오늘의 운세’에 연초에는 ‘새해 띠별 운세’까지 제공된다. 요즘에는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한 운세 어플도 다운받아 볼 수 있다. 좀 더 적극적으로 철학관이나 점집을 찾는 사람들도 많다. 과학 기술이 고도로 발전한 현대 사회에서도 미래를 예측하고 종교와 민간 신앙에 의지하고 싶은 인간의 본성은 변함이 없다. 오히려 사회적 불안 요소가 증가하고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요즘에는 점집을 찾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번 지면에서는 운세를 점치고 자신의 미래를 예측하려는 사람들의 마음과 사회적 현상에 대해 살펴보고 이로 인한 폐해를 줄이고 삶을 적극적으로 개척해나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주제 관련 신문기사●토정비결(영남일보 2016-01-04)●바넘 효과(광주일보 2015-12-04) ●丙申年단상(한국일보 2016-01-04)●강남 입시전문 占집 성업…절·교회도 초조한 발걸음(아시아경제 2015-11-09)●불안한 미래…‘점’에 빠진 헬조선 흙수저들 (http://www.newsis.com 2016-01-03) ● ‘구설’과 ‘구설수’(한국일보 2016-01- 06)■ 신문기사 읽기〈읽기자료 1〉연초에 일년의 신수(身數)와 운세를 알아보려는 심리는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조선 중기에는 명조 때 학자 토정 이지함이 지은 토정비결이 도참서(圖讖書) 역할을 톡톡히 했다. 토정비결이 나온 후 민초들은 정월 초승이면 토정비결의 괘로 일 년 열두 달의 길흉화복을 점쳐 보는 것이 민간의 세시풍속이 될 정도였다. 이지함의 예지력과 신통력이 당대 백성들의 마음을 꿰뚫었다는 방증이다. 실제 이지함은 임진왜란을 예견하는가 하면 개인의 미래를 내다보는 신통력이 돋보였다고 한다. 그의 통찰력을 알아본 많은 백성이 토정을 찾아와 자신의 운명에 대한 예언을 듣고자 했다. 이들을 일일이 만날 수 없었던 이지함은 운세를 보는 요령을 한 권의 책에 담았는데 이게 바로 토정비결이다. 토정비결은 중국의 대표 도참서 주역과 비견되기도 한다. 토정비결이 나오기 전만 해도 일 년 신수를 보는 것조차 글깨나 읽는 유생이 아니면 불가능했다. 주역이 난해한 한자로 돼 있었던 까닭이다. 서민들이 토정비결을 가까이 한 이유는 한글이었던 데다 주역보다 훨씬 단순하며, 시조처럼 운율을 살린 글귀였기 때문이다. 주역은 생년, 월, 일, 시를 이용해 424개의 운세풀이가 가능하다. 하지만 토정비결은 생년, 월, 일을 대입해 144개의 운세를 볼 수 있도록 단순화했다. 144개의 운세 중에도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길운(吉運)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도 토정비결만의 매력이다. 한 인류학자의 분석에 의하면 길운이 60%, 악운이 20%, 중립적이거나 도덕적 충고가 20%였다. 나쁜 운세가 나오더라도 ‘분수를 지키면 곤액을 면한다’와 같은 구절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풀이가 많아 주술(呪術)의 굴레에 얽매일 일도 별로 없다. 이지함은 고려 말 충신 목은 이색의 6세손이며, 황진이가 사모했던 화담 서경덕의 애제자이기도 하다. 애민사상이 남달랐던 토정은 아산현감, 포천현감으로 봉직할 때도 늘 빈민구제에 힘을 쏟았다. 토정비결을 긍정적 도참서로 만든 것도 애민(愛民)의 발로였을 듯 싶다. (이하생략)〈출처 : 영남일보 2016년 1월 4일〉〈읽기자료 2〉제 20대 총선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당락(當落)’을 콕 집어서 알려 준다’는 점집들도 선거 분위기를 타고 서서히 기지개를 켜는 모양이다. “아무개 후보가 용한 점집에 다녀왔다더라”라는 이야기들이 주변에서 부쩍 자주 들려온다. ‘점과는 한참 거리가 있어 보였던’ 인사들도 점집을 출입한다는 소리가 들려와 놀라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점집에 다녀왔다는 사람들의 관심사는 “이번에 어디로 출마를 해야 하느냐?” 그리고 “출마하면 당선하겠느냐?” 등이다. 당연히 해야 하는 질문들이지만, 특이한 것은 거의 모두가 “출마하면 당선된다”라는 답을 들었다는 점이다. 돈을 받고 무언가 이야기를 해 줘야 하는 입장에서는 (아직은 미래의 이야기여서 틀려도 그만이므로) 굳이 나쁜 이야기를 할 이유가 없었을 테고, 물어물어 유명한 점쟁이를 찾아가 이야기를 듣는 측에서도 (어차피 선거에 나갈 마음이 있으니) 점사(占辭)를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했을 가능성이 크다. (중략) 모두가 잘 아는 사실이지만, 점을 치거나 운세를 보는 사람에게는 ‘바넘 효과’(Barnum Effect)가 작용한다.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성을 자신만의 성격이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인 경향’이 바로 바넘 효과인데, 당연히 ‘착각’이다. 점쟁이나 조언자가 “당신은 독립적으로 생각하며 행동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대체로 외향적이며 사교적이고 예의가 바릅니다. 하지만 동시에 내향적이고 말이 없으며 차갑기도 합니다”라고 말하는데 “아니, 나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라며 고개를 갸우뚱할 사람은 없을 것 아니겠는가.(이하생략)·〈출처 : 광주일보 2015년 12월 4일〉〈읽기자료 3〉새해가 시작되었으니 올해 운세가 어떨지 사주라도 본 사람들이 꽤 있을 것이다. 사주란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일컫는 말이다. 연월일시에는 각각 두개의 문자가 부여된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의 천간(天干)에서 한 글자,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의 지지(地支)에서 한 글자가 추출된다. 이 여덟 글자, 즉 사주팔자로 한 사람의 길흉화복을 설명하는 것이 사주명리이다.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를 차례대로 결합시키면 갑자부터 계해까지 총 60개의 경우의 수가 나온다. 이를 육십갑자, 또는 줄여서 육갑이라 한다. 어설프게 육십갑자를 손가락으로 짚다가 틀리는 어리숙한 행위를 비속하게 일러 “육갑 떤다”라고 한다.미래를 알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어쩌면 원초적인 욕망인지도 모르겠다. 예측은 검증과 함께 과학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사람의 길흉화복이 어찌 생년월일시로 정해지느냐고 따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뉴턴역학도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조건만 정확하게 알면 적어도 원리상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결정론이 뉴턴역학의 정신이다. 결정론이 양자역학의 확률론으로 바뀐 것은 20세기 초반이다. 사주명리가 과학이 아닌 이유는 초기 조건이 육십갑자로 인코딩되는 과정, 그것이 길흉화복으로 연결되는 ‘동역학적 구조’등에 허점이 많기 때문이다. 미래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불확실성을 최대로 줄여서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문명화된 선진사회일수록 정부정책의 투명성이 높고 사회 시스템이 예측가능하게 돌아간다.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은 굳이 육갑을 짚지 않더라도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많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한 마음가짐과 과학적인 방법론이다. 한국은 어떤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는 공적 영역이 어설프게 육갑을 떤 대가가 얼마나 참혹할 수 있는지 극적으로 보여 줬다. 사고가 나면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고 어느 정도의 자원이 투입돼 얼마 만에 어떤 결과가 나올 것인지에 대한 신뢰는 완전히 무너졌다.(이하생략) 〈출처 : 한국일보 2016년 1월 4일〉〈읽기자료 4〉(전략) 학부모들의 불안한 심리는 ‘점(占)’으로 향하기도 한다. 복채는 회당 대략 5만~10만원 선. 특히 ‘8학군’으로 불리는 강남구 대치?청담동 등 일대에는 ‘입시’를 전문으로 하는 점집들이 성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현상에 대해서는 역술인들조차 긍정적으로 보지 않는 눈치다. 한국역술인협회 관계자는 “역술도 하나의 학문이고 철학인데 타인의 인생을 결정할 입시에 대해 쉽게 점치는 것은 난센스”라며 “입시만을 전문으로 하는 점집이 생기는 현실이 바람직하다고 보진 않는다”고 말했다. (이하생략) 〈출처 : 아시아경제 2015년 11월 9일〉〈읽기자료 5〉(전략) 이날 이 집을 찾은 직장인 안모(30·여)씨는 이직을 고려 중이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서 고액 연봉을 받고 있지만, 상사와 자주 마찰을 빚으면서 속병을 앓는 탓이다. 점술가는 “이직 운이 안 좋다”며 “퇴직하면 몇 년 동안 구직이 어려워 백수가 되니 당분간 상사의 비위를 맞춰가며 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다른 테이블에서는 취업준비생 유모(29)씨가 한창 상담 중이었다. 몇 년째 취업난에 시달려온 그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해야 하나 고민하다 이곳을 찾았다. 점술가는 그에게 “사주에 역마살이 있어 바쁘게 움직여야 살 팔자”라면서 여행업이나 무역업 등을 추천했다.유씨는 “직장을 구하기도 힘들고, 부모님께 계속 손을 벌리는 것도 죄송하다”며 “예전에는 철학원에 가서 점을 보곤 했으나 사주 카페에 오니 가격도 저렴하고, 분위기도 편해 고민을 털어놓기 쉽더라”고 말했다.새해 운세를 내다보려는 기존 수요뿐만 아니라 ‘헬조선’, ‘흙수저’ 등 신조어가 만연할 정도로 침체한 경기 속에서 모든 미래가 더욱 불안해진 젊은 층의 발걸음까지 더해져 연말 철학관, 사주 카페가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다. 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포털 사이트의 운세 코너에도 클릭이 쇄도하고 있다. (이하생략) 〈출처 : 뉴시스 http://www.newsis.com 2016년 1월 3일〉 〈읽기자료 6〉새해가 되면 토정비결 등으로 신년 운세를 점치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운세를 풀이한 글에는 ‘구설수, 손재수, 요행수’ 같이 ‘수’로 끝나는 낱말들이 많이 나오는데, 이 때 ‘수(數)’는 ‘운수’라는 뜻이다. ‘구설수’는 남에게 헐뜯는 말을 들을 운수, ‘손재수’는 재물을 잃을 운수, ‘요행수’는 뜻밖에 얻게 되는 좋은 운수를 뜻한다. 따라서 ‘이달에는 구설수가 있으니 행동을 조심하라’처럼 이 말들은 ‘있다, 없다, 들다’같은 말과 잘 어울려 쓰인다.가끔 다른 사람들에게서 공연히 흉보는 말을 듣게 될 때 ‘구설수에 올랐다’거나 ‘구설수를 들었다’고 하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이때는 ‘시비하거나 비방하는 말’을 뜻하는 ‘구설’을 사용해서 ‘구설에 올랐다’, ‘구설을 들었다’라고 해야 한다. 지난 연말 방송 시상식에서 무례한 행동으로 화제가 된 사람이 있었는데, 매체가 ‘구설수에 올랐다’는 표현으로 이 소식을 전했다. 역시 ‘구설에 올랐다’로 해야 맞다. (이하생략)〈출처 : 한국일보 2016년 1월 6일〉생각 열기△〈읽기자료 1〉을 읽고 조선시대에 서민들이 도참서(圖讖書)로서 토정비결을 가까이 할 수 있었던 이유와 이것이 서민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한 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 〈읽기자료 2〉의 ‘바넘 효과’의 정의를 읽고 이와 비슷한 경험을 겪은 바가 있다면 친구들과 이야기해보자. 또한 필자가 점을 치고 운세를 보는 행위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기술하고 그 근거를 찾아 적어보자. △ 〈읽기자료 3〉의 필자는 사주명리가 과학성은 떨어지지만 초기 조건을 통해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뉴턴 역학의 정신과 비슷하다고 보고 있다. 기사를 읽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의 사회적 필요성과 그 방법 및 태도가 어떠해야할지 생각해보자. 가. 미래 예측의 필요성 :나. 방법 및 태도 : △ 〈읽기자료 4, 5〉를 읽고 수험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과 직장인 및 취업준비생 등 젊은이들이 점집을 찾는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보자. △ 〈읽기자료 5〉를 읽고 자신의 미래에 관한 크고 작은 결정을 내릴 때에 점술가에게 과하게 의지하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조언을 하고 싶은지 적어보자.■ 생각 심화하기△ 맥베스(Macbeth)는 영국의 극작가 W.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로, 주인공 맥베스가 어느 날 우연히 듣게 된 예언에 따라 행동을 하고 이로 인한 죄책감과 공포에 갇혀 죄를 더하며 파멸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아래의 작품 줄거리를 읽고 주인공 맥베스가 세 마녀의 예언을 듣고 어떤 갈등을 겪었을지 생각해보고 여러분이 맥베스라면 어떤 삶을 살고자 했을 것인지 생각해보자.- 스코틀랜드의 두 장군 맥베스와 뱅코는 반군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돌아오던 길에 정체가 불분명한 세 마녀를 마주치게 된다. 마녀들은 맥베스에게 장차 왕위에 오를 것이라는 예언을 하고, 이 예언을 들은 맥베스는 왕위에 대한 야욕에 사로잡히게 된다. 맥베스의 아내(레이디 맥베스)는 편지로 먼저 이 예언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 듣고, 승전을 축하하기 위해 맥베스의 영지에 머물게 된 던컨 왕을 해칠 계획을 세우게 된다. 맥베스는 이에 양심의 가책을 느끼며 주저하지만, 아내는 그의 나약함을 꾸짖으며 살인을 부추긴다. 결국 맥베스는 던컨 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한다.그러나 원하던 왕의 자리에 올랐음에도 맥베스는 죄책감과 왕위를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시달리게 되고, 이로 인해 폭정을 일삼으면서 백성과 귀족들의 원성을 사게 된다. 여기에 마녀의 예언을 들었을 당시 함께 있었던 동료 뱅코의 자손이 왕위에 오른다는 예언이 있었기 때문에, 암살자들을 보내 뱅코까지 죽이게 된다. 이후 맥베스는 죽은 뱅코의 망령을 보는 등 극심한 불안과 공포에 시달리게 되고, 이를 떨치기 위해 다시 마녀들을 찾아간다. 마녀들은 맥베스에게 맥더프를 조심하라는 예언과 함께 “여자가 낳은 자는 결코 맥베스를 죽일 수 없으며, 버넘 숲이 던시네인 언덕으로 넘어오기 전엔 맥베스가 망하지 않는다”는 예언을 남긴다. 이에 맥베스는 맥더프의 아내와 아이들을 죽이는 등 또다시 살인을 저지른다.한편 던컨 왕의 살해 계획에 가담했던 맥베스의 아내는 몽유병과 신경쇠약에 시달리다 결국 숨을 거둔다. 그리고 맬콤을 옹립한 잉글랜드 군이 스코틀랜드로 쳐들어오고 맥베스의 포악한 정치에 억눌렸던 귀족들도 이에 합세한다. 그리고 맥베스는 맥더프와 싸우게 되고, 맥더프에게서 자신은 “여자에게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어미의 배를 가르고 나온 자”란 말을 듣는다. 절망에 빠진 맥베스는 힘없이 맥더프의 손에 죽음을 맞게 되고, 이후 던컨 왕의 첫째 아들인 맬콤이 왕위에 오른다.〈출처 : 시사상식사전, pmg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 교육
  • 기고
  • 2016.01.15 2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