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7 21:42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임실

[임실] 향토사단 임실읍 반대땐 관촌으로

향토부대 이전을 두고 임실읍 감성, 대곡리 주민과 달리 관촌면 주민들이 적극적인 환영을 표시하고 나서 군부대 유치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주민들은 그러나 임실읍이 유치를 포기할 경우를 전제로 향후 수차례의 공청회를 실시, 국방부에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이다.12일 오후 2시 관촌면 청소년수련원 회의실에는 관촌면 번영회 주관으로 향토사단 유치를 위한 주민공청회가 열렸다.이날 공청회에는 관촌면 이장단과 새마을지회, 부녀회와 주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임실군의회 김상초 의원은 이날 향토사단 유치시 파급과 경제적 효과·도시성장 잠재력·인구유입 등 장점에 따른 기대효과를 설명했다.이와 함께 군부대 유치시 각종 보상과 주변 지역 피해대책을 언급하고 아울러 임실군 유치에 따른 당위성도 주장했다.토론회에서 J씨는“대곡리의 경우 보상을 노린 일부 투기꾼들로 득실거린다”며“관촌으로 유치시에는 깨끗한 방법으로 추진해야 할 것”을 지적했다.또 L씨는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찬반에 따른 여론을 충분히 수렴, 유치에 반대가 없도록 해야 한다”며 찬성을 표시했다.이날 토론에서 대부분의 주민들은 찬성 의사를 밝혔고 즉석에서 유치위원회를 구성, 백흥조 번영회장을 만장일치로 추대했다.이들은 또 후보지 선정과 함께 추진위원에 이장단과 새마을지회, 부녀회 등 임원진 81명을 당연직으로 하고 아울러 사회단체에도 협조를 요청키로 했다.이번 관촌면 공청회는 최근 임실읍 전체 주민의 찬성에 비해 관련 지역 주민들의 결사반대에 따라 지난 9일 관촌면 이장단이 결의한 것으로 전해졌다.그러나 이날 공청회에서 일부 주민들은‘유치 경쟁으로 지역간의 불협화음을 조장하는 행위가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 임실
  • 박정우
  • 2005.07.14 23:02

[임실] 임실 사이버 폭력 난무

인터넷 게시판 등을 통해 각종 음해와 폭언에 시달리다 견디지 못한 일부 주민들이 경찰에 하소연, 본격적인 수사가 펼쳐질 전망이다.이는 최근 임실군청 인터넷 홈페이지의 공무원직장협의회 게시판이 불특정다수인의 흠집내기와 온갖 욕설로 난무, 피해자가 속출되고 있기 때문이다.임실군청 인터넷 홈페이지는 당초 주민들의 억울한 사연을 호소하고 아울러 군정과 관련된 개선사항 등을 수렴키 위한 취지로 개설됐다.행정과 의회간의 견제를 위해서도 군수실에는 ‘군수에게 바란다’가, 의회란에는 ‘의회에 바란다’가 각각 설치돼 있다.하지만 두곳의 게시판도 처음에는 비실명으로 운영했으나 네티즌들의 근거없는 비방과 흠집내기, 언어폭력 등으로 지금은 실명제로 전환된 상태다.이 시점에서 임실군공직협 자유게시판이 배너광장에 설치, IP 추적이 불가능한 틈을 타 불특정 다수의 인사를 음해하는 폐해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것.대상도 단체장을 비롯 공무원과 지방선거 출마자, 특정 정당 관계자 및 일반 주민을 대상으로 온갖 음해와 흠집내기 등으로 얼룩져 있다.이에 앞서 설날을 앞둔 지난 2월에는 관내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무고성 글을 올려 관련 생산업체가 3억여원의 손실을 입은 것으로 밝혀졌다.이처럼 근거없는 내용에 환멸을 느낀 네티즌들은 댓글을 통해 문제를 제기했으나 답글은 욕설로 일관, 주민화합에 심각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때문에 사이버 폭력으로 인해 자신의 명예가 실추되고 억울한 누명을 썼다는 주민 A씨 등은 지난 6일 지방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경찰청 관계자는“사이버 범죄의 기승으로 선량한 국민들이 엄청난 피해에 시달리고 있다”며“적법절차를 거쳐 반드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 임실
  • 박정우
  • 2005.07.08 23:02

[임실] 인력개발원 임실유치 '먹구름'

토지공사 등 13개 정부 공공기관의 전북도 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임실군은 자치인력개발원 유치를 강력히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러나 정부와 전북도의 입장은 대부분의 공공기관을 혁신도시에 집약시킬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유치 가능성에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임실군이 인력개발원을 유치하는 것에는 현재 추진중인 전북도의 공무원교육원 유치의 위치 선점과 동시에 공통적인 시설여건 때문으로 풀이된다.지난달 29일 이학진 부군수를 단장으로 실무유치추진단을 구성한 임실군은 오는 10월에 준공 예정인 생활체육공원 주변에 개발원 부지를 선정했다.임실읍 성가리에 위치한 3만5000평의 이 부지는 인근에 공무원교육원 부지도 마련된 것으로 알려져 1석2조의 효과를 노린다는 계획.개발원과 교육원에 소요되는 7만여평의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한다는 임실군의 계획은 그러나 개발원의 경우 정부와 전북도의 입장차로 인해 결렬될 가능성이 크다.수원에 소재한 자치인력개발원은 전직원이 100명 안팎이나 연간 6000여명의 공무원이 장·단기에 걸쳐 교육을 연수, 지역경제 파급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부군수는“가능성은 적어도 임실지역의 낙후도를 감안, 군민들의 간절한 염원에 부응키 위한 것”이라며“현재로는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 임실
  • 박정우
  • 2005.07.06 23:02
지역섹션